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만명대 감소에도 정부 “더 지켜봐야…유행 구간 지연될 수도”

하루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가 20만명대로 감소했음에도 정부는 이른바 스텔스오미크론의 확산을 이유로 유행이 예상보다 뒤늦게 정점을 찍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2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33만4천708명)보다 12만5천539명 감소한 20만9천169명으로, 지난 11일(28만2천976명) 이후 열흘 만에 20만명대로 떨어졌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주말 영향에 따른 검사량 감소로 덩달아 확진자가 줄어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통상적으로 확진자가 급증하는 수요일 이후까지 확산 추이를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더욱이 방역당국은 기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더 강한 스텔스오미크론(BA.2)이 기승을 부리면서 유행 감소세의 전환이 늦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주(3월13~19일) 스텔스오미크론 검출률은 41.4%로 1주일 단위이자 최근 4주 동안 가장 큰 폭인 15.1%p 올랐으며 애초 정부는 오는 23일 전후를 정점 구간으로 예상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이날 위중증 환자는 1천130명으로 2주일째 1천명대 환자가 이어졌다. 이에 따라 전국 중증 병상 가동률은 전날에 비해 1.4%p 상승한 69.0%로 조사됐고 일일 사망자는 역대 두번째 규모인 329명이다. 하루 동안 경기도에선 5만6천909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지난 7일(5만2천730명) 이후 13일만에 5만명대로 줄어들었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는 24일까지 미국 머크앤드컴퍼니(MSD)의 먹는 치료제 라게브리오(성분명 몰누피라비르)의 긴급사용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방역당국은 백신 접종률이 답보 상태를 보이는 상황에서 요양병원요양원에서의 집단감염 사례와 60세 이상 고령층, 기저질환자, 미접종자 등 취약계층에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지속해서 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정민기자

21일부터 사적모임 6→8명…의료계, 위중증 환자 급증에 우려

정부가 21일부터 사적모임 최대 인원을 8인으로 완화하는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을 시행하는 가운데 의료계가 연이은 거리두기 완화로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며 방역 완화 방침에 반발하는 등 정부의 낙관론과 달리 방역 체계 곳곳에서 이상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2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8일 사적모임 인원을 6명에서 8명으로 완화하는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을 발표했다. 지난달 18일과 이달 4일 두 차례 조정을 통해 식당과 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을 오후 9시에서 10시로, 다시 11시까지로 1시간씩 연장한 데 이은 세번째 방역 완화 조치다. 이번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은 21일부터 내달 3일까지 시행되며 사적모임 인원 완화, 2차 접종을 완료한 만 12~17세의 3차 접종 본격 시행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유흥시설, 식당카페, 노래(코인)연습장, 실내체육시설 등 코로나19로 영업규제를 받는 다중이용시설 12종의 영업시간은 변동 없이 오후 11시까지로 유지된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확산세가 정점을 향해 가는 상황에서 정부가 방역 기준을 또다시 완화한 것을 두고, 의료계에선 강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위원회)는 환자가 급속히 증가하는 현재 상황에서는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방역 완화를 중지해야 한다며 정부의 방침에 우려를 표했다. 위원회는 코로나19 환자 발생률이 치명률 감소를 상쇄할 정도로 사망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며 오미크론 감염 후 기저질환의 악화로 인한 사망도 증가하고 있어, 현재 집계되는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오히려 과소평가된 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0시 기준으로 전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3만4천708명으로, 일일 사망자는 역대 두 번째로 많은 327명으로 집계됐다. 경기지역도 8만8천480이 확진됐고, 전날보다 1명 줄어든 64명이 사망했다. 특히 위중증 환자는 이날 1천33명으로, 지난 8일부터 13일 연속으로 1천명 이상의 위중증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전국 중증 병상 가동률은 67.6%(2천823개 중 1천908개 사용)로 전날(65.9%)보다 1.7%p 증가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이번 유행의 마지막 고비가 될 수도 있는 위중증사망자 정점에 대비, 21일부터 중증병상 입원자 중에서 전원(병원이동), 전실(병실이동)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환자에 대해 권고 절차 없이 바로 퇴실 명령을 내리는 등 병상 운영 효율화 조치를 강화한다. 정민훈기자

