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오미크론 대유행이 완만한 감소세로 접어든 가운데,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사흘 연속 20만명대를 나타냈다. 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23만4천301명 늘어나 누적 1천387만4천216명을 기록했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전날(26만4천171명)보다 2만9천870명 감소했다. 지난 1일(28만273명)부터 하루 신규 확진자는 사흘째 20만명대다. 이는 1주일 전인 지난달 27일(31만8천72명)보다는 8만3천771명 줄었고, 2주 전인 지난달 20일(33만4천633명)보다는 10만332명 적다. 정부는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지나 지난달 말부터 서서히 감소세로 전환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확진자 증가 이후 시차를 두고 늘어나는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는 아직 정점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날 집계에서는 증가세가 주춤했다. 위중증 환자는 1천128명으로 전날(1천165명)보다 37명 감소했다. 최근 1주일간 1천200∼1천300명대를 오르내린 것과 비교하면 다소 줄었지만, 지난달 8일(1천7명)부터 한 달 가까이 네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전날 사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306명으로 직전일(339명)보다 33명 줄었다. 누적 사망자는 1만7천235명이고, 누적 치명률은 0.12%다. 경기도에선 전날(7만1천525명)보다 9천382명 줄어든 6만2천143명이 확진판정을 받았다. 누적 확진자는 384만7천24명이 됐으며, 이는 전체 경기도 인구의 27.6%에 해당한다. 한편 대만에서는 지난달 18일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체코발 대만 여성으로부터 오미크론 변이(BA.1)와 하위변이인 ‘스텔스 오미크론’(BA.2)의 혼합형 변이 ‘XE’가 검출됐다. XE가 검출된 여성은 검역소 검사에서 바이러스 농도가 다소 높았지만 무증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정민기자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새 약 10만명이 감소한 32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가 연일 최다 기록을 다시 썼다. 3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42만4천641명)보다 10만3천898명 감소한 32만743명이다. 통상적으로 주 후반에 진입할수록 검사 희망자가 늘어 확진자가 증가하는 양상과는 다른 상황이다. 하지만 위중증 환자는 지난 30일 1천301명과 비교해 14명 늘어난 1천315명으로 하루 만에 최다치를 경신했으며 지난 8일(1천7명) 이후 24일째 1천명대 발생을 이어갔다. 더욱이 방역당국은 지난 23일을 전후해 유행이 정점을 찍고 2~3주 후 상태가 악화한 환자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한 만큼 위중증 환자의 추가 발생 가능성이 있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375명으로 전날(432명)보다 57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최근 1주일 평균 사망자가 333명으로 산출됐기에 그 규모가 작지 않다는 평이다. 경기도에선 전날(11만7천29명)에 비해 3만2천372명 감소한 8만4천657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방역당국은 확진자 1천명을 대상으로 후유증 조사에 들어갔다. 그동안 후유증 관련 연구는 기저질환자나 중환자, 입원환자를 중심으로 이뤄진 것과 달리 이번에는 기저질환이 없는 60세 미만 완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한편 방역당국은 이날 일상회복지원위원회 회의를 거쳐 1일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40만명 이상으로 늘어난 가운데 정부가 요양시설·병원 내 사망자 줄이기에 나섰다. 3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전국 일일 확진자는 전날(34만7천554명)보다 7만7천87명이 늘어난 42만4천641명이다. 지난 28일 18만명대(18만7천213명)까지 감소한 신규 확진자는 주 후반으로 가면 갈수록 검사량 증가에 따른 확진자 폭증 양상으로 다시 늘어났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22일째 1천명대인 1천301명이고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432명이다. 역대 최다 기록인 지난 24일(469명)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규모다. 이처럼 사망자 발생이 심상치 않으면서 정부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더욱이 지난주(3월20~26일) 코로나19 사망자 2천516명 중 요양시설·병원에서 숨진 확진자가 38.7%(973명)으로 조사됨에 따라 정부는 해당 시설의 입원 조치를 강화한다. 우선 코로나19에 걸린 요양병원·시설 입소자의 상태가 경증일지라도 입원을 하게 할 방침이다. 중증인 입소자의 경우 병상배정 핫라인(Hot-line)을 통해 중증 전담 병상으로 이송하기로 했으며 의료인력 공백의 최소화를 위해 종사자의 격리기간을 3일까지 단축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에선 11만7천29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6일 만에 10만명대로 증가했다. 도내 사망자는 108명으로 역대 두 번째 규모를 기록했다. 한편 정부는 호흡기 이외의 분야 등 외래진료센터 신청 대상을 이날부터 확대한 것에 발맞춰 현행 재택치료 체계를 개편할 예정이다. 또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유행이 정점을 지나면 영업시간 제한 조치를 전면 해제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30만명 이상으로 다시 증가한 가운데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일시 해제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내놨다.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18만7천213명)보다 16만341명 늘어난 34만7천554명으로, 이틀 만에 30만명대로 올라섰다. 검사량 감소로 확진자가 줄어드는 주말의 영향이 사라지면서 양성 판정 사례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위중증 환자는 22일째 1천명대인 1천215명이고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237명이다. 