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하루 확진자 30만명 시대가 도래했다. 역대 최다 발생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이달 중순께 정점을 찍을 것으로 보고 있다. 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전국 신규 확진자는 34만2천466명이다. 전날(20만2천720명)보다 13만9천726명이 늘어남에 따라 누적 확진자는 521만2천118명으로 집계됐다. 대한민국 국민 10명 중 1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된 셈이다. 특히 주 후반으로 접어드는 수요일 기점으로 이른바 주말휴일 효과가 사라진 데다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면서 확산 규모가 커지는 경향이 반복됐다. 더욱이 이날 확진자는 방역당국이 이달 중순께 나올 것으로 예상한 하루 최대 35만4천명에 육박한 수치다. 전문가들은 확산세가 더 거세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자신의 SNS를 통해 이날부터 2주간 유행의 최정점을 지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며 아마도 111516일에 발표될 신규 확진자가 체감하기에 가장 많은 수치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이틀째 1천명대인 1천87명이고 하루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158명이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에선 전날(5만2천730명)보다 4만3천954명 많은 9만6천684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돼 하루 10만명 확진 시대를 눈앞에 뒀다. 31개 시군 중 수원시에서 8천86명이 양성 판정을 받는 등 5개 지방자치단체에서 5천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처럼 도내 확산세가 누그러들지 않으면서 중증 환자의 병상도 빠르게 차고 있다. 이날 도내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한달 전인 지난달 9일의 22.1%(872개 중 193개 사용)보다 33.5%p 높은 55.6%(874개 중 486 사용)로 조사됐다. 정 교수는 오미크론 유행의 마지막 위기는 중증환자가 더욱 늘어나는 이번 달 말에서 다음 달 초로 예상된다며 이 때 병상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느냐에 따라 국민의 소중한 생명이 걸려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오는 12일부터 군의관 206명을 전국 중환자 전담 병상에 투입할 예정이다. 이정민기자
하루 위중증 환자가 약 두 달만에 1천명을 돌파한 가운데 경기도에선 누적 확진자가 141만명을 넘어섰다.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전국 위중증 환자는 1천7명이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 1월3일(1천15명) 이후 64일 만에 1천명 이상의 위중증 환자가 나온 것이다. 이와 관련 정부는 병상의 효율적인 운영으로 2천500명까지 위중증 환자를 관리할 수 있다고 밝혔으나 확진자 자체가 많아 상태가 안 좋은 환자들이 언제든지 증가할 수 있는 실정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전날 21만716명보다 7천955명 줄어든 20만2천721명이다. 상대적으로 검사량 자체가 적은 주말과 휴일의 영향이 주 초반까지 이어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확진자가 적게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주 후반에 진입할수록 확진자가 급격히 늘어나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데다 대통령 선거일인 9일 휴일을 맞아 인구 이동에 따른 감염 확산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경기도에선 하루 동안 5만2천730명의 감염사실이 확인, 누적 141만8천121명 기록했다. 경기도민(지난해 12월 기준 1천392만5천862명) 10명당 1명꼴로 코로나19에 걸린 셈이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는 생후 6개월 이상 11세 이하 소아 확진자를 집중 치료하는 소아특화 거점전담병원 13곳을 운영한다. 이로써 소아병상 628개가 추가돼 경기도는 총 880개의 소아병상을 확보했다. 한편 오는 10일부터 귀국자, 요양시설병원 등 감염취약시설 종사자에 대한 유전자증폭(PCR) 검사 횟수가 줄어든다. ▲귀국자의 경우 국내 입국 1일차와 7일차 등 총 2회의 PCR ▲감염취약시설 종사자는 1주일에 PCR신속항원검사 각각 2회로 현재 규정돼 있다. 정부는 검사 효율성을 위해 귀국자의 경우 입국 1일 차에만 PCR 검사를 진행하며 감염취약시설 종사자가 4차 백신을 맞을 경우 PCR 검사를 면제할 방침이다. 이정민기자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이 24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해 본격적인 완화 검토에 들어갈 방침이다. 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25만4천327명)보다 1만699명 감소한 24만3천628명이다.