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이어진 거리두기 조치가 풀리면서 타격이 불가피했던 자영업자의 숨통을 틔우는 한편 의료체계의 일상화가 기대된다. 다만, 신종변이의 출현과 접종 면역 효과의 감소, 계절적 요인 등 코로나19 재확산의 위험요인은 여전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방역 당국은 오는 25일 고시 개정을 통해 코로나19에 대한 감염병 등급을 1급에서 2급으로 하향하고, 방역·의료체계의 일상화를 본격 추진한다. 홍역, 수두 등과 같은 2급 감염병으로 분류되면 1급일 때 적용되던 ‘확진 시 7일간의 격리 의무’ 등이 사라진다. 확진자는 방역수칙을 준수하면서 일반 의료기관을 이용하면 되고, 의무 격리가 사라지면서 생활비나 유급휴가비 등에 대한 정부 지원은 중단된다. 현재까지 코로나19 검사를 도맡다시피 했던 보건소는 감염 고위험군에 대한 검사에 집중하게 된다. 방역 당국은 비상체계에서 확보했던 코로나19 지정 병상과 생활치료센터 병상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고, 축소했던 특수·응급진료 기능도 복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9만3천1명, 누적 1천630만5천752명으로 집계됐다. 일주일 전인 지난 10일 16만4천456명보다 7만1천455명 적다. 경기도에선 2만3천118명이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누적 448만8천649명을 기록했다. 확진세가 다소 누그러들고 있지만, 여전히 일일 10만명대 신규 확진자가 쏟아지는 데다 사망자 역시 하루 200명 이상 나오고 있어 거리두기 전면 해제에 대한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방역 당국은 이번 거리두기 해제 조치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신종변이가 발생할 경우 다시 입국을 제한하고 필요하면 3T(검사·추적·격리·치료) 및 거리두기, 재택치료를 재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재로선 유행이 정점을 지난 것일 뿐이지 끝난게 아니다”라며 “사회·경제적 어려움도 방역 완화의 요인이 될 수는 있지만 주된 기준이 돼선 안 된다. 유행의 칼자루를 쥔 바이러스는 지금처럼 바이러스가 퍼지기 좋은 시기와 상황을 기다리고 있다”고 경계했다. 장희준기자
환경·질병
장희준
2022-04-17 1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