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 석 달 만에 일요일 확진자 3만명대

2일부터 공원 등 야외에서 산책을 할 땐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방역 당국은 지난 2020년 10월13일 야외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된 지 566일 만인 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한다. 그동안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2m 거리두기가 안 되는 경우라면 마스크를 착용해야 했었으나 코로나19 유행이 감소세로 전환된 만큼 방역 당국은 시민 개인의 상황에 맞게 이에 대한 착용을 자율화한 것이다. 다만, 50인 이상이 모이는 집회나 공연·스포츠 경기 등은 행사 특성상 밀집도가 높고, 함성이나 합창 등으로 침방울(비말)이 퍼지기 쉽기 때문에 실외 공간이라도 지금처럼 마스크를 계속 써야 한다. 이 같은 의무 착용 사안 외에도 방역 당국은 ▲발열·기침 등 코로나19 의심 증상자 ▲놀이공원·워터파크와 같은 유원시설 등 50인 이상 좌석을 보유한 실외 다중이용시설 이용자 등에 대해 야외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했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확산세는 누그러지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4만3천286명)에 비해 5천545명 적은 3만7천741명이다.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달 24일(6만4천704명)보다 2만6천963명, 2주일 전인 지난달 17일(9만2천976명)과 비교하면 5만5천235명 각각 적다. 더욱이 일요일(발표일 기준)에 3만명대의 확진자 발생은 지난 2월6일(3만8천687명) 이후 12주 만으로 집계됐다. 위중증 환자는 이틀째 400명대인 439명이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81명이다. 경기도에선 전날(1만361명)보다 1천786명 적은 8천575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타액(침)으로 감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피씨엘사(社)의 자가검사키트에 대한 사용을 허가했다. 이정민기자

다음 주 실외에서 마스크 벗나…신규 확진 5만명대로 감소

약 2년간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의무화됐던 실외 마스크 착용이 내주 해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등에 따르면 김부겸 국무총리는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러한 방침을 밝힐 계획이다. 앞서 지난 18일을 기점으로 사적모임 인원이나 영업시간 제한 등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됐고, 야외의 경우 해당 감염병의 전파 가능성이 실내보다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더욱이 확산 규모뿐만 아니라 중증화율, 사망률도 감소하는 것도 방역 당국의 결정에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7만6천787명)보다 1만9천344명 적은 5만7천443명이다. 통상적으로 주 후반에 진입할수록 검사량이 증가, 확진자가 폭증한 것과 달리 목요일(발표일 기준)에도 확진자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온 것이다. 특히 목요일에 5만명대 확진자 발생은 지난 2월10일(5만4천117명) 이후 11주 만이다. 또 이날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21일(9만831명)보다 3만3천388명 적고, 2주일 전(지난 14일·14만8천424명)과 비교하면 절반보다도 적은 수준이다. 더욱이 위중증 환자는 552명으로 이틀째 500명대를 유지하는 등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전날(141명)보다 19명 감소한 122명이다. 경기도에선 전날(1만8천424명)보다 4천767명 줄어든 1만3천657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는 1주일 전 2만2천620명보다는 8천963명 감소한 수치다. 한편 방역 당국은 해외 출·입국 시민에 대한 검사체계를 현행대로 유지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현재 귀국자는 1일 차에 PCR검사를, 6~7일 차에 신속항원검사를 각각 받아야 하며, 해외로 떠나려는 시민의 경우 출국 48시간 이내 PCR 음성확인서를 소지해야 한다. 이정민기자

인수위 “내달 하순 실외마스크 해제 검토”