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2월27일 16만3천561명)의 1.5배, 2주일 전(2월20일 10만4천825명)의 2.3배 각각 많은 수치다. 전국 위중증 환자는 885명으로 연이틀(전날 896명) 800명대를 기록했다.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161명이다. 경기도에선 전날(7만244명)보다 3천407명 감소한 6만6천837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지난 5일 0시를 기점으로 사적모임의 경우 6인으로 유지하되 영업시간은 1시간 늘린 오후 11시 등의 내용으로 거리두기를 완화했다. 정부는 오는 20일까지 예정된 이번 거리두기 종료 이후 해당 조치를 대폭 푸는 방안을 고려할 예정이다. 단계적 일상회복이 중단된 이후 11주 동안 거리두기가 적용되면서 서민경제의 피해가 막중하다는 판단에서다. 한편 전날 오후 5시부터 1시간 동안 확진자들의 대선 사전 투표가 이뤄진 가운데 추위 속 긴 대기시간으로 증상 악화 논란이 이어지자 정부는 오는 9일 본 투표에 대해 보완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정민기자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19만명대로 감소한 가운데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시점을 두고 고심하고 있다.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전국 확진자는 역대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던 전날(21만9천240명)보다 2만437명 감소한 19만8천803명이다. 1주일 전인 지난달 24일(17만7명)보다 1.2배, 2주일 전인 17일(9만3천129명)보다 2.1배 각각 많은 수치다. 다만 직전 주보다 확진자가 두 배 이상 늘어나는 이른바 더블링 현상은 없어 확진자 증가세는 둔화된 상태다. 이 현상은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우세종을 넘어 지배종이 됐던 지난달 중순 뚜렷하게 나타난 바 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766명으로 나흘째 700명대가 발생했고 하루 사망자는 종전 최다 기록인 지난달 28일의 114명보다 14명 많은 128명이다. 경기도에선 5만1천943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으며 이날 도내 사망자는 30명으로 그동안 가장 많이 나왔다. 이런 가운데 오는 13일까지 예정된 거리두기 완화를 조기에 검토하겠다고 밝힌 정부는 이 시점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사적모임 6인영업시간 오후 10시가 주요 골자인 현행 거리두기에 대해 8인오후 11시 등 규제 내용이 완화될 뿐만 아니라 4일 발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나 정부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는 입장을 내비친 것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비롯해 중앙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광범위하게 의견을 듣고 있다며 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거리두기 완화 내용이 포함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유행 상황을 반영, 중환자실 입실 기준 변경을 논의 중이다. 이정민기자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경기도 확진자가 누적 100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기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더 강할 가능성이 있는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의 점유율이 높아진 것으로 드러났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도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3만9천213명)보다 2만9천410명 많은 6만8천623명으로 하루 동안 가장 많은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종전 최다 기록인 지난달 23일의 5만3천532명보다 1만5천91명 많은 수치다. 이로써 도내 총 확진자는 104만8천539명으로 100만명을 돌파했다. 지난달 17일(50만738명) 누적 확진자가 50만명을 돌파한 뒤 13일 만에 100만명대로 올라서는 등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으로 확산세가 거세지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이 같은 오미크론보다 더 전파력이 강할 수 있는 BA.2 변이가 국내에서도 기승을 부릴 조짐이 나와 방역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국내 BA.2의 검출률은 지난달 첫째 주 1.0%에서 넷째 주 10.3%로 증가했다. 변이 종류가 잘 구별되지 않아 스텔스 오미크론(해당 바이러스 세부 계통)이라 불리는 BA.2 변이는 이미 덴마크나 중국, 인도 등에선 우세종화된 실정이다. 이와 관련, 고재영 질병관리청 대변인은 B.A2가 높은 전파력을 보이고 있으나 기존 변이보다는 중증도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면서도 BA.2가 국내 우세종이 되면 유행 정점이나 확진자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22만명에 육박한 확진자(21만9천41명) 발생에도 해당 증가율 자체는 더딘 것으로 판단했다. 1주일 전보다 확진자가 두 배 이상 늘어나는 등 이른바 더블링 현상이 둔화한 것이다. 따라서 이르면 1주일 안으로 유행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정민기자
