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속 또 다른 감염병 A형간염…감염자 급증

코로나19 2년차인 지난해 경기도내 A형간염 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1년차였던 2020년 당시에는 철저한 방역수칙이 이뤄졌지만, 지난해의 경우 지속되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개인위생 관리에 허점이 생겼고 ‘위드 코로나’ 등으로 느슨한 방역수칙이 시행되며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A형간염 감염자는 지난 2020년(1천330명)보다 1천129명 많은 2천459명이다. 중국산 조개젓 유입에 따라 감염자가 급증했던 지난 2019년을 제외하고 최근 5년 동안 가장 많은 수치이며, 같은 기간 평균 감염자인 2천252명보다 207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흔히 ‘개발도상국 병’이라 불리는 A형간염은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감염 시 바이러스가 인체 간세포 안에서 증식해 발열과 식욕감퇴, 구토 등을 유발한다. 심하면 급성 간염과 같은 위중한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지난해 도내 인구 10만명당 감염자는 전국 평균(11.94명)보다 많은 18.47명으로 집계, 충남(22.07명)과 인천(19.32명)에 이어 세 번째로 규모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지난해 도내 감염자 10명 중 4명(39.4%, 2천459명 중 971명)은 항체 보유율이 낮은 20~30대로 조사됐다. 20대의 항체 보유율은 26.7%, 30대는 26.1%이다. 이 연령대는 40대 이상(항체 보유율 40대 60.4%, 50대 이상 93.9%)처럼 어렸을 때 A형간염에 걸려 항체가 형성되지 않은 데다 현재 10대와 같이 예방 접종 의무화 대상(1997년 이후 출생자)이 아니기에 이 같은 감염병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문가들은 예방 접종을 강조하는 한편 개인위생 수칙 준수를 당부하고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국내 코로나19 사태 발생 첫해인 지난 2020년에는 시민이 손 씻기 등을 수시로 해 A형간염 발생 사례가 적었지만 지난해의 경우 위드 코로나 시행 등 해이해진 방역으로 개인위생을 지키지 않아 감염자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며 “백신 접종에 따른 항체 형성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 방법이며 음식을 잘 익혀 먹거나 손을 잘 씻는 등 위생 수칙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A형간염 예방 접종은 도내 보건소와 지정 의료기관에서 이뤄지고 있다. 이정민ㆍ박문기기자

신규 확진 3천129명…위중증 2주 연속 1천명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이틀 연속 3천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는 2주 연속 1천명대를 유지했다.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3천129명으로, 전날(3천832명)에 이어 이틀 연속 3천명대를 기록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전날 1천24명보다 9명 감소한 1천15명으로, 2주 연속 1천명대에 머물고 있다.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36명이다. 수도권 중증 병상 가동률은 직전일 62.3%보다 1.6%p 오른 63.9%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지난해 12월 다섯째 주(12월26일~1월1일) 전국 코로나19 위험도를 6주째 최고 단계인 매우 높음으로 평가했다. 특히 수도권은 지난해 11월 셋째 주(11월14~20일) 이후 7주 연속 매우 높음 지표를 받았다. 경기도에선 하루 동안 917명이 확진돼 지난해 11월29일(909명) 이후 34일 만에 1천명 아래를 기록했다. 도내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은 59.5%(566개 중 337개 사용)로 전날(57.2%)보다 2.3%p 증가했으나 이틀 연속 50%대 유지했다. 한편 국내 최초로 오미크론 감염자 2명이 사망하는 사례가 나왔다. 이들은 광주광역시 남구 한 요양병원에서 입원하다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후 유전체에서 오미크론이 검출됐으며 12월27ㆍ29일 각각 세상을 떠났다. 또 국내 오미크론 감염자 1천318명 중 55명은 추가 접종 후 확진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5주 만에 주말 3천명대…백화점 방역패스 적용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주말 기준으로 5주 만에 3천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정부가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2주 연장한다. 