수요일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두 달 반 만에 10만명 미만을 기록한 가운데 대통령인수위원회가 다음달 하순 안으로 실외마스크 해제를 검토한다. 2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8만361명)보다 3천611명 적은 7만6천750명이다. 통상적으로 주말과 휴일이 지난 후 검사량 증가에 따라 수요일(발표일 기준)을 기점으로 확진자가 폭증한 현상과 달리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도리어 줄어든 것이다. 더욱이 수요일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0만명 미만으로 발생한 것은 지난 2월16일(9만438명) 이후 10주 만이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613명)보다 67명 감소한 546명으로 지난 2월24일(581명) 이후 62일 만에 500명대로 줄어들었다.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141명이다. 경기도에선 전날(1만9천363명)보다 948명 적은 1만8천415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대통령인수위는 이날 ‘종합대책 코로나19 비상대응 100일 로드맵’을 발표했다. 우선 대통령인수위는 내달 10일 윤석열 당선인의 취임식 이후 같은 달 하순까지 실외마스크 해제를 고려한다. 여기에 한달 안으로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병상·인력 확보와 고위험·취약계층 보호 대책을 마련하고 먹는 치료제 101만명분을 추가 확보할 예정이다. 100일 안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을 업종이 아닌 밀집·밀폐 정도로 변경하는 방안을 살펴본다는 방침이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전날보다 두 배로 껑충…“내달 4만명 미만 나올 듯”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전날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가운데 방역 당국이 내달 4만명 미만의 하루 확진자를 예측했다. 2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신규 확진자는 전날(3만4천370명)보다 2.3배 많은 8만361명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은 1천700만명(1천700만9천865명)을 돌파, 국민 3명 중 1명이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산출됐다. 이날 확진자는 주말과 휴일 이후 검사량이 증가하면서 덩달아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화요일(발표일 기준) 확진자 10만명 미만 발생은 지난 2월22일(9만9천562명) 이후 9주 만으로 꾸준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이틀째 600명대인 613명이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82명으로 55일 만(지난달 2일 96명)에 두자릿수로 내려왔다. 경기도에선 전날(9천58명)보다 2배 이상 많은 1만9천36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으나 이는 1주일 전인 지난 19일(2만9천671명)과 비교하면 1만308명 감소한 수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지난주(4월17~23일) 전국 코로나19 위험도를 ‘위험’ 단계에서 ‘중간’ 단계로 하향 조정했다. 위험도에 대한 중간 단계 평가는 지난 1월 둘째 주(1월9~15일) 이후 14주 만이다. 여기에 방역 당국은 다음 달 하루 확진자가 4만명 미만으로 떨어지고 위중증 환자의 경우 같은 달 둘째주부터 500명 미만으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도 예방접종 효과 감소와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출현 등 변수로 확산 규모는 언제든지 커질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따라서 방역 당국은 ▲사적모임 최소화 ▲마스크 착용 ▲예방접종 완료 ▲1일 3회 이상 환기 ▲30초 비누로 손 씻기 ▲확진 시 자택 머물기 등 6대 개인 방역 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76일 만에 3만명대…경기도는 1만명 미만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약 두 달 보름 만에 3만명대로 내려온 가운데 경기도에서도 확연한 감소세를 보였다. 2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6만4천725명)보다 절반 가까이(3만355명) 적은 3만4천370명이다. 주말과 휴일의 영향으로 검사량 자체가 적어 확진자도 많이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3만명대의 신규 확진자 발생은 지난 2월8일(3만6천713명) 이후 76일 만이다. 또 닷새째 10만명 미만의 확진자가 나오는 등 확산세가 누그러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날 위중증 환자는 전날(726명)보다 58명 줄은 668명으로 지난달 말 1천300명대까지 증가했던 위중증 환자가 600명대로 감소한 것은 지난 2월27일(663명) 이후 57일 만이다.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110명이다. 경기도에선 9천5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77일(지난 2월6일 9천805명) 만에 1만명 미만을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 여부를 검토 중인 정부는 이에 따른 의학적 분석을 진행하는 동시에 국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보고 있다. 실외 마스크 의무 해제가 시민들의 실내 마스크 착용도 소홀하게 만들 위험까지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자가검사키트의 온라인 판매를 내달 1일부터 허용한다. 또 60세 이상에 대한 4차 백신 접종이 사전 예약자에 한해 이날부터 시작됐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나흘째 10만명 미만…30일부터 요양병원 접촉면회 일시 허용

