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대유행으로 하루 동안 전국에서 1만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왔다. 역대 최다 확진자 발생에 정부는 다음 달 3일부터 동네 병의원에서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진행하게 할 예정이다. 2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8천571명)보다 4천441명 증가한 1만3천12명으로, 하루 만에 역대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다.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737일 만에 하루 1만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한 것으로,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의 대유행이 현실화됐다. 더욱이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9일의 5천804명의 두 배 이상이고 2주일 전인 12일 4천383명의 세 배에 달하는 등 걷잡을 수 없는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다음 달 3일부터 코로나19 진단 검사 체계를 대폭 변경한다. 현재 보건소 선별진료소 등에서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60세 이상, 역학적 관련자 등 고위험군만으로 한정한 것이다. 대신 이외의 검사 희망자를 위해 같은 시기부터 동네 병의원에서 진단 검사를 하게 할 예정이다. 고위험군을 제외한 검사 희망자는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지정된 전국 431개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은 후 양성이 나오면 PCR 검사를 받게 하는 구조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가까운 병의원에서 진찰과 검사가 이뤄지면 오미크론에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며 보건소도 업무 부담을 덜 수 있다며 국민 여러분도 설 연휴 고향 방문을 자제하는 등 방역에 동참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정민기자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확산으로 경기도 하루 확진자가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한 가운데 도내 31개 시군 중 12곳에서 세자릿수의 확진자가 나왔다. 25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도내 신규 확진자는 그동안 가장 많은 2천917명이다. 종전 최다 기록은 지난 22일(집계일 기준)의 2천713명이다. 특히 이달 중순부터 전파력이 델타보다 2~3배 강한 오미크론의 확산이 심상치 않으면서 경기도 지역에선 지난 18일 이후 7일 연속 2천명대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1주일(1824일) 사이 19일(2천418명), 20일(2천431명), 22일(2천713명), 24일(2천917명) 등 4차례나 도내 최다 기록을 경신하는 등 확산세가 누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날 평택시와 용인시 등 12개 시군에서 1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 특히 주한미군 부대를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거 발생한 평택시(308명)에선 지난달 28일 이후 세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평택시와 인접한 용인시(268명) 등에서도 코로나19가 전파돼 감염자가 속출하고 있다. 상황이 이런 탓에 도는 도내 87곳에 선별진료소를, 68곳에 임시선별검사소를 설치해 운영하는 한편 용인(영동선 인천방향)안성(경부선 서울방향)이천(중부선 하남방향) 등 고속도로 휴게소 3곳에도 임시선별검사소를 설치할 예정이다. 박건희 경기도 감염병관리지원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될 수 있으면 설 연휴 고향 방문을 자제해달라며 부득이 방문하더라도 설 연휴 전에 3차 접종을 하고 KF80 이상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을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정부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의 대상자를 60세 이상에서 50세 이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정민기자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2년여 만에 하루 신규 확진자가 8천명을 돌파했다. 더욱이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이 기승을 부리는 탓에 정부는 내달 하루 3만명 이상이 코로나19에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2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그동안 가장 많은 8천571명으로, 종전 최다 기록인 지난해 12월15일의 7천848명보다 723명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하루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8일(집계일 기준)까지만 해도 5천804명이었으나 오미크론의 영향으로 다음 날 6천명(19일 6천601명)을 돌파한 후 지속적으로 증가, 8천명을 넘어선 것이다. 1주일 동안 하루 평균 확진자는 7천127명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오미크론이 우세종화된 만큼 다음 달 3만명 이상의 하루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이어지는 설 연휴로 고향 방문 등 인구 이동이 많아질 거라는 예상 속에서 오미크론의 전파력은 상대적으로 빠르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12월2일 국내에 상륙한 오미크론은 또 다른 변이인 델타보다 89일 빠른 54일 만에 검출률이 50%(지난 24일 기준 50.3%)를 돌파한 것으로 조사됐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오미크론이 빠르면 2주 내에 점유율이 90% 이상인 지배종으로 갈 것이라며 이 기간 해당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세를 완화하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평택시와 안성시 등 오미크론 확산이 거센 전국 4개 시군을 대상으로 해당 바이러스의 방역체계를 26일부터 적용한다. 