하루 동안 전국에서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이틀째 13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경기지역에선 올해 가장 많은 일일 사망자가 발생했다. 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13만9천626명)보다 633명 감소한 13만8천993명이다. 그러나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22일(9만9천569명)보다 1.4배, 2주일 전인 지난 15일(5만7천169명)보다 2.4배 각각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더욱이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는 데다 주 후반으로 갈수록 검사량 증가에 따른 확진자 폭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국내외 연구진의 예측을 토대로 오는 9일을 기점으로 하루 23만명 이상의 확진자 발생을 예고한 바 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전날(715명)보다 12명 증가한 727명, 사망자는 연이틀(전날 114명) 110명대인 112명으로 각각 조사됐다. 경기도에선 3만9천213명이 확진됐다. 도내 31개 시군 중 수원특례시(3천304명)와 고양특례시(3천122명), 화성시(3천2명) 등 3개 시에서 3천명 이상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특히 도내 하루 사망자는 27명으로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이날 0시를 기해 식당, 카페와 같은 전국 다중이용시설 11종에 대한 방역패스가 잠정 중단됐다. 지난해 11월1일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에 따라 도입된 이 같은 출입 절차가 120일 만에 사라진 것이다. 해제 첫날 경기도내 식당과 카페 등의 출입 과정에선 큰 혼선 없이 대체로 차분한 모습을 보였다. 한편 2일부터 새학기 개학을 앞두고 학교들은 개학 후 2주간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등교원격수업 등 학사 운영을 탄력적으로 진행할 방침이다. 이정민기자
코로나19 하루 사망자가 역대 최다 기록을 갈아치운 가운데 정부가 오는 9일께 신규 확진자가 23만명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2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사망자는 114명으로 그동안 가장 많은 시민이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숨을 거뒀다. 종전 최다 기록은 지난 26일 112명이다. 보름 전까지만 해도 200명대 수준이었던 하루 위중증 환자는 전날(663명)보다 52명 증가한 715명으로 조사돼 빠른 증가세를 보이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이날 신규 확진자는 전날(16만3천565명)과 비교해 2만3천939명이 감소한 13만9천626명으로, 엿새 만에 13만명대로 줄어들었다. 경기도에선 전날(4만6천801명)에 비해 9천543명 적은 3만7천258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그러나 도내 재택치료자는 22만명(22만3천864명)을 넘어섰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국내외 7개 연구진의 예측을 종합한 결과, 오는 9일께 하루 23만명 이상의 확진자와 1천200명 이상의 위중증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코로나19 유행 상황은 3월 초부터 중순 사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측됐다. 이 기간 하루 최대 예상 확진자는 35만명이다. 위중증 환자의 경우 오는 19일 1천700명을 돌파하고 같은 달 31일 2천200명 규모에서 정점이 형성된다는 연구기관 관측이 각각 나왔다. 정부는 이 같은 코로나19 유행 상황을 염두에 두고 대응 전략을 세우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코로나19 탓에 등교하지 않은 학생들에 대해 출석 인정 결석처리를 하기로 했다. 등교 중지 학생이 학급 단위 이상 원격수업에 참여할 경우 출석으로 처리된다. 또 백신 접종을 마친 해외 입국자에 한해 자가 격리를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정민기자