전국 코로나19 확산 규모가 누그러진 가운데 요양병원·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의 대면 면회가 일시적으로 가능해진다. 2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7만5천449명)보다 1만724명 적은 6만4천725명이다. 일요일 발표 기준으로 일일 확진자는 지난 2월20일(10만4천823명) 이후 9주 만에 최소치를 기록한 것이다. 더욱이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7일(9만2천978명)보다 2만8천253명 적고, 2주일 전인 지난 10일(16만4천455명)과 비교하면 9만9천730명이 줄어드는 등 감소세가 확연하다. 위중증 환자는 이틀 연속 700명대인 726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전날(151명)보다 42명 적은 109명이다. 경기도에선 지난 23일(1만8천441명)보다 3천192명 적은 1만5천249명이 이날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는 1주일 전인 지난 17일 2만3천118명에 비해서는 7천869명 감소한 수치로 도내 확산세도 줄어들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오는 30일부터 내달 22일까지 요양병원·시설에 대한 접촉 면회를 한시적으로 허용한다. 지난 18일 사회적 거리두기가 마스크 착용이 제외된 채 사실상 전면 해제됐음에도 60세 이상 고령층의 사망 발생·중증 전환이 심각한 만큼 방역 당국은 해당시설의 접촉 면회를 막은 상황이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시민들이 3차 백신 접종을 완료했을 경우 위중증·사망 예방효과가 각각 90% 이상이라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이 같은 조사 내용은 국외 유명학술지 ‘임상감염병’(Clinical Infectious Diseases)에 게재됐다. 이정민기자

주 중반에도 10만명 미만…“60세 이상, 4차 백신 접종해달라”

전국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의 감소세가 확연한 가운데 방역 당국이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와 관련한 과태료 미부과 방침을 내놓았다. 2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11만1천319명)보다 2천452명 적은 9만867명이다. 통상적으로 주말과 휴일 이후 검사량이 늘어나면서 확진자도 급증하는 현상이 목요일(발표일 기준)에 나오지만 이날의 경우 이러한 모습이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더욱이 목요일 기준으로 10만명 미만의 확진자가 나온 것은 지난 2월17일(9만3천126명) 이후 9주 만이다. 뿐만 아니라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4일(14만8천425명)보다 5만7천558명 적고, 2주일 전인 지난 7일(22만4천787명)과 비교하면 절반 이상인 13만3천920명이 줄어 확산 규모가 감소하고 있다. 위중증 환자는 846명, 사망자 147명이다. 경기도에선 2만2천62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이는 1주일 전(3만7천996명)보다 1만5천376명 감소한 수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될 경우 2m 간격 안에 다른 사람이 있을 때 마스크를 벗어도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실외의 경우 감염 가능성이 실내보다 적기 때문이다. 한편 60대 이상 고령층 52만332명(3.8%)이 4차 백신 접종을 완료했다. 지난 14일부터 4차 백신 접종 대상자가 된 60대 이상에 대해 방역 당국은 고령층일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만큼 관련 접종을 적극적으로 당부했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사태로 집 안에 머무는 시민이 많아지면서 지난해 비만 환자가 지난 2017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이틀째 11만명대…방역 당국, PCR 검사 일원화 검토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들이 이틀째 11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방역 당국이 제한적으로 운영 중인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11만8천504명)보다 7천185명 적은 11만1천319명으로 이틀째 11만명대로 집계됐다. 1주일 전인 지난 13일(19만5천393명)보다 8만4천74명 적고, 2주일 전인 지난 6일(28만6천263명)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감소세가 확연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방역 당국은 진단체계를 PCR 검사로 다시 일원화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현재 PCR 검사는 60세 이상 고령자 등만 받을 수 있으며 동네 병의원의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는 경우도 확진으로 인정되고 있다. 방역 당국은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여파로 보건소 인력의 부담을 완화하고자 지난 2월부터 PCR 검사를 이 같이 운영 중이다. 그러나 확진자도 감소하는 데다 신속항원검사 정확도가 PCR 검사보다 떨어지는 만큼 방역 당국은 이러한 검사체계 확대를 고민 중이다. 이런 가운데 전국 위중증 환자는 5일 연속 800명대인 808명이며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166명이다. 경기도에선 전날보다 1천111명 적은 2만8천56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1주일 전인 지난 13일 5만1천796명보다는 2만3천236명 적은 수치다. 이정민기자