증가하는 중증 병상 가동률…길어질 수 있는 정점 시기

전파력이 강한 코로나19 오미크론 확산으로 위중증 환자를 치료하는 병상이 줄어드는 가운데 방역당국이 유행 정점 시기가 길어질 수 있다고 예측했다. 1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위중증 환자는 1천159명으로 전날(1천244명)보다 85명 줄었다. 이는 사망자(429명)가 대폭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확진자 자체가 늘면서 위중증 환자도 덩달아 늘어나는 구조가 계속되면서 위중증 환자는 지난 8일(1천7명) 1천명을 돌파한 이후 10일 연속 네 자릿수가 나오는 실정이다. 이런 탓에 전국 중증 병상 가동률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날 중증 병상 가동률은 전날(64.2%)보다 1.4%p 오른 65.6%(2천801개 중 1천838개 사용)이며 한 달 전인 지난달 17일(28.5%)과 비교해 35.7%p 증가했다. 이 때문에 지난해 말 발생한 중증 병상 대란이 우려되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오미크론 유행 정점 시기에 대한 기존 입장을 다소 변경했다. 정부는 애초 23일께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이후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내다봤으나 예상보다 거센 확산세 탓에 이 시기가 길어지거나 늦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정부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결과도 최종 확진 판정으로 인정되는 등 검사체계가 개편될 뿐더러 기존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30% 더 높은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 영향을 원인으로 내세웠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확산 발생 규모나 정점 지속 기간에 대해선 검사체계 변경 등으로 계산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며 방역 정책 등에 따라 확진자 등 구체적인 수치는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경기도 역대 네번째 규모 확진…정부 코로나19 1급 감염병 하향 조정 시사

경기도에서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이 9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정부가 코로나19를 1급 감염병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1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도내 신규 확진자는 9만4천813명이다. 지난 12일(10만7천943명)과 15일(10만2천984명), 10일(9만6천684명)에 이어 4번째 규모로 확진자가 많이 발생한 것이다. 더욱이 수원특례시에서만 1만60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성남시(8천362명), 남양주시(6천771명) 등 도내 4개 지방자치단체에서 5천명 이상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이날 전국 위중증 환자는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많은 1천244명으로 전날(1천196명)보다 48명 늘어 하루 만에 최다 기록을 다시 썼다. 국내 사망자는 164명이다. 이처럼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로 확산세가 누그러들지 않음에도 정부는 코로나19 감염병 등급 조정을 고려하고 있다. 현재 코로나19는 1급 감염병이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확진자 발생 시 방역당국에 즉시 이를 신고해야 하고 확진자는 읍암병실 등에서 격리돼야 한다. 또 정부는 코로나19와 같은 1급 감염병 확진자의 치료비를 전액 부담하고 있다. 그러나 연일 전국에서 30만~40만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면서 정부는 의료대응역량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코로나19가 1급 감염병에서 격하될 경우 의료진은 감염사실을 24시간 이내에만 통보하면 되는 등 신고체계가 바뀌며 치료비는 환자 측에서 낸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오미크론 위험도가 전반적으로 낮아지고 있고 중장기 측면에서 이를 검토해야하는 시점이라며 여러 의견을 들어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위중증·사망자 역대 최다…경기도 누적 200만명 돌파