전국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300만명에 육박한 가운데 중증 병상 가동률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사흘 연속 16만명대인 16만3천566명이다. 이로써 누적 확진자는 299만4천841명으로 집계, 300만명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누적 확진자는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이달 6일 100만명에 도달하기까지 748일이 걸렸다. 그러나 지난 21일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200만명이 되는 데는 불과 15일밖에 걸리지 않았으며 300만명 도달까지는 1주일로 간격이 더 단축됐다. 또 이날 확진자는 전날(16만6천207명)보다 2천643명 줄었으나 1주일 전인 지난 20일(10만4천825명)과 비교하면 1.6배, 2주일 전인 13일(5만6천410명)의 2.9배 증가했다. 경기도에선 4만6천801명이 코로나19에 걸려 도내 총 확진자가 90만3천445명으로 조사됐다. 이런 가운데 한때 10%대 중반까지 떨어졌던 중증 병상 가동률이 한 달 동안 30%대 후반까지 올랐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전날(643명)보다 20명 증가한 663명으로 더욱이 최근 4주간 하루 평균 위중증 환자는 272명, 275명, 343명, 541명으로 4주 만에 2배 가까이 늘어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달 넷째 주(2월2026일) 전국의 중증 병상 가동률은 37.8%로, 셋째 주(2월1319일) 27.3%에 비해 10.5%p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진자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위중증 환자도 덩달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지난주 60세 이상 확진자는 일평균 1만8천560명으로, 직전주(일평균 9천199명)와 비교하면 2배가 되는 등 고령 확진자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이날 사망자는 49명이다. 이정민기자
경기도는 25일 0시 기준으로 집계된 24일 하루 도내 코로나19 확진자가 4만8천82명이라고 밝혔다. 역대 최다였던 22일 5만3천532명과 23일 5만1천320명에 미치지 못했지만, 지난 23일 검사 건수가 12만6천여명으로 21일과 22일에 비해 1만~2만명 줄어든 점을 고려하면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누적 확진자도 80만8천494명으로 80만명대로 돌파했다. 사망자는 지난 22일과 같은 26명으로 올해 들어 최다였다. 누적 사망자는 2천429명이 됐다. 시군별 확진자를 보면 수원시가 4천16명으로 가장 많았고 용인시(3천800명), 고양시(3천276명), 성남시(3천169명), 화성시(3천157명) 등 4개 시도 3천명을 넘었다. 남양주시(2천693명), 부천시(2천692명), 안산시(2천474명), 안양시(2천4명) 등 4개 시는 2천명대를 나타냈다. 전체 31개 시군 가운데 확진자 100명이 되지 않은 곳은 연천군(76명)이 유일했다. 도내 전담 병상 가동률은 52.6%로 전날(52.3%)보다 0.3%포인트 올라갔고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의 경우 41.4%로 전날(42.7%)보다 1.3%포인트 내려갔다. 재택치료 중인 확진자는 18만1천960명으로 전날(18만3천705명)과 비교해 1천745명 늘어났다. 도내 1차 백신 접종률은 87.1%, 2차 86.1%, 3차 59.2%다. 이정민기자
코로나19 전국 하루 확진자가 이틀째 17만명대를 유지한 가운데 정부가 검사 방법의 다변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2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17만16명으로, 이틀 연속(전날 17만1천451명) 17만명대를 기록했다. 이는 1주일 전인 지난 17일(9만3천131명)보다 두 배 가까운, 2주일 전인 지난 10일(5만4천120명)보다 세 배 넘은 수치다. 이와 같이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로 확산 규모가 커지면서 위중증 환자도 덩달아 증가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전날(512명)보다 69명 증가한 581명으로 연이틀 500명대로 집계됐다. 이번달 중순까지 200명대를 유지했던 위중증 환자가 600명에 육박한 것이다. 또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82명이다. 경기도에선 5만1천320명의 감염사실이 확인, 전날(5만3천532명)과 비교해 2천212명이 줄어들었지만, 이틀째 5만명대를 이어갔다. 도내 재택치료자는 16만3천705명으로 전날(14만8천445명)보다 1만5천260명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 판정이 나오면 PCR(유전자 증폭) 검사 없이 최종 확진 판정을 내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러한 검사 결과, 90%의 양성 판정이 최종적으로 코로나19 감염으로 확인되는 등 정확도가 높은 데다 보건소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침과 같은 타액으로 감염을 확인하는 검사 방법이 개발될 경우 도입을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해당 방식은 코나 목에 면봉을 깊숙이 찌르지 않는 등 거부감이 없으나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기에 정부는 이에 대한 지원을 계속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22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17만1천488명)가 전 세계에서 독일(22만1천478명)에 이어 두번째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정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