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OS 시장의 지각변동이 예고된다. 삼성전자와 인텔 등의 기업이 연합해 만든 타이젠과 모질라재단의 파이어폭스, 캐노니컬의 우분투 포 폰 등 차세대 모바일OS가 속속 출시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7년간 스마트폰 시장을 독점했던 안드로이드와 iOS 체제가 흔들리고 있는 셈이다. 최근에는 이들 기반의 애플리케이션도 출시되고 있고 프로토타입까지 인터넷을 통해 공개되고 있다. 포스트 안드로이드ㆍiOS 시대를 이끌 차세대 모바일OS를 살펴보자. ■ 삼성과 인텔 연합 타이젠(Tizen) 안드로이드가 구글 중심의 체계였다면 타이젠은 삼성전자와 인텔이 연합해 만든 모바일OS다. 타이젠 연합에는 이들 외에도 NTT도코모KTSK텔레콤 등 12개 회원사가 참여하고 있다. 참여 회원사 면면으로는 안드로이드보다 더 화려하다. 세계 최대 스마트폰 제조사인 삼성이 타이젠 개발을 주도한다는 점도 든든한 배경이 된다. 타이젠의 최대 장점은 개방성이다. 타이젠을 도입한 회사들이 각자 사정에 맞게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하거나 빼는 등 수정 작업이 편리하다는 뜻이다. 타이젠 연합은 MWC 미디어 행사에서 게임 아스팔트 7 히트와 컷 더 로프, 동영상 앱 비메오, 라디오앱 미스터라디오 등 4종을 공개했다. 안드로이드용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임시로 타이젠OS 2.0을 탑재해 작동 모습을 시연했다. 타이젠OS를 넣은 스마트폰은 이르면 오는 78월 유럽과 일본 등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삼성전자와 중국 화웨이가 제작을 담당한다. ■ 모질라재단 파이어폭스(Firefox) 파이어 폭스는 미국 비영리 단체인 모질라 재단을 중심으로 전 세계 개발자 수천명이 자원봉사자로 참여해 만들어지고 있다. PC에서 빠른 속도와 편리한 이용법으로 인기를 끌었던 인터넷 검색프로그램(웹브라우저)파이어폭스를 모바일OS로 개편한 것이다. 최대 장점은 PC에서와 마찬가지로 중저가 스마트폰에서도 첨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파이어폭스는 차세대 웹 표준 언어인 HTML5를 기반으로 해 제작됐다. 애플리케이션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 내에서 동영상, 게임 등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탭을 이용한 브라우징과 커스텀이 가능한 내장 검색바, 내장 RSS 리더 등을 지원하며 빠르고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지난 MWC2013에서는 ZTE사가 파이어폭스OS를 탑재한 오픈을 선보이기도 했으며 늦어도 내년 초까지는 상용화될 전망이다. ■ 캐노니컬 우분투 포 폰(Ubuntu for phones) 우분투 포 폰OS는 데스크탑에서 이뤄지는 모든 작업을 스마트폰 상에서도 할 수 있는 운영체제다. 데스크탑, 모바일, TV, 클라우드, 수퍼 컴퓨터 등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실현 하겠다는 캐노니컬의 목표로 제작됐다. 우분투 포 폰은 안드로이드와 마찬가지로 리눅스라는 뿌리를 공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드로이드용 앱을 쉽게 변환할 수 있다는 점이나 ARM과 함께 X86을 모두 지원하는 운영체제라는 장점을 가졌다. 기존 모바일 운영체제들이 선보인 UX와는 다르게 화면 가장자리에 메뉴가 나오는 형태로 차별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도 눈에 띈다. 우분투 포 폰은 1GHz 프로세서, 512MB RAM, 4GB 내장메모리, 멀티터치 지원 등의 최소 사양을 요구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작동한다. 캐노니컬은 우분투 포 폰 OS 정식판을 2014년 초 공개할 예정이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방송통신위원회는 안전한 휴대폰 소액결제 환경 조성을 위해 통신과금서비스 이용자 보호 개선 대책을 시행한다고 18일 밝혔다. 