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소설 비정치소설 변화 모색

90년대를 전후해 북한 소설이 정치적 목적주의일변도에서 탈피해 비정치적인 소설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문학평론가인 용인대 신상성교수는 “김정일 체제가 정립된 이후 북한 문학의 창작 주체가 김일성 부자(父子)에서 작가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교수는 북한의 대표적 문학잡지인 ‘조선문학’에 80년부터 92년까지 실린 3백여편의 소설 내용과 주제를 분석한 ‘김정일체제 이후 북한소설의 변화’라는 논문을 통해 “김일성 가계의 우상화를 주제로 한 작품이 약 13%에 그친 것에 반해 비정치적인 내용을 토대로 이상적 인간상을 그린 것들이 18%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런 북한 문학의 변화 양상을 ‘창작의 주인은 김일성 부자가 아닌 바로 작가자신이라는 개념의 등장’이라는 말로 신교수는 압축한다. 그는 “최근들어 북한 문학계에 생활문학 영역이 확대되면서 가족문제, 남녀간의 사랑문제, 현실과 행복의 문제를 다룬 작품들이 대거 등장했다”고 말했다. 신교수는 북한의 소설이 변화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김정일 체제가 시작되면서 해외 유학파들이 핵심 권력층으로 진입하고 경제적 문제가 전면으로 부각돼 어떤 식으로든 대외 개방이 불가피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북한 소설의 신조류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는 90년대를 전후해 나온 ‘쇠찌르레기’, ‘생명’,‘산제비’ 등의 작품을 들 수 있다. 이 작품들은 모두 김일성-김정일을 주인공으로 하거나 그들 부자를 우상화하는 주체문학을 ‘종자’로 해야 한다는 ‘우리식 사회주의 문학원칙’ 궤도에서 탈피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림종상의 ‘쇠찌르레기’(90년 조선문학 3월호)는 3대가 조류(鳥類)학자인 남북한 이산가족의 분단문제를 주제로 한 실명 작품. 북한의 대표적 생물학 박사인 원흥길교수(할아버지)를 정점으로 남한의 경희대 원병후교수(막내 아들)와 북한의 원창운교수(큰 손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 작품은 남한의 원병후교수가 새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남한에서 보냈다’는 알루미늄 표식 가락지를 달아 날려 보낸 쇠찌르레기가 북한의 모란봉 새 둥지에서 발견된 것을 소재로 이용하고 있다. 작가는 원흥길교수의 입을 빌어 “한갓 미물인 새도 남·북한을 넘나드는데 하물며 사람들은 왜 마음대로 오가지 못하는가”고 말해 분단의 한과 가족간의 생이별을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백남룡의 ‘생명’(85년 조선문학 최우수작)은 은혜를 베풀어준 사람에 대한 인정과 공정한 사회 원칙 사이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공업대학 교수인 리석훈 학장은 목숨의 은인인 병원의사의 아들이 자기 대학입학시험에서 점수가 모자라 탈락할 위기에 처한 것을 보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 지를 고민하는 과정을 담았다. 리종렬의 ‘산제비’(90년 ‘통일예술’ 창간호)는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참가하기 위해 방북한 임수경과 박세영 시인의 미망인과의 이야기를 소설로 꾸민 작품. 인위적인 선전-선동성을 내포하고 있기는 하지만 주체성에 대한 강요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 신교수의 평이다. 신교수는 “북한 문학의 주제가 다양화되면서 남북한 문학사이에 의사소통의 가능성이 생겨났다”며 “남북한 문학 교류의 활성화는 통일에 대비한 남북간의 정서적 일체감 형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99 문화재계 결산

