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국내 우세종 현실화…신규 확진 6일 만에 3천명대 감소

정부가 이번 주말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의 국내 우세종화를 전망했다. 1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2일 국내에서 처음 오미크론 감염자가 나온 이후 이날까지 이와 관련한 누적 감염자는 5천30명이다. 특히 이번 달 둘째 주(지난 9~15일)에만 전체 감염자의 절반 수준인 2천679명의 감염사실이 추가로 확인되는 등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상황이다. 더욱이 코로나19 확진자의 유전체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검출되는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해당 바이러스의 검출 비율은 지난해 12월 넷째 주(12월19~25일) 1%대에서 3주 만에 약 27%로 높아졌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이번 주말인 오는 22일께 이 수치가 5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오미크론 관련 누적 사망자는 6명으로, 위중증 환자는 7명으로 각각 조사됐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오미크론이 또 다른 변이 바이러스인 델타를 대체해 빠르게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면서도 오미크론 관련 위중증 환자 증가세와 이에 따른 의료체계 과부하를 중점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 4천193명보다 334명 줄은 3천859명으로, 지난 11일(3천94명) 이후 6일 만에 3천명대로 떨어졌다. 전국 위중증 환자는 전날(612명)보다 33명 감소한 579명으로 54일 만에 500명대로 떨어졌으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23명이다. 경기도에선 이날 1천427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주한미군을 중심으로 감염이 확산 중인 평택시에선 이날 281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지난달 28일 이후 20일 연속 세자릿수 확진자가 나왔다. 도내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31.9%(636개 중 203개 사용)로 닷새 연속 40% 미만을 이어갔다. 한편 정부는 이번 달 둘째주 전국 코로나19 위험도를 중간 단계로 평가했다. 이정민기자

정부 “오미크론 2주 내 우세종될 수도”…신규확진 4천167명

정부가 코로나19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이 우세종화될 경우 5차 대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3일 백브리핑에서 우리나라에서도 오미크론이 2주 이내에 우세종화될 수 있다며 현재 확진자 규모는 줄어드는 상황에 오미크론이우세종화될 시 확산이 증가하는 쪽으로 바뀔 수 있다고 예측했다. 백신이 존재하지 않은 오미크론의 국내 변이 검출률은 지난주 기준 12.5%다. 정부는 2주 이내에 오미크론이 또 다른 변이 바이러스인 델타를 밀어내고 50% 이상 점유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럴 경우 지난해 7월 초 시작된 4차 대유행에 이어 5차 대유행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4천385명)보다 218명 적은 4천167명이다. 1주일 전(지난 6일4천125명)보다는 42명 많지만, 2주 전(지난달 30일5천34명)과 비교하면 867명 적다. 위중증 환자는 나흘째 700명대인 701명이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44명이다. 경기도에선 하루 동안 1천535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주한미군 부대를 중심으로 감염이 확산 중인 평택시에서는 이날 355명이 양성 판정을 받는 등 16일째 세자릿수 확진자가 나왔다. 도내 중증 병상 가동률은 38.9%(632개 중 246개 사용)로 지난해 7월 초 4차 유행 후 약 6개월 만에 40% 아래로 떨어졌다. 한편 이날 인천공항에 미국 화이자사의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 2만1천명분이 도착했다. 정부는 65세 이상 및 면역저하자의 확진자에게 이를 우선 처방할 방침이다. 이정민 기자

65세 이상 확진자에 먹는 치료제 우선 처방…신규 확진 4천388명

정부가 14일부터 코로나19에 감염된 65세 이상 및 면역저하자를 대상으로 먹는 치료제를 우선 처방한다. 1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정부는 미국 화이자사(社)의 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2만1천명분이 13일 국내에 들오면 14일부터 처방 및 투약에 들어간다. 대상자는 확진자 중 증상이 나타난 후 5일 이내,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큰 경증중등증 환자다. 정부는 이 중에서도 65세 이상 및 면역저하자를 대상으로 2만1천명분을 우선 처방할 예정이다. 병원 입원 환자의 경우 의료진이 환자를 관리하고 기존 치료제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생활치료센터 입소자와 재택치료자에 각 지자체와 담당 약국을 통해 이를 먼저 공급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이날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 3천95명보다 1천293명 많은 4천388명을 기록했다. 검사량이 줄어드는 휴일 영향으로 주 초반에는 확진자가 적다가 후반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다만,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지난 5일ㆍ4천441명)보다 53명, 2주일 전(지난달 29일ㆍ5천407명)보다는 1천19명 각각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위중증 환자는 사흘 연속 700명대인 749명을 기록했고 코로나19 하루 사망자는 54명이다. 하루 동안 경기도에선 1천629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 중 평택시에서 주한미군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사례가 나와 450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도내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전날(45.8%)보다 4.0%p 낮아진 41.8%(632개 중 264개 사용)로 나흘 연속 40%대를 유지했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날 미국 노바백스의 백신 뉴백소비드프리필드시린지의 품목 허가를 냈다.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등에 이어 다섯 번째로 국내에 도입되는 백신이다. 이정민기자

정부 14일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 발표…이번주 안 먹는 치료제 도입될 듯