코로나19 감염으로 하루 동안 상태가 악화하거나 숨진 사람이 그동안 가장 많이 발생한 가운데 경기도내 확진자가 나흘 만에 10만명대로 증가했다. 1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1천196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293명이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1천158명)보다 38명 증가, 하루 만에 최다치를 경신했고 사망자가 300명에 육박한 것은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이다. 위중증 환자는 8일 연속 1천명 이상, 사망자는 6일째 200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은 36만2천338명으로, 전날 30만9천784명보다 5만2천554명 늘었다. 정부가 오는 22일께 나올 것으로 예측한 하루 최대 37만2천명의 확진자 발생이 현실화되는 것이다. 경기도에선 10만2천984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역대 최다 기록이었던 지난 12일(10만7천943명) 이후 4일 만에 10만명을 넘어섰다. 이에 따라 도내 누적확진자는 200만명(205만5천186명)을 돌파했다. 특히 고양특례시에선 1만명에 육박한 확진자(9천4명)가 나왔으며 수원특례시(8천685명) 등 7개 지방자치단체에서 5천명 이상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한편 정부는 16일부터 다른 질환으로 입원 치료를 받다가 이에 감염된 확진자는 중증이 아닐 경우 일반 병상에서 계속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으로 치료체계를 변경했다. 이정민기자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인정 첫날…경인지역 시민들 “줄 서다 감염될까봐 걱정”

“코로나19 검사받으러 왔다가 되려 감염될까 걱정입니다.”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확진자로 인정하는 첫날, 경기지역 곳곳에는 동네 병·의원으로 향하는 행렬이 길게 이어졌다. 코로나19 검사 대기자들은 수십명의 사람들과 함께 줄을 서서 2~3시간 기다리는 동안 감염에 대한 우려까지 겹쳐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었다. 14일 오후 2시41분께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한 성심중앙병원. 빗줄기가 굵어지기 시작하는 가운데 시민 17명이 우산을 들고 병원 입구에 줄지어 대기했다. 시민들은 입구 오른편에서 성명과 주소 등을 기입하고 입구 왼편에서 검사를 실시했다. 이 병원은 내부에 확진자가 몰리는 것을 막고자 외부에 선별검사소를 차렸으나, 이날 비를 피하기 위해 대기자들이 건물 밑에 바싹 모여있어 거리두기가 따로 이뤄지지 않았다. 검사소를 찾은 A씨(33)는 “보건소 대기 줄이 너무 길어 진료비를 감안하고 병원으로 찾아왔다”며 “보건소보다 대기 시간이 짧고 신속하게 검사 결과 확인할 수 있어 좋지만, 대기열이나 결과를 기다리는 검사자들 사이에 거리두기가 지켜지지 않아 대기 중에 감염될까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고양특례시 일산신도시에 거주하는 B씨(55·여)도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이날 동네 병의원을 찾았다. 그는 지난 11일 자녀의 확진으로 13일 자가검사키트로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동네 병원에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하다는 소식을 듣고 인근 이비인후과에서 진단검사를 받고 최종 음성판정을 받았다. B씨는 “병원에 사람들이 많아 2시간가량 기다렸다가 진단을 받고 20분 뒤 확진유무를 확인했다”며 “자가검사키트를 신뢰하지 않는데 동네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을 수 있어 편리했다. 다만 기다리는 게 불편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수원특례시 팔달구의 한 이비인후과에도 오전부터 검사 대기자가 병원 밖 계단까지 대기 행렬을 이뤘다. 병원 직원들은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대비를 위해 방호복까지 챙겨 입고 검사자들을 맞았다. 이 병원에는 대기자가 30명에 육박하면서 접수부터 검사까지 1시간을 넘겨야 했다. 검사를 받으러 온 시민 C씨(40)는 “대기공간이 따로 없는 병의원에서 검사를 기다리다가 감염이 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이와 함께 인천 부평구의 한 병원에도 이날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이 거리를 가득 메웠다. 검사 대기자들은 병원 건물을 둘러싸고 인도를 침범, 인근 지하철역 입구까지 길게 늘어서 거리두기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한편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는 전국 7천588개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호흡기진료지정의료기관에서 받을 수 있으며, 한 달간 적용하고 평가한 뒤 연장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평택=최해영기자

