外人 주포 빠진 수원 현대건설, ‘이유있는 선두 질주’

여자 프로배구 수원 현대건설이 팀 전력의 절반에 가까운 외국인 선수 공백에도 선두를 지키며 ‘명가’의 저력을 과시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주 공격수인 아포짓 스파이커(라이트 공격수) 야스민 베다르트가 허리 디스크 시술로 인해 4경기째 결장하고 있음에도 16승2패, 승점 45로 인천 흥국생명(14승4패·42점)에 3점 앞선 가운데 전반기를 마쳤다. 야스민 결장 후 현대건설은 2승2패를 기록 중이다. 지난달 25일 대전 KGC에 2대3으로 막혀 개막 15연승 행진이 멈춰섰고, 이어 29일 흥국생명에 1대3으로 져 시즌 첫 연패와 함께 홈 23연승이 중단되며 2위 흥국생명에 승점 동률을 허용했다. 하지만 새해 첫 경기인 1일 화성 IBK전서 3대0 셧아웃 승리를 거두며 흥국생명과의 격차를 다시 벌리고 선두를 지켰다. 비록 야스민 없이 치른 경기서 반타작에 그쳤지만 경기 내용을 보면 현대건설이 두 시즌 연속 선두를 질주하는 원동력이 무엇인지 알게 해준다. 국내 선수들로만 치른 경기서 두 차례의 패배 속에서도 셧아웃 패배가 한 경기도 없다. 매 경기 끈질긴 모습으로 상대팀들을 괴롭혔다. 리그 최고의 세터로 성장한 김다인을 중심으로 미들 블로커 양효진·이다현, 아웃사이드 히터 황민경·고예림, 최고의 리베로 김연견 등 주전에 황연주(아포짓), 정지윤(아웃사이드), 나현수(미들 블로커) 등 백업들의 활약이 눈부시다. 특히 ‘맏언니’ 황연주는 야스민의 공백을 훌륭히 메우며 전성기 못지않은 기량을 뽐내고 있다. 지난달 22일 김천 한국도로공사전서 12득점으로 경기 감각을 조율한 황연주는 25일 KGC전서 23득점, 29일 흥국생명전 20득점, 새해 첫날 IBK전서 17득점으로 팀내 최고득점을 기록했다. 또 야스민과 어깨 부상의 이다현이 빠진 지난달 두 경기서 미들 블로커로 나선 나현수도 도로공사전과 KGC전서 연속 11득점을 올리며 공백을 잘 메웠다. 국가대표인 정지윤도 매 경기 교체 투입돼 파워 넘치는 공격으로 10점 안팎을 기록하며 ‘주전급 백업’의 위력을 떨치고 있다. 현대건설은 주전 선수와 수준급 백업들이 조화를 이루면서 야스민이 빠진 상황에서도 상대 팀들이 쉽게 공략할 수 없는 탄탄한 전력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달 중순까지 야스민 없이 국내 선수들로만 버텨야 하는 현대건설은 호시탐탐 선두를 넘보는 흥국생명의 맹추격 속에서도 다양한 옵션을 구사하는 여유로움을 보이며, 지난해 코로나19로 이루지 못한 통합 우승을 준비하고 있다. 강성형 현대건설 감독은 “4라운드까지는 야스민이 뛰지 못할 것 같다. 이 기간 절반의 승리만 거둘 수 있다면 선두를 내주더라도 막판 5·6라운드에서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다”라며 “황연주, 양효진, 김연견 등 베테랑과 백업 선수들이 잘 해주고 있다. 우리의 목표는 챔피언전 우승인 만큼 4라운드를 잘 버텨주면 오히려 더 단단해진 전력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쑥쑥 크는 미들블로커 김민재, 대한항공 ‘선두 원동력’