이에 따라 이들 지역의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은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먼저 받는다. 정부는 또 같은 날부터 전국 모든 시군의 밀접접촉자 격리기간을 조정한다. 백신 접종 완료자의 경우 10일에서 7일로 단축되며 미접종자는 현행과 같이 10일로 유지된다. 이정민기자
국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검출률이 50%를 넘으면서 우세종화가 현실화됐다.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 확진자 10명 중 4명이 오미크론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1월16~22일)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은 50.3%다. 이 기간 전국 총 확진자 4만3천256명 중 5천760명에 대한 유전체 분석 결과, 2천895명이 오미크론에 걸린 것이다. 이로써 지난해 12월2일 국내에 상륙한 오미크론은 54일 만에 우세종화됐다.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에서도 확진자의 41.2%(분석건 수 2천599건 중 1천72건)가 해당 변이에 감염됐다. 지난해 12월 5주차(12월26일~1월1일) 0.2%(3천9건 중 9건), 이번달 1주차(1월2~8일) 5.5%(1천698건 중 93건), 2주차(1월9~15일) 19.6%(1천983건 중 389건)에서 급증한 수치다. 이처럼 오미크론이 기승을 부리면서 이날 0시 기준 전국 확진자는 일요일 최다인 7천513명을 기록했다. 검사량 감소에 따른 확진자 감소 현상이 나타나는 주말 효과가 사라진 것이다. 경기도에서도 역대 두 번째 규모인 2천442명이 확진됐다. 지난 21일 최초 감염자가 나온 시흥경찰서에서 직원 3명의 감염사실이 추가로 확인돼 누적 감염자가 30명으로 늘어나는 등 집단감염사례가 속출했다. 이에 정부는 지난주 수도권의 코로나19 위험도를 위험으로 평가했다. 이런 탓에 전문가들은 3차 백신 접종만이 오미크론 확산 방지의 답이라고 강조했다. 김우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재 3차 접종률은 절반 수준으로 백신에 대한 불신이 있는 만큼 정부는 이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정부는 26일부터 백신 접종자 중 밀접접촉자의 격리 방침을 해제하고 수동감시로 전환하며 미접종자의 경우, 격리 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단축한다. 또 고위험군 위주의 PCR(유전자증폭) 검사 등 오미크론 대응 방역체계 전환을 이달 말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정민기자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의 공습이 드리워졌다. 최근 1주일새 신규 확진자가 두 배 가까이 급증하는 등 오미크론의 우세종화가 현실화되면서 정부는 새로운 방역체계 전환에 나설 방침이다. 2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2일 국내에 상륙한 오미크론 검출률은 이번 달 첫째주(1월2~8일) 12.5%이었다가 둘째 주 26.7%(1월9~15일)로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정부는 이달 셋째 주 일부 기간(1월16~19일)의 검출률을 47.1%로 예측했다. 이처럼 백신이 없는 오미크론이 기승을 부리면서 백신 3차 접종 등으로 주춤했던 신규 확진자가 덩달아 늘어나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역대 두번째 규모인 7천630명이다. 최다 기록은 지난해 12월15일의 7천848명이다. 지난 17일(이하 발표일 기준) 3천859명이었던 하루 확진자는 다음날 4천72명으로 4천명을 돌파했다. 지난 19일에는 5천805명으로 하루 만에 1천733명이 급증하더니 20일 6천603명, 21일 6천769명에 이어 지난 22일의 경우 7천9명으로 7천명을 넘어섰다. 이는 정부가 하루 평균 확진자의 7천명 돌파 시 예고한 오미크론 방역체계로의 전환 요건을 충족한 수치다. 이날 경기도에서 2천713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되는 등 도내 확산도 거세지고 있다. 지난 17일(1천427명)과 18일(1천530명)까지만 해도 1천명대를 유지했던 도내 확진자는 다음 날 2천176명으로 2천명을 넘어선 이후 20일 2천418명, 21일 2천431명, 22일 2천426명으로 집계돼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처럼 오미크론의 우세종화가 현실화된 가운데 생활치료센터, 감염병전담병원에서 담당하던 확진자의 치료가 동네 병의원으로 변경되는 내용의 오미크론 방역체계로의 전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26일부터 평택시와 안성시에선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우선 시행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오미크론이 급증하는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동네 병의원 중심의 치료체계를 우선 적용할 예정이라며 정부를 중심으로 오미크론에 대비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정민기자