최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줄어들고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감염 사례가 증가하는 가운데 정부가 14일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 여부를 발표한다.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1일 정례브리핑에서 이날 방역의료분과를 통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12일 일상회복지원위원회에서 한번 더 의견수렴을 거친 뒤 거리두기 조정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4인 이하 사적모임과 오후 9시까지 영업시간 제한 등 현행 거리두기가 오는 16일까지 적용되는 상황에서 최근 확산 규모가 감소해 거리두기 조정을 시사한 것이다. 지난주 일평균 확진자(3천387.0명)는 1주 전(4천119.7명)보다 줄었고, 1천명대를 유지하던 위중증 환자도 700명대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급속도로 확산 중인 오미크론이 이달 말 우세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만큼 정부는 거리두기 완화를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또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등 먹는 치료제 도입 방안을 12일 발표한다. 이번 주 안으로 실제 처방과 투약이 이뤄질 전망이 우세하다. 이런 가운데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3천97명으로 전날 3천5명보다 92명, 1주일 전인 지난 4일(3천22명)보다는 75명 각각 많지만 2주일 전(지난달 28일ㆍ3천864명)과 비교하면 767명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780명으로 이틀째 700명대를 유지했으며, 하루 사망자는 43명으로 집계됐다. 경기도에선 1천115명이 확진, 5일 연속 1천명대 초반의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 도내 중증환자 병상 가동률도 전날(49.4%)보다 낮아진 45.6%(607개 중 278개 사용)로, 사흘 연속 50% 아래를 기록했다. 한편 정부는 방역패스 적용 예외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정민기자

정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검토…신규 확진 감소세

정부가 이번 주 내 4인 이하 사적모임과 오후 9시까지인 식당과 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제한 등 사회적 거리두기의 완화 방안을 검토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0일 코로나19 백브리핑에서 민생경제 피해 등을 고려하면 거리두기 조치가 방역패스 조치보단 훨씬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며 상황 개선 시 오는 12일 일상회복지원위원회 회의에서 여러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중수본은 오는 12일 거리두기뿐만 아니라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과 설 연휴 방역 대책까지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지난주(1월3~9일) 변이 바이러스 중 오미크론 검출률이 12.5%를 기록한 상황에서 오는 29일부터 시작되는 설 연휴로 해당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세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대책의 적용 시점은 오는 17일로 예고됐다. 이런 가운데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3천373명)보다 366명 적은 3천7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1월3일ㆍ3천125명)보다 118명, 2주일 전(지난해 12월27일ㆍ4천204명)보다 1천197명 각각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위중증 환자는 786명으로 지난달 7일 이후 34일 만에 700명대로 감소했다.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34명이다. 경기도에선 1천14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전날(1천114명)보다 100명 감소했으며 이달 6일 이후 1천명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다. 도내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전날(49.9%)과 비슷한 49.4%(611개 중 302개 사용)로, 이틀 연속 50% 아래를 기록했다. 한편 국내 오미크론 감염자는 지난 2~8일까지 6일 동안 1천33명 늘어 총 2천351명이 됐다. 정부는 이달 말 오미크론의 우세종화를 내다보고 있다. 이정민기자