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3천833명으로 토요일(발표일 일요일) 기준상 지난해 11월28일(3천925명) 이후 35일 만에 3천명대로 감소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13일 연속 1천명대인 1천24명을 기록했으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69명으로 집계됐다. 경기도에선 하루 동안 1천277명이 확진됐다.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57.2%(566개 중 324개 사용)로 전날(63.7%)보다 6.5%p 하락하면서 지난해 11월3일(59.0%) 이후 59일 만에 50%대로 낮아졌다 이런 가운데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2주 연장된다. 이에 따라 오는 16일까지 4인 이하의 사적모임과 오후 9시의 식당과 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제한이 유지된다. 정부는 또 3일부터 방역패스(접종증명ㆍ음성확인제)의 유효기간을 적용한다. 해당 유효기간은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얀센 백신의 경우 1차) 후 14일이 지난 날부터 6개월(180일)까지며 이에 임박한 시민은 3차 접종을 완료해야 식당과 카페 등을 출입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학원ㆍPC방ㆍ독서실 등에 대한 청소년 방역패스가 오는 3월1일부터 적용됨에 따라 만 12~18세 청소년은 늦어도 1월24일까지 1차 접종을 받아야 한다. 아울러 정부는 방역패스를 백화점과 마트까지 확대, 10일부터 1주일 계도기간을 거쳐 오는 16일부터 본격 시행한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이틀째 5천명대…위중증 역대 두 번째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이틀째 5천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8일 연속 1천명대의 위중증 환자가 나오고 있다. 3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5천408명)보다 371명 감소한 5천37명으로 이틀 연속 5천명대를 유지했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1천151명)보다 6명 적은 데다 역대 두 번째 규모인 1천145명을 기록했으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73명이다. 수도권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은 68.8%(996개 중 685개 사용)로, 병상 확보(878개996개)에 따라 전날 78.7%보다 9.9%p 감소했다. 경기도에선 하루 동안 1천465명이 확진돼 8일 연속 1천명대를 기록했다. 도내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날(78.4%)보다 16.2%p 감소한 62.2%(498개 중 310개 사용)로 나타났다. 국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는 67명 늘어 총 625명이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확진 후 최소 3시간 안에 오미크론 감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PCR(유전체 증폭) 시약이 국내에서 개발돼 이날부터 사용됐다. 한편 내달 2일 종료 예정인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는 최근 위중증 환자 등 확산세에 따라 연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내년 2월1일 예정된 청소년 방역패스 시행은 연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거리두기 세부 조정안은 31일 발표된다. 이대현기자

위중증 환자 또 최다…신규 확진 다시 5천명대로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사흘 만에 5천명대로 증가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가 역대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다.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5천409명으로, 지난 26일(5천418명) 이후 사흘 만에 5천명대로 또다시 늘어났다. 하루 위중증 환자는 종전 최다 기록인 지난 26일의 1천105명보다 46명 많은 1천151명을 기록했다. 다만,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전날 81.1%보다 2.4%p 감소한 78.7%(878개 중 691개 사용)로 지난달 20일 이후 80% 미만으로 떨어졌다.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36명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감염자는 109명 늘어 총 558명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전에 있는 국방부 직할부대 소속 간부 1명과 오산시 공군 모 부대 병사 2명 등 총 3명의 유전체에서 오미크론이 확인되는 등 군부대 최초 감염사례가 나왔다. 경기도에선 하루 동안 1천633명이 확진돼 지난 22일 이후 7일 연속 1천명대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날 도내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전날(81.2%)보다 2.7%p 감소한 78.5%로 18일 만에 70%대로 하락했다. 