위중증 역대 최다… 31일부터 5~11세 백신 접종 시작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로 하루 위중증 환자가 그동안 가장 많이 발생한 가운데 정부가 5~11세에 대한 백신 접종을 이달 말부터 시작한다. 1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위중증 환자는 1천158명으로, 지난해 12월29일(1천151명)을 넘어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특히 이 환자는 지난 8일 1천명대로 올라선 후 약 1주일 연속 네자릿수를 기록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국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도 전날(64.1%)보다 2.7%p 상승한 66.8%(2천751개 중 1천839개 사용)로 조사됐다. 이날 사망자는 200명이다. 여기에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은 30만9천790명이다. 전날 35만188명보다 4만398명 적지만, 지난 12일부터 사흘 연속 30만명 확진자가 나왔다. 이 같은 상황 속에 정부는 국내 7개 연구기관의 예측 모형을 토대로 이번주 내 일일 확진자가 29만5천~37만2천명 사이에 발생하는 등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내다봤다. 동시에 23일 이후에는 하향 곡선을 전망했다. 경기도에선 7만7천421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고 도내 하루 사망자는 66명으로 최다치가 나왔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만 5~11세에 대한 백신 사전 예약을 오는 24일부터 진행한다. 만 11세 이하 확진자가 전체 확진자의 15%를 육박한다는 점을 고려했으며 본격적인 접종은 오는 31일부터다. 또 2차 접종을 완료한 만 1217세(2005년2010년생) 청소년에 대한 3차 접종이 이날부터 시행됐다. 한편 정부는 오는 20일까지 예정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검토를 시작했다. 또 지난주(3월6~12일) 전국 코로나19 위험도는 5단계 중 최고 단계인 매우 높음으로 2주 연속 평가됐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35만명…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로 확진안 도입

하루 동안 전국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이 35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정부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로 최종 확진 판정을 내리는 방안을 시행한다.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 역대 최다 기록이었던 38만3천664명보다 3만3천474명 감소한 35만190명이다. 1주일 전인 지난 6일(24만3천621명)과 비교하면 1.4배, 2주일 전인 지난달 27일(16만3천560명)의 2.1배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확산 규모는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로 더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실제 방역 당국은 다음주(3월14~19일) 확산세가 정점을 찍을 것으로 내다보고 주간 평균 하루 확진자를 최대 37만명으로 전망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1천74명으로, 지난 8일부터 1천명 이상 유지되고 있으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251명이다. 경기도에선 전날(10만7천943명)보다 1만6천473명 감소한 9만1천47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도내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날(58.8%)보다 0.8%p 상승한 59.6%이다. 한편 14일부터 동네 병의원에서 받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추가로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받지 않고도 확진자로 인정되는 제도가 도입된다. PCR 검사에 대한 보건소 업무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여기에 정부는 코로나19 사망자 급증에 따른 화장시설 포화를 막기 위해 해당 시설을 늘리는 한편, 해당 감염병의 대응을 일반 의료체계로 전환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또 14일부터 동거인이 코로나19에 확진된 학생과 교직원도 학교에 갈 수 있게 된다. 이정민기자

이틀째 30만명대…정부 “다음주 중 유행 정점”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이틀째 30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정부가 내주 확산세가 정점에 치달을 것으로 내다봤다. 1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전국 확진자는 32만7천549명으로 전날(34만2천438명)보다 1만4천889명 적은 수치지만 연이틀 30만명대 확진자가 나온 실정이다.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이달 3일(19만8천800명)보다 1.6배, 2주일 전인 지난달 24일(17만7명)보다 1.9배 각각 많다. 이처럼 확산세가 누그러들지 않은 데다 전날 확진자가 최초로 30만명을 돌파하면서 정부는 이번 주를 포함한 앞으로 2주간 확진자 발생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방역당국이 지난달 말 복수의 연구기관 전망을 토대로 오는 12일께 35만4천명 규모의 확진자 발생을 예측한 게 기반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정부는 정점인 다음 주 이후에는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1천113명이고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역대 두번째 규모인 206명이다. 경기도에선 전날(9만6천684명)보다 8천540명 줄어든 8만8천144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도내 중증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날(55.6%)보다 0.3%p 오른 55.9%이며 재택치료 중인 경기지역 확진자는 32만8천516명으로 나흘째 30만명대를 유지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PCR(유전자 증폭) 검사 없이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로 코로나19 감염여부를 판단하는 방안을 11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또 확진자를 일반 의료체계 안에서 치료하는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가동하자고 의료계에 제안했다. 이정민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