10일부터 대형마트ㆍ백화점 방역패스 적용

10일부터 백화점ㆍ대형마트가 방역패스 의무화 대상에 포함된다. 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10일부터 백화점, 대형마트 등 대규모 점포 출입 시 코로나19 백신 접종증명서나 48시간 내 발급받은 PCR(유전자증폭검사) 음성확인서가 필요하다. 다만, 현장 혼란을 우려해 1016일 1주일 동안 계도기간을 갖고 17일부터 위반 시 과태료 부과 및 행정처분 등에 처해진다. 방역패스 적용 대규모 점포는 3천㎡ 이상의 대형마트, 농수산물유통센터 등이다. 이런 가운데 이날 0시 기준 국내 확진자는 3천376명으로, 3일 연속 3천명대를 기록했다. 1주일 전(1월2일)의 3천831명과 비교하면 455명, 2주일 전(지난해 12월26일) 5천416명과 비교하면 2천40명 적은 것으로 집계되는 등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위중증 환자는 나흘 연속 800명대인 821명이고,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51명이다. 이날 경기도에선 5일 연속 1천명대인 1천114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이 중 평택시에선 산발적인 집단감염 등으로 163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도내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전날 50.6%보다 0.7%p 감소한 49.9%(611개 중 305개 사용)로 집계됐다. 한편 국내에서 임신부가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출산 후 사망한 사례가 처음 발생했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4천126명…위증증 환자 800명대로 떨어져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이틀째 4천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가 800명대로 감소했다. 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4천444명)보다 318명 감소한 4천126명이다. 전날에 이어 4천명대 발생이 이어지는 데다 검사량이 늘어나는 주 후반 이후 확진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그러나 60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3차 백신 접종 효과로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달 30일 5천34명보다 908명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위중증 환자는 지난달 13일(876명) 이후 24일 만에 800명대인 882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56%(1천186개 중 664개 사용)로 병상에 숨통이 트인 상황이다.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49명이다. 이날 경기도에선 1천526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틀 연속 1천명대이며, 평택시에서만 전날(198명)보다 83명 많은 281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도내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51.6%(636개 중 328개 사용)로 전날(52.0%)보다 0.4%p 내려갔다. 한편 정부는 방역패스 효과로 확산세가 누그러질 경우 감염 위험이 낮은 학원ㆍ독서실ㆍ스터디카페ㆍ영화관ㆍ공연장ㆍPC방 등에 대해 이를 해제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다만, 지난 5주 동안 만 18~59세의 인구 10만명당 돌파감염 추정 사례가 127.6명에서 327.8명으로 증가한 만큼 청장년층에 대하 3차 백신 접종을 당부했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다시 4천명대…위중증 이틀째 1천명 미만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4천명대로 증가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가 이틀째 1천명 미만을 기록했다. 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3천24명)보다 1천420명 증가한 4천444명으로, 지난달 31일(발표일 1월1일) 이후 다시 4천명대로 올라섰다. 신규 확진자는 주말ㆍ휴일 검사량 감소에 따라 주 초반 다소 줄었다가 주 중반부터 다시 늘어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다만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해 12월29일 5천407명과 비교하면 963명 적다. 위중증 환자는 이틀 연속 1천명 미만인 953명을 기록했으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58명이다. 경기도에선 1천467명의 감염사실이 추가로 확인됐다. 특히 평택시에서만 어린이집, 유치원 등 산발적인 집단감염으로 이날 198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도내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52.0%(636개 중 331개 사용)로 전날(61.7%)보다 9.7%p 하락해 하루 만에 50%대로 떨어졌다. 한편 정부는 전날 서울행정법원의 학원ㆍ독서실ㆍ스터디카페에 대한 방역패스 집행정지 인용 결정에도 이를 확대 시행한다는 방침을 고수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최대한 신속하고 성실하게 본안소송을 진행할 것이며, 이번 결정에 대해서도 즉시 항고하겠다면서도 불가피한 접종 예외에 대해선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나오는 만큼 전문가들과 개선방안을 검토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3차 접종 시행에도 불구, 도내 부스터샷ㆍ오미크론 확진자 나란히 증가

코로나19 3차 부스터샷 시행 이후에도 도내 3차 돌파감염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경기 지역 ‘오미크론’의 감염 사례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코로나19에 대한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다. 5일 본보가 경기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1월8일 3차 부스터샷 접종 시행 이후 12월25일까지 도내 3차 접종완료자 366만3천513명 중 코로나19에 감염된 도민은 총 710명으로 확인됐다. 시기별로 살펴보면 첫 부스터샷 접종 시행 2주 뒤인 지난해 ▲11월 4주차(11월21~27일) 81명(총 확진자 7천200명) ▲11월 5주차(11월28일~12월4일) 94명(총 확진자 9천523명) ▲12월 2주차(12월5~11일) 124명(총 확진자 1만3천145명) ▲12월 3주차(12월12~18일) 197명(총 확진자 1만3천262명) ▲12월4주차(12월19~25일) 214명(1만1천976명)으로 집계되는 등 3차 돌파감염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부스터 샷 접종 후에도 여전히 돌파감염에 대한 불안감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 도내 오미크론 확진 사례의 경우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2일 도내에서 2명이 오미크론 확진 판정을 받은 후 12월3~20일 동안 5명이 추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어 ▲12월21~27일 31명 ▲12월28일~1월3일120명으로 확인, 오미크론 최초 발생 이후 한달 만에 누적 158명의 확진자 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늘어나는 돌파감염 사례와 오미크론 감염 확산 차단을 위해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완벽히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백신을 맞고 2개월 정도가 지나면 코로나19에 대한 항체 효과가 점점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항체 효과가 더 지속될 수 있고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예방효과가 분명한 새로운 백신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의료ㆍ치료체계를 재정비해 현 코로나19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를 구축하고 오미크론에 대한 종합적 대응 체계도 준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대현기자

위중증 환자 보름 만에 1천명 미만 감소…신규 확진은 사흘째 3천명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사흘 연속 3천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가 보름 만에 1천명 미만으로 떨어졌다. 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3천24명으로, 3일째 3천명대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973명으로 조사돼 지난달 20일(997명) 이후 15일 만에 1천명 아래로 감소했다. 특히 위중증 환자는 지난달 29일 1천151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다음날부터 이날까지 6일 동안(1천145명1천56명1천49명1천24명1천15명973명) 줄어들고 있다. 이처럼 위중증 환자의 감소에 따라 이날 수도권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64.0%(1천101개 중 705개 사용)로, 지난달 30일(68.8%)부터 60%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날 경기도에선 이틀 연속 1천명 미만인 947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도내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전날(59.5%)보다 2.2%p 오른 61.7%(566개 중 349개 사용)로 217개 병상이 남아 있어 의료체계 여력이 있는 상태다. 한편 정부는 백신 3차 접종을 마친 백혈병 환자 등 면역저하자에게 4차 접종을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프랑스에서 코로나19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B.1.640.2가 발견됐으며 국내에선 아직 검출되지 않았다. 이정민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