프로배구 2년 차 미들블로커 김민재(19)가 인천 대한항공의 선두 질주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인천 인하사대부고 출신인 김민재는 지난해 신인드래프트에서 졸업 예정자 신분으로 참가해 2라운드 1순위에 호명되며 대한항공의 유니폼을 입었다. 짧은 구력에 기본기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195㎝의 큰 키에서 뿜어내는 공격력과 체공력, 기동력 등에서는 잠재력을 인정받았다. 첫 시즌인 2021-2022시즌은 김규민과 전성태, 조재영 등 미들블로커 포화인 대한항공에서 웜업존을 지키기 일쑤였다. 그러나 대한항공이 6라운드 1위가 확실시되자 점차 출전 기회가 늘기 시작했고, 어렵게 얻은 기회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뽐냈다. 상대적으로 미들블로커가 약하다는 평을 받는 대한항공이었기에 김민재의 활약은 더욱 눈에 띄었다. 특히 속공과 블로킹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시즌부터는 주전조로 급부상했다. 김민재는 토미 틸리카이넨 감독이 추구하는 빠른 배구에 빠르게 녹아들며 한층 발전한 기량을 보였고, 8월 말 주전조가 대거 국가대표로 차출된 틈을 타 KOVO컵 우승에 기여하며 전국구 스타의 탄생을 알렸다. 이에 힘입에 의정부 KB손보와 개막전 선발 출장을 시작으로 이번 시즌 17경기에 모두 출전하고 있다 김민재는 31일 기준 136득점(19위), 공격성공률 59.09%, 블로킹 세트당 0.59(6위)를 기록 중이다. 아직까지 경험 부족에서 나오는 범실과 서브에서 개선 점이 있지만 나이를 감안했을 때 향후 대표팀 미들블로커 자리를 10년 이상 책임질 수 있는 재원이다. 틸리카이넨 감독도 “김민재는 공격·블로킹·서브 능력을 두루 갖춘 선수”라며 “항상 배우려는 자세를 갖췄다. 더 성장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인기도 고공행진 중이다. 김민재는 2022-2023 올스타전 트펴서 6만8천433표를 받아 득표수 부동의 1위인 신영석(수원 한국전력·6만9천6표)과 단 500여 표차 경쟁을 벌이며 당당히 명단에 포함됐다. 오는 1월 29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리는 올스타전에 ‘Z-스타’에 출전할 예정이다. 대한항공이 최근 파죽의 9연승을 달리며 선두 독주 체제를 굳건히 하고 있는 가운데, 하루가 다르게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김민재의 성장세가 인천 팬들에게 또 하나의 즐거움이 되고 있다.

연승 중단 현대건설 VS 설욕 벼르는 흥국생명, ‘미리보는 챔프전’