한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내달 2일 종료 예정인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 필요성에 공감했다. 뿐만 아니라 방역ㆍ경제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일상회복 지원위원회는 오미크론 확산세 등을 고려, 거리두기를 최소 2주 연장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해당 사안은 31일 공식 발표된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한 달만에 3천명대…위중증은 여전히 1천명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한 달여 만에 3천명대로 감소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는 8일 연속 1천명대를 기록했다. 2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3천865명으로, 지난달 30일(3천32명) 이후 29일 만에 3천명대로 줄어들었다. 이와 달리 하루 위중증 환자는 1천102명으로, 8일 연속 1천명대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81.1%(878개 중 712개)로 전날의 83.6%보다는 2.5%p 줄어들었으나 80%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아 의료체계가 포화상태다. 이와 관련, 방역당국은 해당 환자의 85% 수준인 60세 이상의 고령층 감염 사례가 최근 감소하는 만큼 5~10일 후 위중증 환자가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46명이다. 경기도에선 이날 1천6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주간별 도내 누적 확진자는 지난 10월 4주차(10월24~30일) 3천437명으로 증가하기 시작해 이달 3주차(12월12~18일) 1만3천262명까지 9주째 늘어났다가 12월 4주차(12월 19~25일)에는 1만1천976명으로 줄었다. 이날 도내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81.2%(388개 중 315개 사용)로 전날(82.0%)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7일째 80%대의 한계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한편 정부는 요양시설에서 코호트(의료기관 봉쇄) 격리 중인 확진자를 대상으로 국산 첫 항체치료제(성분명 레그단비맙ㆍCT-P59)인 렉키로나주를 적극적으로 처방하기로 했다. 또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감염자 및 이와 관련한 접촉자의 격리 기간을 현행 14일에서 10일로 줄이기로 했다. 접촉자가 자가격리에 들어간 지 9일 차에 오미크론 감염사실이 확인돼서다. 오미크론 전국 감염자는 이날 4명 늘어 449명이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20일 만에 4천명대…먹는 치료제 다음 달 중순 국내 첫 도입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20일 만에 4천명대로 줄어든 가운데 정부가 내달 중순부터 알약 형태의 경구용(먹는) 치료제를 도입한다. 2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전국 신규 확진자는 4천207명으로, 지난 7일(4천953명) 이후 20일 만에 4천명대로 감소했다. 하루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3명 줄은 1천78명으로 7일 연속 1천명대의 환자가 나오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수도권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전날 82.5%보다 1.1%p 오른 83.6%(856개 중 716개 사용)로 조사됐다. 경기도에선 하루 동안 1천173명이 확진됐으며 도내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은 82.0%(388개 중 318개 사용)로 전날 82.2%보다 0.2%p 감소했으나 16일째 80%대의 한계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를 도입한다. 정부는 이날까지 60만4천명분(머크앤컴퍼니 24만2천명분, 화이자 36만2천명분)에 대한 선 구매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40만명분을 추가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이날 미국 화이자사(社)의 팍스로비드 긴급사용승인을 결정, 다음 달 중순께 이를 국내 병원과 약국 등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보건소와 지방자치단체는 이 같은 의료기관을 통해 재택치료자, 생활치료센터 입소자 등에게 치료제를 배송한다는 계획이다. 필요에 따라 병원 입원환자에게도 투약된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팍스로비드의 경우 위중증 진행 예방 효과가 8889% 정도로 돼 있다며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중증 예방의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전문가 의견 등을 토대로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 여부를 31일 발표할 예정이다.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는 내달 2일까지 예정됐다. 이정민기자