통신과금서비스는 제품, 서비스 구매 시 전화 인증을 통해 이용 대금이 익월 통신요금과 함께 청구되는 소액결제 서비스로 연간 이용자만 1천200만 명에 달할 정도로 보편적 결제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자동결제(동의 없이 매월 결제), 무료이벤트(쿠폰이벤트로 유인 후 유료전환), 회원가입 동시 결제(본인 인증과 가입비결제 인증 동시진행) 등의 민원이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신종사기(스미싱)로 인한 이용자의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건전한 시장 질서를 확립하고 이용자 보호체계를 강화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과금서비스 제공자(통신사, 결제대행사) 및 콘텐츠사업자(게임사 등)와의 협의를 통해 통신과금서비스 이용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법제도 개선, 자율규제 및 모니터링 강화, 공동 대응체계 구축 및 홍보 강화 등 이용자 보호 개선 대책을 마련하고 이를 적극 시행할 계획이다. 박재문 방송통신위원회 네트워크정책국장은 이번 대책을 통해 통신과금서비스의 건전한 성장기반 구축과 이용자 보호 수준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갤럭시S4가 공개됐다. 삼성전자는 17일 최근 뉴욕 맨해튼 라디오시티 뮤직홀서 열린 삼성 언팩 2013에서 갤럭시S4를 처음 공개했다고 밝혔다. 갤럭시S4는 5인치 대화면에 441ppi의 풀HD 슈퍼아몰레드를 탑재해 탁월한 선명도와 색감을 구현했다. 또 화면 크기와 배터리 용량은 기존 모델 대비 커졌지만 두께는 7.9mm, 무게는 140g으로 가벼워졌으며 베젤도 대폭 줄여 초슬림 디자인을 구현했다. 여기에 고릴라 글래스 3(Gorilla Glass 3)를 적용해 화면 내구성도 더욱 높아졌다. 갤럭시S4는 올해 2분기 중 미국 6개 사업자를 포함 전 세계 155여개국, 327개 사업자를 통해 판매되며, 국내에는 4월말 출시될 예정이다. 현재 판매가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16GB 제품 기준으로 527달러 수준에 책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신종균 삼성전자 IM 담당 사장은 갤럭시S4 시리즈를 통해 앞으로도 성공 신화를 이어가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인간 중심의 혁신으로 소비자가 열망하는 가치와 편의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입자를 발견했다고 14일 공식 발표했다. 이에 앞서 CERN 측은 지난 7일 "새로 발견한 이 입자가 힉스일 가능성이 아직은 99.6%에 그친다"며 "맞을 확률이 99.9%가 될 때까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CERN 측은 이후 CERN 과학자들이 지난 해보다 2.5배 많은 데이터를 추가 분석해 힉스 입자라는 사실을 최종 확인했다고 밝혔다. 힉스 입자는 우주 창조의 빅뱅 초기 물질에 질량을 부여하는 신비한 소립자로 추정돼 '신의 입자'라고 불려 왔다. 온라인뉴스팀 kgib@kyeonggi.com
삼성전자는 빠른 속도와 세련된 디자인으로 호평을 받아온 노트북 시리즈7 크로노스의 신제품을 국내 시장에 선보인다고 11일 밝혔다. 뉴 시리즈7 크로노스는 휴대성을 개선하고 디스플레이, 사운드 등 성능을 강화한 2013년형 제품으로 인텔 3세대 i7 쿼드코어 프로세서와 최대 16GB 시스템 메모리를 지원한다. 또한 삼성전자의 이미지 강화 소프트웨어가 적용된 풀HD 해상도의 178도 광시야각 디스플레이 탑재로 어느 각도에서나 왜곡 없는 완벽한 영상과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다. 이 밖에 AMD사의 신형 고성능 그래픽 카드를 내장, 기존 제품 대비 70% 가량 성능이 향상됐으며 1회 충전으로 최대 11.5시간 동안 사용이 가능한 저전력 기술의 배터리도 채용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TED / TED Conferences / 안드로이드ㆍ아이폰 / 무료 TED는 18분 동안 기술(Technology), 오락(Entertainment), 디자인(Desing)에 관한 주제를 전달하는 강의다. 강연자들은 각 분야를 대표하거나 뛰어난 업적을 이룬 사람들이다. 이 앱은 TED의 공식 앱으로 지난 강좌를 동영상 링크로 제공하고 있다. 동영상이 태그, 테마, 언어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돼 있어 쉽고 빠르게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한 번 봤던 동영상은 My Talk에 저장돼 다시 보기 쉽다. 플립보드 / Flipboard / 안드로이드ㆍ아이폰 / 무료 플립보드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내가 원하는 콘텐츠만 선별해 배치하고 구독할 수 있는 맞춤형 소셜 매기진 앱이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각종 뉴스사이트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정치, 경제, 디자인, 스포츠, 여행 등 각종 카테고리의 관심 분야를 선택하면 해당 SNS콘텐츠를 잡지처럼 예쁘게 보여준다. 