도드람 2022-2023 V리그 여자부에서 1·2위를 달리고 있는 수원 현대건설과 인천 흥국생명이 오는 29일 오후 7시 수원체육관에서 시즌 3번째 맞대결을 펼친다. 26일 현재 현대건설이 15승1패, 승점 42로 선두를 달리고 있고, 한 경기를 더 치른 흥국생명이 승점 39(13승4패)로 맹추격하고 있다. 리그가 반환점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 큰 이변이 없는한 양 팀간의 챔피언전 격돌이 유력시 돼 이번 대결은 ‘미리보는 챔피언전’으로 주목을 받는다. 올 시즌 두 차례 대결서는 현대건설이 3대1, 3대0으로 모두 승리해 승점 3씩을 챙겼지만, 3번째 대결은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자칫하면 지난 시즌부터 이어져 오고 있는 홈 최다연승(23연승) 기록이 중단될 수도 있다. 팀 전력의 핵심인 야스민 베다르트가 허리 디스크 시술로 전력에서 이탈한데다 미들 블로커 이다현도 어깨 부상으로 빠져있기 때문이다. 둘이 빠진 상황에서도 현대건설은 지난 22일 김천 한국도로공사에 3대1로 승리를 거뒀으나, 25일 대전 KGC인삼공사에는 풀세트 접전 끝에 2대3으로 역전패해 개막 후 15연승 행진이 멈춰섰다. 더욱이 다음 상대가 ‘월드스타’ 김연경을 비롯, 옐레나, 이주아 삼각편대가 맹위를 떨치고 있는 흥국생명이어서 시즌 첫 연패 위기감 마저 감돌고 있다. 다행인 것은 팀 전력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야스민 등 핵심전력 2명이 빠졌음에도 황연주, 나현수, 정지윤 등 주전급 백업들이 공백을 잘 메워줘 어느 팀도 쉽게 넘볼 수 없는 전력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건설은 리그 최고의 리베로 김연견의 신들린 수비와 6년차 세터 김다인의 안정된 볼배급을 통한 다양한 공격에 높이가 강점이다. 하지만 장신 야스민과 이다현이 빠지면서 공·수 전력이 이전만 못하기 때문에 강한 서브로 상대 공격을 약화시키고 한 박자 빠른 퀵오픈과 속공 등으로 낮아진 높이를 극복해야 승산이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맞설 흥국생명은 20일 서울 GS칼텍스에 발목이 잡혔으나, 24일 화성 IBK기업은행에 셧아웃 승리를 따내며 여전한 전력을 과시했다. 김연경·옐레나 쌍포가 여전히 위력적이어서 이들을 막지 못한다면 현대건설은 어려운 경기가 예상된다. 개막 연승행진 중단 후 ‘안방불패’ 만은 이어가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는 현대건설과 올 시즌 두 차례 패배를 설욕하고 격차를 없애려는 흥국생명의 전반기 마지막 맞대결이 세밑 코트를 벌써부터 뜨겁게 달구고 있다.

상승세 꺾였던 흥국생명, 셧아웃 승리로 선두 추격 재점화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던 인천 흥국생명이 다시 일어나며 선두 재추격에 불을 당겼다. 흥국생명은 24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프로배구 ‘도드람 2022-2023 V리그’ 여자부 3라운드 화성 IBK기압은행과의 홈 경기에서 옐레나(24점)-김연경(15점)-이주아(7점) 삼각포가 불을 뿜어 3대0(25-17 25-17 25-18) 셧아웃 승을 거뒀다. 이로써 흥국생명은 승점 3을 추가하며 39점이 돼 두 경기를 덜 치른 개막 15연승의 선두 수원 현대건설(승점 41)과 승점 차를 2점으로 줄였다. 지난 20일 서울 GS칼텍스에 2대3으로 패해 상승세가 한풀 꺾인 흥국생명은 1세트부터 강하게 몰아붙였다. 상대 연속 실수로 5-2로 기분 좋은 출발을 한 뒤 김연경-이주아-옐레나의 삼각편대가 초반부터 힘을 내 점수 차를 벌렸다. IBK는 이후 표승주와 김수지, 김희진이 분투하며 점수 차를 좁히는 듯했으나 범실이 잇따르면서 세트를 헌납했다. 2세트는 초반 시소게임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김연경이 강한 서브로 주도권을 가져와 6-3 리드를 잡았고, 옐레나가 연속 퀵오픈 공격을 성공해 분위기를 완전히 가져왔다. IBK는 3연속 득점으로 16-12까지 따라잡았으나 또다시 김연경과 옐레나가 맹위를 떨쳐 25-17로 세트를 추가했다. 3세트서도 초반 11-11로 팽팽히 맞섰지만 흥국생명이 연속 7득점을 올리며 승부가 기울었고, IBK는 육서영과 산타나가 활약해 막판 3연속 득점했지만 옐레나가 강한 퀵오픈 공격으로 점수를 보태면서 25-18로 경기를 매듭지었다. 이날 경기 최우수선수(MVP)인 김연경은 “오늘 사실 한 것이 많이 없는데 MVP에 뽑혀서 어안이 벙벙하다. 최근 경기들이 많아 체력 문제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다른 선수들이 잘 해줘서 큰 부담감 없이 시즌을 보내고 있다”며 “올스타전에 1위로 뽑혀서 좋다. 많은 분들이 즐기고 갔으면 좋겠고, 크리스마스이브에 많은 팬분들 앞에서 경기를 치러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오는 29일 현대건설전을 앞두고는 “올해 마지막 경기이자 가장 중요한 경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수원에서 경기를 치르는데 현대건설이 오랜 시간 패가 없는 것으로 안다. 어려운 경기가 될 것이라 생각하지만 열심히 준비해서 한 번쯤 잡아보고 깊다”고 말했다.