위중증 엿새째 1천명대…신규 확진자는 이틀째 5천명대 유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이틀째 5천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하루 위중증 환자는 6일 연속 1천명대가 발생했다. 2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5천842명)보다 423명 감소한 5천419명이다. 방역당국은 이날 확진자가 1주일 전인 지난 19일의 6천233명과 비교하면 814명 줄어드는 등 고령층을 중심으로 백신 3차 접종에 속도가 붙고, 특별방역대책과 거리두기 강화를 통해 시민 모임이 줄어들면서 확산세가 둔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신규 확진자는 지난 21일 7천455명 이후 꾸준히 감소(6천917명6천233명5천842명5천419명)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날 위중증 환자는 1천81명을 기록했다. 전날 1천105명보다는 24명 줄었지만, 지난 21일부터 엿새 연속 1천명 이상(1천22명1천63명1천83명1천84명1천105명1천81명)을 유지했다. 이에 따라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여전히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해당 병상의 가동률은 82.5%(856개 중 706개 사용)로, 직전일 82.2%에서 0.3%p 올랐다. 전국에서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69명으로 집계됐으며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감염자는 이날 33명 늘어 누적 376명을 기록했다. 경기도에선 하루 동안 1천65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나흘째 1천명대 확진자가 나왔다. 도내 중증환자 병상 가동률(388개 중 319개 사용)은 82.2%로, 전날(84.0%)보다 1.8%p 감소했으나 15일째 80%대의 한계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이정민기자

식당 문전박대에 백신 예외대상자 높은 문턱…두 번 우는 알레르기ㆍ기저질환자들

알레르기로 백신을 맞고 싶어도 못 맞은 저는 결국 사회에서 고립됐습니다 군포시에 사는 최상희씨(가명ㆍ38ㆍ여)는 항생제뿐만 아니라 타이레놀 등 일반 의약품 복용도 하지 못하는 심각한 알레르기 환자다. 쉽게 말해서 알레르기란 알레르기는 모두 단 채 살고 있는 셈이다. 8세 때 독감 예방접종을 하고 숨이 턱턱 차오르는 고통에 주사는 꿈도 못 꾸게 된 지 오래다. 이런 와중에 지난 13일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방역패스가 도입된다는 소식을 듣고 하늘이 무너지듯 했다.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체험 카페를 운영 중인 최씨에 대해 부모들 사이에서 미접종자라는 소문이 퍼지자 매출액이 뚝 떨어졌다. 알레르기 때문에 백신을 맞지 못한다는 팻말을 들고 다니지 않는 이상 방법이 없다고 생각한 최씨는 백신 예외대상자 선정을 위해 병원에서 가정의학과, 감염내과 등을 일일이 방문했지만 의사의 소견서를 받지 못했다. 알레르기는 이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형홍반(두드러기) 심혈관질환자 김상환씨(가명ㆍ36ㆍ광주)는 식당 업주의 입장 거부로 문전박대가 일상이 돼 매일 외롭게 끼니를 때우고 있다. 울며 겨자 먹기로 발급 받은 PCR(유전자 증폭) 음성확인서를 보여줄 때마다 백신 미접종자라며 떠벌리는 꼴이기에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느낌이다. 김씨 역시 예외대상자에 선정되고자 병원을 방문했지만 그냥 백신 맞으라는 의사의 멸시 섞인 눈빛에 두 번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백신을 맞고 싶어도 병력(病歷) 탓에 맞지 못하는 알레르기ㆍ기저질환 환자들이 백신접종 예외대상자 문턱을 넘지 못한 채 좌절하고 있다. 2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백신접종 예외대상자는 코로나19 완치자나 심근염 등 이상 반응을 겪은 1차 접종자, 면역결핍자 및 항암제 투여 예정자 등으로 한정됐다. 대상자는 의사의 소견서를 통해 보건소로부터 예외확인서를 받으면 되는 구조다. 그러나 이 같은 질환은 희귀 질병 등에 속하는 데다 환자마다 상태가 달라 의사들이 소견서를 발급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정부는 예외대상자 기준을 보다 세부적으로 마련해 알레르기ㆍ기저질환 환자들을 배려해야 한다며 명확한 기준 수립이 선행돼야 의사들도 이에 맞는 소견서를 발급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의학적인 근거를 토대로 현재 기준을 마련했다면서도 현재 국내외 사례를 수집하고 있으며 개선의 필요성이 커지면 기준 완화를 검토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정민ㆍ이대현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