Q. 집에 오면 하루종일 스마트폰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자녀와 대립중입니다. 그럴수록 언성이 높아지고 감정의 골이 깊어지는 것 같아 걱정입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A.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 지면서, 우리에게 스마트폰은 신체의 일부처럼 떼어놓을 수 없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또래들과 소통(채팅, 게임 등)을 하면서 스마트폰에 대한 과의존이 심화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과의존이 지속될 경우, 스마트폰 과사용으로 인한 가족과의 갈등, 친구관계 및 학업에서의 어려움, 신체질환(거북목증후군, 시력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과의존의 경우 증상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먼저 스마트폰 사용이 개인에게 가장 중요한 활동이 되어버리는 것을 의미하는 현저성,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개인의 자율적인 조절능력이 떨어지는 조절 실패,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과다사용으로 인하여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어려움을 겪어도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못하는 문제적 결과 와 같은 증상이 있습니다. 이처럼 과의존에 노출된 청소년들은 신체적, 심리적으로 여러가지 문제가 야기됩니다. 특히 가정에서는 과다사용으로 인한 갈등으로 부모-자녀간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합니다.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기 위해 부정적이고 강압적인 방법을 사용한다면 오히려 부모에게 반항할 수 있는 구실을 만들 뿐,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가정에서 우선적으로 취해야할 방법으로는 조금이나마 스마트폰을 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부모 또한 자녀와 함께 스마트폰을 멀리해야 그 효과가 큽니다. 가정 안에서 건강한 스마트폰 이용 규칙을 설정함으로써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을 점검하고, 자녀 스스로가 정해진 규칙을 지킬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에도 부담이 되지 않는 선에서 가족이 함께 대화할 수 있는 시간의 확보, 대안활동(연극, 전시회, 운동 등)이 도움이 됩니다. 청소년 자녀의 인터넷스마트폰 사용과 관련하여 조금 더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면 수원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문의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본 기관에서는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을 위한 상담 및 심리검사 운영, 2박3일 스마트폰 가족치유캠프(6월中) 등 과의존을 예방하고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상담문의는 031-212-1318 또는 청소년전화 1388을 통해 가능합니다.
박승룡 수원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상담원
문화
박승룡
2020-02-25 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