경기도내 코로나19 하루 확진자가 증가한 가운데 곳곳에서 집단감염사례가 발생했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2천713명으로, 지난 20일(2천431명) 이후 이틀 만에 역대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런 가운데 평택시와 시흥시, 김포시에서 집단감염사례가 속출했다. 지난달 28일 이후 주한미군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대량 발생한 평택시에선 이날 356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25일 연속 세자릿수 확진자 발생이다. 시흥시에선 경찰관이 대거 확진, 치안 공백이 우려되는 실정이다. 시흥경찰서 경무계 A경찰관이 지난 21일 양성 판정을 받은 후 이날까지 전체 직원의 3.4% 수준인 27명 경찰관이 코로나19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경찰은 업무 공백이 나타난 부서에 대해 대체 인력을 투입하는 등 임시 조치에 나섰다. 김포시 감정동 한 교회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잇따라 나왔다. 지난 12일 이 교회에 다니는 교인 한 명이 확진 판정을 받자 방역당국은 해당 확진자의 밀접접촉자 등 총 349명을 전수 조사한 결과, 203명의 감염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오는 27일까지 해당 교회를 임시 폐쇄조치했다. 이처럼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도내 재택치료자도 덩달아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도내 재택치료대상자는 전날(9천506명)보다 827명 증가한 1만333명으로 집계, 지난해 11월1일 재택치료제도가 도입된 지 83일 만에 1만명을 돌파했다. 한편 하루 동안 네이버 QR 체크인 서비스의 일부 기능이 수차례 오류를 일으키기도 했다. 이에 네이버는 이날 오전 10시45분께 서비스 복구를 완료하고 자세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이정민기자
국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의 우세종화가 현실화되는 가운데 정부가 하루 평균 7천명 이상의 확진자 발생 시 방역체계를 전환할 예정이다. 2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5천805명)보다 798명 늘어난 6천603명이다. 지난 15일 기준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이 전주와 비교해 두 배 이상 증가한 26.7%로 집계되는 등 해당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는 게 원인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백신 3차 접종으로 이달 초 3천~4천명대였던 하루 확진자는 전날 5천명을 넘어선 데 이어 이날 6천명 이상이 양성 판정을 받는 등 확산이 거세지는 실정이다. 이런 탓에 정부는 설 연휴에 따른 인구 이동으로 확산 규모가 커질 시 하루 최대 1만5천명이 코로나19에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오미크론 방역체계 전환을 염두에 두고 있다. 방역체계 전환 시 생활치료센터, 감염병전담병원 등에서 이뤄졌던 확진자 치료는 동네 병의원으로 변경된다. 또 65세 이상은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먼저 받게 하고 확진자의 격리기간은 10일에서 7일로 단축된다. 이와 관련,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수치가 7천명을 돌파했다고 해서 바로 해당 방역체계로 전환하는 것은 아니며 시행 시점을 따로 정할 것이라며 특히 지역사회 내 감염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에선 그동안 가장 많은 2천41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난달 28일 이후 23일 연속 세자릿수 규모의 확진자가 나오는 평택시에선 이날도 328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방역 당국이 표본 검사를 진행한 결과, 90% 이상의 검체에서 오미크론이 검출됐다. 한편 이날 전국 위중증 환자는 488명, 사망자는 28명이다. 이정민기자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20일 만에 5천명대로 치솟은 가운데 정부가 백신 이상 반응을 겪은 시민을 방역패스 대상에 포함하기로 했다. 1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4천71명)보다 1천734명 증가한 5천805명으로 20일(지난해 12월30일 5천34명) 만에 5천명대로 급증했다. 백신이 없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최근 기승을 부린 게 원인으로 풀이된다. 하루 위중증 환자는 532명으로 사흘째 500명대를 유지했으나 사망자는 전날보다 45명이 늘어 74명을 기록했다. 경기도에선 2천176명이 코로나19에 걸려 확진자가 지난해 12월21일(2천225명) 이후 2천명대로 다시 증가했다. 주한미군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커지는 평택시에선 이날 329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돼 방역당국이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긴급 진단검사 행정 명령을 내렸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방역패스 예외 대상을 현행 ▲면역결핍자 및 항암제 투여로 접종 연기가 필요한 사람 ▲심근염 등 중대한 이상 반응으로 접종 연기금지를 통보 받은자 등에서 접종 후 6주 이내 병원 입원 치료를 한 사람까지 확대한다. 특히 이와 관련한 피해 보상을 신청한 결과, 백신과 이상반응에 대한 인과성 근거 불충분 판정을 받은 사람까지 포함하기로 했다. 시행은 오는 24일부터다. 김유미 중앙방역대책본부 일상방역관리팀장은 방역패스를 받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입원기간은 없다며 이번 조치로 방역패스 예외 대상이 최대 1만7천여명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14일부터 국내에 도입된 미국 화이자사(社)의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처방 건수는 39건인 것으로 집계됐다. 저조한 사용률에 정부는 해당 치료제의 처방 절차와 기준 등에 대한 보완점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이정민기자