통상 개발과 문화재는 그 양이 정비례한다. 문화재 발굴이 늘어나고 이에따라 각 박물관 수장고가 유물로 채워진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국토가 파괴되어 간다는 증거라 해도 그리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런데 올해는 문화재청 승격과 함께 사실 겉으로 크게 드러나지는 않고 있으나 문화재정책에 분기점을 이룬 한 해라고 할 수 있다. 개발이 불가피한 이상 그에 앞서 문화재 조사를 반드시 거치도록 법으로 강제화했기 때문이다. 한 고고학자가 예상하듯이 지난 7월1일자로 개정 문화재보호법이 시행됨으로써 적어도 앞으로 30년 동안은 고고학자들은 돈벌이 걱정은 커녕 허리가 휘어져라 땅만 파야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발굴로 보면 아무래도 초기 백제사를 새로 쓰게 한 서울 송파구 송파동 풍납토성 발굴이 첫손에 꼽힌다. 성벽과 성벽 안쪽 주거지역에 대한 국립문화재연구소와 한신대 두 기관의 발굴 결과 풍납토성은 적어도 서기 200년 즈음에는 축조가 끝난 한성백제(BC 18∼475년) 왕성터임이 확정됐다. 또 올해는 삼국시대 목간 연구에 분기점을 이룬 한해로 기록되게 됐다. 경남 함안 성산산성에서는 신라 지방통치와 수취제도의 실상을 들여다 볼 수 있는 6세기 후반 신라목간 27점이 무더기 출토돼 학계에 보고돼 빈약한 문헌기록을 보충해 줬고 다른지역에서도 목간이 잇따라 보고되고 있다. 호남지역은 올해도 역시 발굴의 보고. 서해안고속도로 건설예정지 군산-고창 구간에서 무덤 봉분 주위를 따라 도랑을 판 2∼3세기 즈음 주구묘(周溝墓) 43기가 무더기로 발굴됐으며 전북 고창에서는 4세기말∼5세기초쯤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길이 70m, 봉분높이 9m에 이르는 초대형 고분이 발견됐다. 또 지난 96년 삼국시대 고분인 전남 나주군 복암리 3호분 옹관에서 출토된 1천500년 전 인골의 주인공은 어머니가 같은 남녀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불어 전남 나주복암리 3호분에서는 왜(倭)의 영향이 뚜렷한 원통형토기가 나왔다. 발굴이 문화재 파괴행위라면 보호측면에서 날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보존과학은 올해 더욱 뚜렷한 업적을 냈다. 3년7개월간의 보존처리 과정을 통해 공개된 경주 감은사 동쪽탑 출토 7세기 후반 통일신라 금동사리함은 신라 금속공예기술의 정수를 보여주었으며 경남 창녕군 계성면 명리의 가야고분에서 나온 은새김 규두대도도 보존과학의 힘을 빌어 원형에 가깝게 복원됐다. 몇년째 계속되고 있는 한국과 프랑스간 외규장각 도서반환 협상이 재개된 점도 눈길을 끈다. 외규장각 도서반환 운동을 개시했던 주인공인 서울대 국사학과 이태진 교수는 1866년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 극동함대 해군이 방화 약탈할 때 강화도에 있던 조선왕실 도서관인 외규장각에는 1천7종, 5천67책이 소장돼 있었으며 이 중대부분이 잿더미로 변한 사실을 규명해 냈다. 문헌기록으로는 한국초의 한국 한문소설로 통하는 매월당 김시습(1434∼1493)의 ‘금오신화’(金鰲新話) 판본 중에서 가장 오래된 1592년 임진왜란 이전 것이 중국에서 발견된 점이 가치가 크다. /연합

道박물관 소장품 3건 보물지정

문화재청은 경기도박물관이 소장한 조영복 영정과 안중근(安重根) 의사 유묵(遺墨) 등 3건을 보물로 지정, 15일자 관보에 고시했다고 밝혔다. 보물 제1298호로 지정된 조선 숙종때의 문신 조영복(1672-1728) 영정 2점은 유풍(儒風)이 짙게 배어있는 사대부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린 조영석의 작품과 국공(國工)으로 지칭됐던 진재해(秦再奚)의 정교한 묘사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같은 시기에 같은 인물을 신분과 용도에 따라 달리 그린 그림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유묵은 제주시민이 개인 소장하던 안 의사의 휘호 1점(135×31.7m)으로 보물 제569-24호로 지정됐으며 이는 보물로 지정된 안 의사의 24번째 작품이다. 이 유묵은 안 의사가 만주 여순감옥에서 쓴 휘호 중 하나로 ‘하늘이 주는데 받지않으면 도리어 그 재앙을 받는다’는 뜻(天與不受反受其殃耳)의 행서체 9자를 중앙에 내려쓰고 ‘경술(庚戌·1910년) 2월 여순옥중 대한민국 안중근’이라는 제작연도와 함께 수장인(手掌人)이 찍힌 것이다. 문화재청은 또 2권 1책 46장으로 된 ‘김수온 발 선종영가집(金守溫 跋 禪宗永嘉集)’을 보물 제1297호로 지정했다. 선종영가집은 당나라 현각선사(玄覺禪師.647-713)가 선종의 요결(要訣)과 수선(修禪)을 체득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고려말-조선초의 불교사는 물론 인쇄문화사, 서지학 연구 등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휴전선서 띄우는 통일그림메시지