검사량 늘며 신규 확진 급증…재조합 변이 XE·XM 국내 첫 확인

5만명 밑으로 떨어졌던 전국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하루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한 가운데 국내에서도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 바이러스가 최초 발견됐다. 1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하루 확진자는 전날(4만7천743명)보다 7만761명 많은 11만8천504명이다. 전날 검사건 수는 주말과 휴일의 영향이 계속돼 6만1천487건이었으나 이날 19만1천49건으로 늘어나는 등 검사를 받는 시민이 많아지면서 확진자도 덩달아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2일(21만732명)보다는 9만2천228명, 2주일 전인 지난 5일(26만6천100명)보다는 14만7천596명이 적어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위중증 환자는 사흘 연속 800명대인 834명이고 사망자는 130명이다. 사망자 중에선 10대 1명이 추가되면서 10대 누적 사망자는 6명으로 늘어났다. 경기도에선 전날(1만3천926명)보다 1만5천745명 늘어난 2만9천671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1주일 전보다 2만4천502명 적은 수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확진자 유전체에서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 바이러스인 ‘XE’와 ‘XM’을 국내에서 처음 검출했다. 우선 XE 감염 2건 중 1건은 영국으로부터 유입됐으며 나머지 1건은 국내 발생으로 추정된다. XM 감염 역시 국내 사례다. 감염자들은 20·50·60대 각각 1명으로 기존 오미크론 바이러스와 구분되는 특이 증상을 겪지 않았고 현재는 격리에서 해제된 상태다. 영국 등에서 유행 중인 XE는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인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BA.2)’보다 전파 속도가 10% 정도 빠른 것으로 연구됐으며 XM에 대한 정보는 파악되지 않았다. 한편 방역 당국은 전날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전면 해제됨에 따라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에 적용하는 방역수칙을 재정비할 방침이다. 아울러 소아를 대상으로 한 먹는 치료제에 대해선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정민기자

다가오는 '엔데믹' 체제…757일 만에 거리두기 해제한다

정부가 지난 2년간 코로나19 대유행에 대응하는 핵심 수단이던 ‘사회적 거리두기’를 전면 해제한다. 17일 방역 당국에 따르면 18일부터 거리두기 조치가 종료된다. 사적모임 인원이나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영업시간 제한도 완전히 사라진다. 행사·집회는 인원 제한 없이 개최할 수 있게 되며 영화관이나 공연장에서의 취식도 가능해진다. 앞서 지난 2020년 3월22일 종교시설과 일부 사업장에 보름간 운영 제한을 권고했던 첫 행정명령을 기준으로 보면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전히 해제되는 건 757일 , 약 2년 1개월 만이다. 방역 당국의 이번 조치는 엔데믹(풍토병) 체제로의 전환을 통해 점차 일상회복을 시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그간 유행 상황에 맞춰 제한 조치를 강화하거나 소폭 완화하는 식으로 조정을 거쳐 왔다. 지난해 1월에는 ‘5명 이상 사적모임 금지’를 적용하며 대응 수위를 높였고, 수도권 유행이 거셌던 때엔 한시적으로 야간 사적모임을 2명까지 제한하기도 했다. 지난해 11월엔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제한을 풀기도 했지만,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다시 오후 9시로 영업시간을 제한한 바 있다. 정부는 오미크론 대유행이 ‘현재진행형’이긴 하나, 정점은 지났다는 판단에 따라 오미크론 이후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로드맵을 제시하면서 기존 거리두기 체제의 해제를 결정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역시 지난 15일 이 같은 대응 계획을 발표하면서 ‘코로나19와 함께’라는 표현으로 포스트 오미크론 시대를 규정했다. 정 청장은 “이번 체계 전환은 단순한 감염병 등급 조정이나 방역 완화가 아니다”라며 “코로나19와 함께 안전하게 일상을 재개하고 일상적인 진료체계를 갖추기 위한 새로운 시작이자 매우 어려운 도전”이라고 말했다. 이는 확진자를 ‘0명’으로 만드는 감염병 종식이 아니라 계절독감과 같은 풍토병으로 받아들이면서, 일상으로 돌아간다는 의미의 동거를 선언한 것으로 풀이된다. 장희준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