21만3천160명. 코로나19 사태로 시민의 일상이 빼앗긴 지 꼬박 2년이 되는 20일 , 경기도민이 감염된 수치다.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에서 처음 확진자가 발생한 후 도내 확산 공포가 드리워졌다. 6일 뒤 중국 우한에서 귀국한 고양시 거주 50대 남성의 감염사실이 확인되면서 우려가 현실이 됐다. 이후 725일 동안 이천시 인구(지난해 12월 기준 22만3천177명)와 비슷한 21만3천160명 도민이 코로나19에 걸렸다. 안타깝게도 이 중 2천52명(0.9%)이 해당 감염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더욱이 도내 연이어 터지는 크고 작은 집단감염사례로 언제, 어디서 코로나19에 걸릴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커졌다. 안심병원으로 지정된 성남시 A병원에서 지난 2020년 3월 간호사 등 8명이 코로나19에 걸려 도내 병원 최초 집단감염사례를 기록하는가 하면 종교시설과 학원 등에서도 다수의 확진자가 나왔다. 이 때문에 전체 감염자 중 15.9%(3만3천848명)가 집단감염자로 분류됐다. 지난해에는 2월부터 시작된 백신 접종에 따라 11월1일부터 일상으로 돌아가는 발걸음이 내디뎠지만 걷잡을 수 없는 확산세로 47일 만(지난해 12월18일)에 멈췄다. 단계적 일상회복을 중지하는 비상계획 조치가 시행된 것이다. 이 기간 도내에선 하루에만 2천229명의 확진자(지난해 12월14일)가 나와 역대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다. 비상계획이 실시된 이후인 지난해 12월20일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86.4%(지난해 12월20일)까지 치솟아 그 여파가 지속했다. 시민의 일상도 변했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 2020년 8월19일부터 사적모임 제한 등 고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2단계)가 적용됐다. 한 해 새로운 시작을 다짐하는 신년회도, 오랜만에 친구를 만나는 동창회도 이때부터 추억이 됐다. 더욱이 마스크 착용 의무화로 사람의 얼굴을 볼 수 없는 세상이 돼버렸다. 아울러 지난해 12월2일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이 도내 상륙하면서 5차 대유행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도 관계자는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는 상황에 설 연휴를 계기로 확진자가 급증하지 않도록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국내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지 2년여 만에 신규 확진자가 70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정부가 20일 방역패스 예외 대상을 발표한다. 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3천858명)보다 214명 증가한 4천72명이다. 이에 따라 누적 확진자는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에서 처음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지 729일 만에 70만명(누적 70만102명)을 넘어섰다. 또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지난 11일)인 3천94명보다 978명, 2주일 전(지난 4일) 3천22명보다는 1천50명 각각 증가하는 등 확산세가 누그러들지 않은 실정이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579명)보다 36명 감소한 543명으로 이틀째 500명대를 유지했고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45명이다. 경기도에선 1천53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난해 12월28일 이후 21일째 연속 세자릿수 확진자가 발생 중인 평택시에선 이날도 287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까다로운 선정 요건 등으로 논란이 일은 방역패스 예외 기준을 20일 공표할 예정이다. 현행 대상은 ▲코로나19 확진 후 격리해제자 ▲1차 접종 후 중대한 이상반응이 발생해 2차 접종이 연기금지된 사람 ▲면역억제제항암제 투여로 접종 연기가 필요한 자 ▲접종 금기 대상자 등이다. 그동안 예외 대상이 협소하다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정부는 해당 기준을 수정한다는 방침이나 임신부에 대한 백신 접종은 유지하기로 했다. 고재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장은 임신부는 코로나19 고위험군으로 접종권고 대상이라며 미접종 임신부 사망 등 안타까운 사례도 있는 데다 의학적으로 임신을 예외 사안으로 인정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백신 접종 피해 보상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시도지사에게 30만원 미만 보상금에 대한 결정 권한을 위임한다. 이정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