14연승 현대건설 이끄는 ‘코트의 지휘자’ 프로 6년차 세터 김다인

프로 6년차 세터 김다인(24)이 수원 현대건설의 연승 가도를 지휘하고 있다. 김다인은 2017-2018 신인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4순위, 전체 8순위로 현대건설 유니폼을 입었다. 당시 국가대표 세터 출신인 이도희 감독의 기대감 속에 입단했으나, 부동의 세터 이다영의 그늘에 가려 좀처럼 출전 기회를 잡지 못했다. 데뷔 시즌 3경기 출전에 그쳤고 2018-2019 시즌에는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한 채 벤치만 지켰다. 2019-2020 시즌에도 이다영이 대표팀에 발탁돼 컵대회에 주전으로 나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고 라이징스타상까지 받으며 존재감을 알렸지만 정규리그에서는 여전히 웜업존을 지키는 신세였다. 2020-2021 시즌, 3년의 기다림 속에 드디어 기회가 찾아왔다. 이다영이 자유계약(FA)으로 떠나면서 세터 자리가 공석이 됐다. 이나연이 트레이드 영입돼 주전 경쟁을 예고했으나, 개막전부터 깜짝 선발로 나서는 등 많은 출전 기회가 주어졌다. 그리고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시즌 초 기복을 보였지만 점차 안정을 찾으며 처음으로 규정 세트 이상을 소화해냈고, 국가대표로도 발탁돼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주전 경쟁에서 살아남은 김다인은 발전을 거듭했다. 2021-2022 시즌 감독 교체 속에서도 확고한 주전 자리를 꿰찬 그는 리그 정상급 활약으로 화답했다. 강점으로 꼽히는 빠른 발과 리시브, 서브에서 물오른 퍼포먼스를 선보였고, 단점으로 지적됐던 백토스와 약한 멘털로 인한 범실 문제도 극복해냈다. 특히 양효진, 이다현 등 미들블로커들과 호흡을 보이며 새로운 공격 루트를 개척했다. 그 결과 지난 시즌 전 경기(31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우승을 이끈 주역이 됐고, ‘베스트 7’에도 이름을 올렸다. 이번 시즌 김다인의 활약은 더 눈부시다. 세트는 세트당 11.44개(2위), 서브 0.22개(3위)로 여자부 전체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으며 디그와 수비도 지난 시즌보다 한결 더 좋아졌다. 선수들과의 호흡, 토스 구질에서도 정상급으로 발전했다는 평가다. 이에 힘입어 소속팀 현대건설도 개막 최다 연승(14연승)과 홈 22연승의 고공 행진을 펼치며 선두를 질주하고 있다. 흔히 ‘배구는 세터 놀음’이라고 한다. 그만큼 세터의 역량이 팀의 경기력 발휘와 경기의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뜻이다. 무패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현대건설의 상승세는 ‘코트의 지휘자’ 세터 김다인의 현란한 볼배급에서 비롯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영웅기자

신영석·김연경, 올스타전 男女 최다 득표 ‘별중의 별’