경기도에선 전날 5만574명보다 3만8천128명 증가한 8만8천702명의 감염사실이 추가로 확인됐다. 다만 지난 20~26일 한 주간 발생한 도내 확진자는 전주(지난 13~19일) 76만881명보다 9만9천470명 감소한 66만1천411명으로 집계되는 등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방역당국은 오는 3일부터 적용될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에 대해 일시 해제보단 단계적 완화를 시사했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모든 조치를 해제하면 유행이 걷잡을 수 없이 퍼질 수 있어서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은 오는 31일 일상회복지원위원회 회의를 거쳐 다음달 1일 발표된다. 한편 방역당국은 지난주 확진자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확진자의 18.4%가 60세 이상으로 집계된 만큼 고령층을 대상으로 3차 백신 접종을 당부했다. 이 외에도 외래진료센터 신청 대상을 호흡기 관련 병·의원에서 모든 병·의원으로 확대했다. 기존 확진자들은 호흡기 질환 등 코로나19 관련 증상에 대해서만 외래진료를 받을 수 있었지만, 앞으론 해당 감염병 외 증상에 대해서도 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25일 만에 10만명대로 감소한 가운데 오는 3일부터 적용될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31만8천130명)보다 13만917명 줄어든 18만7천213명이다. 10만명대 확진자 발생은 지난 3일(19만8천799명) 이후 25일 만이다. 주말 동안 검사량 자체가 적어 확진자 역시 덩달아 줄어드는 양상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감소폭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방역당국은 유행이 잦아들고 있다고 공식 인정하면서도 56.3%의 검출률로 우세종이 된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BA.2)이 기승을 부리는 만큼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1천244명으로 21일째 1천명대이자 역대 최다 기록을 다시 썼다. 이에 대해 방역당국은 위증증 환자가 애초 예측치인 1천500명보다 적어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287명이다. 이런 가운데 방역당국은 이번주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에 대한 검토에 들어간다. 다음 달 2일까지 예정된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는 사적모임 8인, 영업시간 오후 11시로 규정된 게 주요 골자다. 발표 시기는 내달 1일 예상된다. 경기도에선 전날(8만5천382명)보다 3만4천808명 적은 5만574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한편 정부는 그동안 외래진료센터에서만 진행하던 대면 진료를 동네 병의원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정민기자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들이 31만명대로 조사된 가운데 정부가 유행이 감소세로 전환됐다고 판단했다. 2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33만5천580명)보다 1만7천350명 줄어든 31만8천130명이다. 주말과 휴일 영향으로 검사량이 감소, 확진자 역시 덩달아 줄어드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방역당국이 정점 시기로 예측한 지난 23일(49만881명) 이후 일일 확진자는 다음 날 39만5천598명, 25일 33만9천514명, 전날 33만5천580명으로 집계되는 등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이날 확진자는 역대 최다 기록인 지난 17일(62만1천205명)보다 30만3천75명 적다. 이를 토대로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유행이 정점을 찍고 둔화된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도 감소세 속도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면서 또 다른 변이 바이러스인 이른 바 스텔스 오미크론(BA.2)의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기존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30%가량 빨라 해외에선 이에 따른 코로나19 재유행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20일째 1천명대인 1천216명이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전날보다 41명 적은 282명이다. 경기도에선 8만5천382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고, 일일 도내 사망자는 66명이 추가돼 누적 사망자가 4천명(4천32명)을 돌파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내달 말까지 먹는 치료제 46만명분을 도입할 예정이다. 또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등 전국 14개 감염병전담병원은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응급실 운영을 재개, 일반환자의 진료를 시작한다. 이정민기자
경기도는 26일 0시 기준으로 집계된 25일 하루 도내 코로나19 확진자가 9만775명이라고 밝혔다. 전날(24일) 8만7천705명에 비해 3천70명 늘어나며 다시 9만명대로 올라왔다. 경기지역 신규 확진자는 지난주 수요일인 16일 18만1천994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한 뒤 이번 주 평일에는 8만명대13만명대를 오르내렸다. 누적 확진자는 321만1천522명이 됐다. 이는 전체 경기도 인구(지난해 12월 말 기준 1천392만5천862명:주민등록인구+등록외국인)의 23%에 해당한다. 사망자의 경우 83명으로 전날(90명)보다 7명 줄어들었다. 누적 사망자는 3천966명이 되며 4천명에 근접했다. 31개 시군별 확진자를 보면 수원시가 8천265명으로 가장 많았고 화성시(7천315명), 용인시(6천605명), 고양시(6천447명), 성남시(6천411명), 부천시(5천217명), 남양주시(4천426명), 안양시(4천295명), 안산시(4천123명) 등의 순이었다. 나머지 22개 시군도 모두 세자릿수 이상을 나타냈다. 도내 전담 병상 가동률은 46.3%로 전날(45.7%)보다 0.6%포인트 높아졌고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도 62.1%로 전날(61.9%)보다 0.2%포인트 올라갔다. 재택치료 중인 확진자는 49만1천101명으로 전날(48만3천407명)과 비교해 7천694명 늘어났다. 도내 백신 접종률은 1차 87.4%, 2차 86.4%, 3차 62.4%다. 이정민기자
