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소견 발표회를 다녀와서

나는 오늘 우리학교 5,6학년 회장, 부회장들과 교육감 후보들의 선거 유세를 보러갔다. 그 곳에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유세를 구경하러 와있었다. 분위기는 우리들 전교학급임원선출 같아서 낯설지 않았다. 드디어 유세가 시작되었다. 시작하자마자 우리와 다른 점을 찾아내었다. 우리는 유세를 할때 2∼3분 밖에 하지 않는다. 그런데 후보들은 20∼30분이 기본이다. 그리고 목소리에 힘이 넘쳤고, 자신감에 가득찬 표정들 이었다. 또 꼭 뽑아달라는 간절함도 많이 느껴졌다. 후보들의 발표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선생님이 즐거우면 학생들도 즐겁다”라는 부분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속이 비고 간단한 말 같지만 잘 생각해보면 그렇지 않다. 선생님이 즐거우면 학생도 즐거울까? 내가 생각하기로는 선생님이 즐거우면 놀이를 많이해서 그런 것 같다. 또 미소를 띄우면서 친절하게 공부를 가르쳐주시면 머리속에 쏙쏙 들어와서 기분이 좋은 것은 아닐까? 그 밖에도 여러후보들이 좋은 공략을 많이 내세웠는데, 누가 당선될지 참 궁금하다. 나는 책임감 있고 말로만이 아니라 실천으로 옮기는 훌륭한 사람이 뽑히면 좋겠다. 그런데 만약에 자신이 뽑히지 않으면 재개표를 하자는 부시와 고어 같은 사람도 있을까? 아무튼 행동이 먼저인 사람이 꼭 뽑혔으면 좋겠다. /이용주<의정부 용현초등5>

<동화>나무 심는 아이

식목일이 다가오자 나영이는 친구 보람이와 정현이와 나무를 심기로 약속했습니다. “보람아! 정현아! 너희들 나무 나랑 같이 심을래?” “그래.” “무엇을 심을까?” “…….” “은행나무 어때?” “은행나무? 그래 그것 좋다. 노오란 은행나무.” 나영이와 보람이와 정현이는 뜻을 하나로 모아 각자 일을 맡았습니다. 나영이는 나무를 준비하고, 보람이는 삽을 준비하고 정현이는 물을 준비해 열심히 땅을 팠습니다. 그런데 이게 웬일 입니까? 땅안에서 쓰레기가 나오는 것이 아니겠어요? “앗!!! 얘들아! 땅 안에서 쓰레기가 나와! 우리 다시파야해.” “휴∼ 언제 다판담∼” 바로 옆에 땅을 팠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도 쓰레기가 나왔지요. 아이들은 2번이나 더 파도 쓰레기가 계속 나왔습니다. “얘들아! 우리 이런 곳엔 나무를 심을 수 없잖아.” “그럼 어떻게 해.” “우리 저∼ 쪽에 있는 은행나무 옆에 심지 않을래? 그럼 보람이와 나영이와 정현이 나무도 친구가 있어서 좋아 할거야.” “그래!” 아이들은 나무와 삽과 물을 다른 은행나무 있는 곳으로 옮겼습니다. 다른 은행나무 이름은 다순이 이고, 우리 은행나무 이름은 다돌이라고 지었습니다. 아이들은 다순이 옆에 땅을 파자 깨끗했습니다. 다돌이도 옆에 친구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자 더욱 기뻤습니다. 다순이는 어서오라고 땅안을 깨끗이 하여 맞이한 것 입니다. 다돌이와 다순이는 영원히 행복하게 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둘은 친구도 있고, 나영이와 보람이와 정현이가 매일매일 감싸주고 아껴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나영이는 이번 기회에 새로운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땅속에 쓰레기를 묻어두면 나무가 자랄 수 없다는 것입니다. 나영이는 나무가 자랄수 있게 속에 쓰레기가 없도록 하겠다고 마음속 깊이깊이 다짐했습니다. /김나영<성남 분당초등3>

<생활문>혼자 있을 때

나는 혼자 있을 때가 일주일에 3∼4회 정도 있다. 부모님께서 음식점 같은 곳에 가실 때가 많으시기 때문이다. 나 혼자 있으면 마음 속에서는 공부가 하기 싫다는 생각이 자구 생기지만 이상하게 저절로 공부가 된다. 영어 공부를 할 때도 테이프가 굉장히 느리게 가는 느낌이 든다. 어쩔 때는 불이꺼진 캄캄한 방에서 귀신이 튀어 나올까, 도둑이 들어 올까……. 나 혼자 집에 있을 때는 걱정이 태산 같이 쌓인다. 혼자 있을 때는 컴퓨터로 게임이나 MP3(음악파일)를 다운로드를 하며 TV를 켜고 보는 둥 마는둥 빵을 먹으며 숙제를 한다. 그럴 때는 나 혼자의 천국인 기분이 든다. 그러나 부모님이 오시면 모든 환상은 깨지고 지옥으로 온 듯하다. 부모님이 9시 반 이후로 안 오시면 컴퓨터도 지겨워지고 뒤를 돌아보면 공포책이 눈에 띈다. 살이 점점 떨리고 온갖 공포증에 시달리게 된다. 그럴 때는 오늘 한 일에 대해 생각한다. 오늘 내가 무슨일을 저질렀는지, 친구와 뭘 했는지를 생각한다. 그러다 보면 기분이 좋아지게 된다. 나도 요즘에 느낀 일이지만 역시 가족과 있는 것이 행복한 것 같다. 가족이 모두 있어야만이 가족의 화목이 이루어지는 것 같다. 가족이 없으면 참 불행할 것 같다. 부려 먹을 동생(?)이 있어서도 좋다. 동생을 부려 먹을 때는 참 기분이 좋던데… 나 혼자 있으면 내 맘대로 할 수 있고 놀아도 혼낼 사람도 없다. 가끔 가다가 나 혼자 있는것은 괜찮지만 가족이 영 없다면 전혀 행복하지 못하다는 것을 나는 마음으로 느겼다. /이승재<안양 관양초등6>

오피니언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