신영석(수원 한국전력)과 김연경(인천 흥국생명)이 프로배구 올스타 팬 투표서 남녀 최다득표를 기록했다. 한국프로배구연맹(KOVO)은 19일 홈페이지를 통해 12일부터 18일까지 진행한 ‘도드람 2022-2023 V리그 올스타’ 팬 투표 결과를 공개했다. 남자부에서는 6만9천6표를 받은 신영석이 3시즌 연속 최다득표, 여자부에서는 8만2천297표를 얻은 김연경이 2년 만에 최다득표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올스타 선발은 선수들의 나이를 기준으로 M스타·Z스타로 나눠 투표를 진행했다. 남자는 1996년부터, 여자부는 1997년부터 Z세대로 분류했다. 이에 따라 M세대와 Z세대의 포지션별 올스타를 각 7명씩(아웃사이드히터·아포짓 3명, 미들블로커 2명, 세터 1명, 리베로 1명) 총 28명이 선정됐다. 이 가운데 경·인 연고 남녀 7개 팀에서는 12명의 올스타가 배출됐다. 먼저 M스타 남자부에서는 신영석과 한선수(인천 대한항공)가 뽑혔다. 신영석은 미들블로커에서 6만9천6표를 획득해 남자부 최다 득표의 영예를 안았고, 세터에서는 한선수가 5만3천526표로 1위에 올랐다. 남자부 Z스타에는 아웃사이드 히터·아포짓에서 임동혁(대한항공)이 6만623표로 득표 1위를 차지했으며, 미들블로커에서는 김민재(대한항공·6만8천433표)가 접전 끝에 1위로 올스타에 뽑혔다. 한편, 여자부 M스타에서는 아웃사이드 히터·아포짓에 최다득표자 김연경을 비롯해 김희진(화성 IBK·6만559표)이 2위로 뽑혔고, 미들블로커에는 양효진(수원 현대건설)이 6만2천890표로 1위를 기록, 김수지(IBK·6만2천398표)와 함께 13번째 올스타전에 참가하게 됐다. 리베로에서는 김해란(흥국생명)이 5만1천387표로 1위에 올라 영광을 안았다. Z스타에는 미들블로커에 이다현(현대건설)과 이주아(흥국생명)가 각 6만2천544표, 6만1천6표로 1,2위를 차지해 나란히 이름을 올렸고, 세터에서는 김다인(현대건설)이 4만544표로 별을 달게됐다. 한편, 팬투표로 뽑힌 28인 외에 전문위원회 추천을 통해 각 팀 3명, 총 12명이 추가 선발될 예정이다. 올스타전은 내년 1월29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다. 김영웅기자

개막 14연승 현대건설, 3연전 눈앞...연승행진 지속 분수령

시즌 개막 후 14연승과 지난 시즌부터 이어져온 홈 22연승의 고공 비행을 하고 있는 프로배구 수원 현대건설이 이번주부터 연승행진의 분수령이 될 중요한 3연전을 맞이한다. 강성형 감독이 이끄는 현대건설은 도드람 V리그 2022-2023 여자부에서 리그 최다인 개막 14연승을 기록하며 승점 38로 한 경기를 더 치른 2위 인천 흥국생명(12승3패·승점 35)에 3점 앞선 선두를 질주하고 있다. 홈 경기서는 지난해 10월17일부터 22연승을 거두고 있다. 막강 화력과 한층 더 견고해진 수비력을 바탕으로 연승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현대건설이 이번 주부터 ‘난적’들과 3연전을 앞두고 있어 연승행진 지속과 더불어 선두 독주 채비 구축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대건설은 22일 안방에서 3위 김천 한국도로공사(8승6패·승점 24)와 만난다. 지난 시즌 현대건설은 3패 가운데 두 번을 도로공사에 패했다. 개막 후 12연승을 달리다가 적지에서 2대3으로 패했고, 이후 15연승 후 역시 원정경기서 시즌 첫 0대3 패배를 당하는 등 두 차례나 연승행진에 제동이 걸렸다. 이번 시즌 도로공사와 앞선 두 차례 대결서 3대0, 3대2로 모두 승리했다. 하지만 지난 4일 두 번째 맞대결서 풀세트 접전 끝 진땀승을 거뒀 듯이 상대가 최근 지난 시즌의 기량이 살아나고 있어 이번 3라운드 맞대결서도 혈전이 예상되고 있다. 현대건설이 이날 승리하면 지난 시즌 기록했던 한 시즌 최다연승(15연승) 기록과 타이를 이루게 된다. 이어 현대건설은 25일 6위 대전 KGC인삼공사, 29일 2위 흥국생명과 연이어 격돌한다. 인삼공사는 올 시즌 6위에 머물러 있지만 지난 시즌 현대건설에 한 차례 패배를 안겼던 팀으로 올 시즌 두 차례 대결서도 모두 3대2 풀세트 접전을 펼쳤을 만큼 까다로운 상대다. 흥국생명 역시 1라운드서 3대1, 2라운드서 3대0으로 이겼으나 김연경·옐레나·이주아 삼각편대가 위력을 떨치고 있고, 호시탐탐 선두 도약을 노리고 있어 역시 힘든 경기가 예상된다. 더욱이 현대건설은 최근 팀의 간판인 센터 양효진이 코로나19 감염으로 2경기째 결장하고 있어 우려가 된다. 다행히 나현수가 양효진의 공백을 잘 메워주면서 연승행진을 이어가고 있어 양효진 복귀 후에도 그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여자부 ‘절대강자’ 현대건설이 연승행진 지속 여부가 가름될 첫 관문인 22일 도로공사전을 잘 넘겨 상승세를 지속할 수 있느냐는 선수들이 연승에 대한 부담감을 얼마나 떨쳐내느냐에 달려있다. 황선학기자