다양한 주제의 콘텐츠를 접하고 싶다면 플립보드를 이용해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어보다. FRENz / DoRan Communications / 안드로이드ㆍ아이폰 / 무료 대학생에 특화된 SNS 앱으로 소속 학교와 학과를 선택하고 이번 학기 수강 신청한 과목을 선택하면 수업을 같이 듣는 선ㆍ후배, 동기들과의 대화방이 자동적으로 만들어 진다. 이 대화방을 통해 교재 공동 구매, 강의 노트 공유, 수업과제 전달, 강의실 변경이나 휴강 등의 일정도 주고 받을 수 있다. 열심히 참여하다 보면 시험 족보도 건네받을 행운도 주어질 수 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SK텔레콤은 젊은층을 위한 색다른 컬러의 갤럭시POP 페스티벌 오렌지를 단독 출시하고 컬러 마케팅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페스티벌 오렌지는 오렌지가 주는 생생하고 화사한 이미지와 페스티벌이 함축하는 열정과 환희를 공감각적으로 표현한 명칭이다. 해당 색상이 선명한 원색을 선호하는 젊은 고객의 속성과 새학기, 새출발을 상징하는 색으로 잘 어울려 전용 색상으로 출시하게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SK텔레콤은 블랙/화이트 등 무채색 위주에서 탈피해 단말기 색상을 다변화하며, 성숙기에 접어든 스마트폰 시장에서 새로운 고객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컬러 마케팅을 진행해 왔다. 갤럭시POP 페스티벌 오렌지는 지난 1월 갤럭시SⅢ 가넷 레드색에 이어 SK텔레콤에서 단독으로 출시하는 2번째 컬러 마케팅 폰이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스마트 콘텐츠 시장규모가 2조원에 이르렀다. 11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12 스마트콘텐츠 시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콘텐츠 시장 규모는 1조9천472억원으로 전년 대비 18.2%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스마트기기의 급격한 확산으로 스마트콘텐츠 시장은 연 22%씩 성장해 2015년 3조5천399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스마트콘텐츠 시장의 78.9%는 문화콘텐츠가 차지하며 산업 성장을 견인했다. 장르별로는 게임이 46.4%인 9천54억원으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전자책(7.7%), 음악(4.7%), 영상(4.4%), 에듀테인먼트(5.2%) 순이다. 세계 시장도 게임 301억 달러(22.0%), 에듀테인먼트 152억 달러(11.1%) 등 문화콘텐츠 비중이 83.5%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세계 스마트콘텐츠 시장에서 광고가 398억 달러로 29%를 차지했지만, 국내에서는 5%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전년 대비 52.6%의 성장률을 기록해 앞으로 광고시장의 급성장이 주목됐다. 반면 SNS 시장은 전년대비 0.5% 성장에 그쳐 포화상태를 보였으나 매출 규모로는 여전히 높은 성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스마트콘텐츠 기업들은 앞으로 3년간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평균 성장률은 55.0%로 전망했다. 하지만 시장성장률은 앞으로 3년간 22%로 예상해 기업들이 실제보다 시장을 낙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부 관계자는 스마트콘텐츠 시장은 진입 장벽이 낮아서 소자본이나 아이디어 중심의 경쟁이 가능한 창조산업이어서 앞으로 창업 지원과 수익모델 다각화에 대한 정책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통신요금 부담이 늘면서 상대적으로 요금이 저렴한 알뜰폰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10월 기준 100만 명 가입자를 유치한 데 이어 지난 1월말에는 가입자가 135만7천명을 넘어섰다. 한 달 평균 10여만명의 신규 가입자가 늘어난 셈이다. 