전국에서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이 역대 가장 많이 발생한 가운데 방역당국이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진단 기관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사망자는 종전 최다 기록(지난 17일 429명)보다 41명 많은 470명이다.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로 지난달 18일 하루 확진자가 10만명을 돌파하는 등 확산 규모가 커지고 난 뒤 이에 따른 사망자 역시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전날(49만881명)보다 9만5천283명 감소한 39만5천598명이며 위중증 환자는 17일째 1천명대(1천81명)를 유지하고 있다. 경기도에선 10만7천472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전날(13만6천912명)과 비교해 2만9천440명 줄어든 것이다. 이날 도내 확진자 역시 지난 17일 85명의 직전 최다치를 넘어선 114명이다. 이런 가운데 검사체계가 확대될 조짐이 나오고 있다. 방역당국이 동네 병의원에서만 진행하던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대학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까지 시행하는 계획을 세우면서다. 한편 국가수리과학연구소울산과학기술원 등 국내 연구진은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정책이 현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 유행의 감소세 전환을 예상했다. 방역당국은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이정민기자
하루 동안 전국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이 50만명에 달하는 가운데 경기도에선 역대 두 번째 규모의 확진자가 나왔다. 2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35만3천968명)보다 13만6천913명 증가한 49만881명이다. 이에 따라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누적 확진자는 1천만명(1천42만7천247명)을 넘어섰다. 아울러 이날 위중증 환자는 1천84명으로 16일째 1천명대가 이어졌고 하루 사망자는 291명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이날을 기점으로 확진자 규모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 만큼 이러한 예측이 현실화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지난 21일부터 사적모임 규모가 6인에서 8인으로 늘어나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데다 기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최대 30% 강한 이른바 스텔스오미크론(BA.2)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결과를 속단할 수 없는 실정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향후 2주를 잘 견뎌낸다면 유행의 감소세를 하루라도 더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며 스텔스오미크론 중증화율 등은 기존 오미크론과 비교해 별 차이가 없기에 현 의료체계에서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에선 지난 17일(18만1천994명)에 이어 역대 두번째 규모인 13만6천912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전날 9만6천257명보다 4만655명 많은 수치다. 특히 수원(1만1천227명)용인(1만487명)고양(1만7명) 등 3개 특례시에서 1만명대 확진자가 나온 실정이다. 한편 정부는 오는 25일부터 신속항원검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60세이상면역저하자를 일반 관리군으로 전환한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미국 머크앤드컴퍼니(MSD)의 먹는 치료제 라게브리오캡슐(성분명 몰누피라비르)에 대해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이정민기자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전국 누적 확진자수가 국민 5명 중 1명인 1천만명에 육박했다. 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20만9천165명)보다 14만4천815명 늘어난 35만3천980명으로, 누적 확진자는 993만6천540명을 기록했다. 이날 6만3천460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 시 누적 확진자가 1천만명을 넘는다. 이는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에서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지 792일 만이다. 앞서 지난달 6일 0시 기준 국내 누적 확진자가 100만명을 넘었는데, 이는 첫 환자 발생 748일 만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말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에 상륙하고, 올해 1월 중순 우세종으로 올라서자 상황이 급전환됐다. 지난달 21일 0시 기준 200만명을 넘었고, 지난달 28일과 이달 9일 각각 300만명, 500만명을 넘어선 것이다. 결국 100만명을 넘어선 지 44일 만에 900만명이 추가로 감염되면서 누적 확진자가 1천만명에 이르게 됐다. 이런 가운데 해외 국가에서 전체 인구의 20%가 감염력을 가질 때 유행이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나는 사례가 있어 일각에서는 국내 유행 감소에 대한 기대도 나오지만, 방역당국은 아직 판단하기에 이르다는 의견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해외에서도 각국의 백신 접종을 통한 면역 확보와 방역 대응에 따라 정점 시기는 다양하다며 국내에서는 스텔스 오미크론의 영향이 향후 유행의 정점이나 감소 양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경기도는 하루 동안 9만6천257명이 확진됐다. 전날과 비교해 3만9천348명 늘어나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누적 확진자는 278만8천761명으로, 전체 경기도 인구의 20%를 넘어섰다. 최현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