수원 현대건설, 개막 14연승 V리그 ‘신기록 행진’

수원 현대건설이 최약체 광주 페퍼 저축은행을 상대로 개막 최다 연승기록을 14경기로 늘렸다. 현대건설은 18일 광주 페퍼스타디움에서 열린 ‘도드람 2022-2023 V리그’ 여자부 3라운드 페퍼저축은행과의 원정 경기에서 양효진이 코로나19 감염으로 2경기 연속 결장했음에도 야스민(38점), 나현수(7점)의 활약으로 3대0(25-17 28-26 25-20)으로 완승을 거뒀다. 이로써 현대건설은 개막 후 14연승을 이어가며 승점 38을 기록, 한 경기를 더 치른 2위 인천 흥국생명(35점)과의 격차를 3점으로 벌렸다. 현대건설은 1세트부터 강하게 상대를 몰아붙였다. 야스민과 이다현의 블로킹과 연속 김다인의 서브에이스로 7-0으로 리드를 가져갔다. 이후 현대건설은 범실이 나오며 8-6까지 추격을 당했으나, 야스민이 3연속 공격을 성공시키며 15-7로 달아났고 고예림이 득점에 가세해 25-17로 기선을 제압했다. 그러나 1세트 무기력했던 페퍼저축은행이 2세트 들어 힘을 내며 고전했다. 고예림과 야스민의 연속 범실로 초반 3-6으로 이끌린 현대건설은정지윤을 투입해 다시 힘을 냈고 13-11로 역전에 성공했다. 기쁨도 잠시. 현대건설은 연속 6실점하며 위기에 몰렸으나 야스민의 공격이 폭발하고 2경기 연속 선발로 나선 나현수가 득점을 보태 듀스 접전을 28-26으로 따내 승기를 잡았다. 현대건설은 3세트도 초반부터 흐름을 가져왔다. 야스민을 중심으로 거침없는 공격을 퍼부으며 6-3으로 앞서갔다. 페퍼저축은행의 외국인선수 니아리드가 분투하며 7-7 동점을 만들었으나, 이후 야스민의 강타가 불을 뿜고 니아리드의 연속 후위공격 범실이 이어져 3세트도 가져왔다. 선발로 나서 경기 최우수선수(MVP)에 뽑힌 나현수는 “(양)효진 언니의 부상으로 2경기 연속 선발로 나섰는데 처음에는 긴장했지만 든든한 언니들을 믿고 경기하면서 금방 괜찮아졌다”며 “효진 언니 만큼의 활약을 할 수 없기에 센터 한자를 메운다는 생각으로 부담없이 경기했다. 기회를 잡기까지 오래 걸렸는데 앞으로도 좋은 모습을 보여드리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김영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