이 같은 인기에 따라 중소형 통신 사업자를 비롯해 대형 통신사업자까지 속속 알뜰폰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현재 출시된 알뜰폰 요금제와 저가폰 등을 살펴봤다. ■ 다양한 알뜰폰 요금제, 꼼꼼히 비교해봐야 현재까지 알뜰폰 요금제가 출시된 곳은 CJ헬로비전과 온세텔레콤, 아이즈비전, 에넥스텔레콤, 한국케이블텔레콤(KCT), SK텔링크, 티브로드 등이다. 대부분 월 요금이 기존 이통사 대비 20%가량 저렴하다. KCT의 알뜰폰 요금제 T플러스 스마트25 요금제에 가입하면 월 2만5천원으로 음성통화 150분, 문자메시지 150건, 데이터 100MB를 쓸 수 있다. 이는 기존 이통사 월 3만5천원대 요금제와 동일한 수준이다. 여기에 24개월 약정 가입하면 요금이 매월 5천원씩 할인된다. 선불금을 먼저 낸 뒤 일정 기간만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제도 있다. 아이즈비전의 아이즈모바일은 30일150일간 이용할 수 있는 1만5만원의 선불 요금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 기간이 지나도 10일간 같은 번호로 수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알뜰폰용 LTE요금제도 있다. 에넥스텔레콤은 월 3만4천원8만5천원의 LTE요금제 6종을 출시했다. 요금제에 따라 음성, 문자메시지, 데이터 이용량이 다르다. 예를 들어 4만2천원 요금제의 경우 음성 200분, 문자 200건, 데이터 1.55GB이며 5만2천원 요금제는 음성 250분, 문자 250건, 데이터 2.5GB를 쓸 수 있다. ■ 저렴한 요금에 다양한 기능까지 갖춘 단말기 알뜰폰 전용 단말기도 속속 출시되고 있다. 선불 통신사인 프리피아는 지난해 말 세븐일레븐을 통해 8만4천원대의 저가폰 2nd를 판매하고 있다. 기존 피처폰과 마찬가지로 문자메시지는 물론 MP3, 카메라, 라디오 기능이 탑재돼 있다. 게다가 블루투스 기능까지 있어 주소록 이동도 가능하다. 아이리버의 울랄라폰은 보급형 3G 스마트폰으로 14만9천원이다. 3.5인치 화면에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 운영체제(OS), 국내와 해외에서 각각 유심을 따로 쓸 수 있는 듀얼심(Dual SIM), 300만 화소 카메라 등을 탑재했다. GS25는 일반폰 팬택 캔유, LG전자 프리스타일, SKY 웨딩폰과 스마트폰 아이리버 바닐라, 삼성전자 갤럭시U 등을 판매한다. 또한 일반폰은 모두 3만5천원이며, 바닐라는 5만5천원, 갤럭시U는 7만원대의 저렴한 가격에 공급되고 있다. 또한 CU는 리하트폰(Re-heart)이라는 명칭으로 저가폰을 내놨다. 중고 제품을 선별해 세척, 코팅, 기기검수 과정 등을 거쳐 재상품화했기 때문이다. 제품은 LG전자 옵티머스시크와 아이리버 바닐라 등 총 70여 가지인데, 점포마다 판매하는 제품이 다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가격은 모두 2만9천800원이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도내 바이오제약기업의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기술정보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해온 첨단기술정보 지원사업이 경기도내 제약기업의 R&D비용 절감에 큰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경기과학기술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첨단기술정보 지원사업에 참여한 15개 기업이 총 30만달러의 기술정보 구매비용을 절감했다. 첨단기술정보 지원사업은 기업의 연구개발 수행에 필요한 기술동향 및 특허정보 등 고가의 유료전문데이터베이스(DB)를 공동구매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Datamonitor(산업동향정보), ThomsonPharma(신약개발정보), Reaxys(화합물구조 분석), WIPS ON(특허정보) 등 4개 전문DB 공동구매 컨소시엄을 구성해 기업을 지원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진흥원은 경기바이오센터 내 기술정보실 운영을 통해 전문 기술저널을 열람하고 기술개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경기과학기술진흥원 관계자는 타 기업의 기술개발 동향, 산업동향 및 특허정보는 시장선점을 위해 촌각을 다투는 신약, 신제품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하고 기업의 경쟁력확보를 위해서도 필수적이라며 더 많은 도내 기업이 R&D수행에 필요한 기술정보를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