97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특별상을 받은 중견화가 강익중(40)씨가 어린이 5만명과 함께 휴전선 인근에서 대규모 전시회를 갖는다. 파주 통일동산 인근의 특설전시장에 마련되는 전시회는 ‘십만의 꿈’. 이곳에는 국내외 한민족 어린이와 청소년 5만명이 보낸 작품이 선보이게 된다. 22일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행사 규모와 장소 등에서 이채를 띠고 있다. 먼저 참가자들이 보내온 그림이 폭 5m, 높이 4m, 길이 600m의 긴 비닐하우스 전시장에 선보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강씨는 어린이와 청소년 5만명에게 가로 3인치, 세로 3인치의 아트 레터를 일일이 보내 그들의 꿈을 그려보내게 했다. 나머지 5만점은 원래 북한 어린이와 청소년의 작품으로 채워질 예정이었다. 그러나 작품입수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침묵의 벽’으로 명명한채 비워두기로 했으며 내년 가을 예정된 독일 순회전에서 나란히 전시하는 방안을 대신 추진하고 있다. 전시장이 비닐 하우스라는 점도 특이하다. 건축가 민선주씨가 설계한 이 전시장은 농군이 씨앗을 뿌리고 정성스럽게 가꿔 수확하는 것처럼 어린이의 꿈과 통일, 평화에 대한 꿈을 키운다는 의미를 상징화했다. 강씨는 이곳에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그림을 현대미술로 재구성하는 방식을 택했다. 강씨는 “갈등과 대립, 전쟁이라는 어두운 20세기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서로 화해하고 공존하는 21세기를 맞이하는 통일과 평화의 봉화대가 되고자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면서 “내년의 독일순회전에서 남북 어린이와 청소년의 작품이 꼭 만날 수 있기 바란다”고 말했다. /파주=고기석기자 ksko@kgib.co.kr

뉴밀레니엄 첫해 한국영화 4편 개봉

뉴밀레니엄 첫해인 2000년 1월 1일에 한국영화 4편이 동시 개봉된다. 올 하반기에 개봉된 방화들이 하드고어 스릴러, 치정극 등 ‘회색 톤’이었던 데비해 새천년 들어 개봉되는 이들 영화는 다양한 스펙트럼의 개성을 담고 있다. 이날 0시를 기해 개봉하는 이창동 감독의 ‘박하사탕’을 비롯해 김현명 감독의 ‘학교전설’, 장문일 감독의 ‘행복한 장의사’, 고영남 감독의 ‘그림일기’ 등이 극장가에 함께 내걸린다. ‘박하사탕’은 ‘초록물고기’로 데뷔한 이 감독의 두번째 작품으로 현실에 찌든 한 개인을 통해 잃어버린 시각과 과거를 되짚어 보며 20년의 한국사를 조명하는 작품이다. ‘행복한 장의사’는 임창정, 김창완 등이 출연하는 코미디로 ‘낙천 장의사’에서 장의업에 종사하는 세 남자 이야기를 담아 그려내고 있다. ‘그림일기’는 어느날 갑자기 찾아온 아이의 친자확인을 위해 좌충우돌하는 한남자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개그맨 이휘재가 주연을 맡았다. ‘학교전설’은 어린이를 위한 이른바 ‘키즈 호러물’. 서울의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시골의 초등학교로 교환수업을 떠났다가 겪게 되는 귀신소동을 다룬 공포영화다. 이 영화는 최근 대마초를 피운 혐의로 검찰에 구속된 개그맨 신동엽이 출연한다는 점 때문에 개봉시기를 재검토해 왔으나 예정대로 이날 개봉키로 했다. 따라서 ‘학교전설’이 상영되면 시골학교 교사역을 맡은 신동엽이 관객들에게 어떻게 투영될 지 관심이 모아진다./연합

방송국마다 새천년 첫 일출 논쟁

KBS와 MBC가 새 밀레니엄의 첫 일출 장면을 각각 다른 나라에서 생방송할 예정이어서 새천년 첫 일출 논쟁이 국내 방송사끼리도 재연되고 있다. 이는 영국이 막강한 국력을 바탕으로 자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시로 삼은 이래 그리니치 천문대의 정반대쪽에 위치한 나라가 가장 먼저 하루를 맞이하는 것으로 약속해 빚어진 현상인데 각국의 이해관계까지 겹쳐 혼선을 빚고 있다. KBS와 MBC 양사 모두 12월 31일부터 2000년 1월 1일까지 28∼32시간 동안 진행할 밀레니엄 특집방송 가운데 주요 이벤트로 새 밀레니엄의 첫 일출 장면을 생방송할 계획인데 KBS는 피지에, MBC는 키리바시에 각각 방송팀을 파견해 놓고 있다. 피지는 날짜변경선 바로 옆에 위치해 전통적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일출을 맞이하는 나라로 알려져있으며 키리바시는 지난 95년 티토 대통령이 날짜변경선을 동쪽으로 잡아당겨 놓은 이후 ‘가장 먼저 해가 뜨는 나라’로 새롭게 알려졌다. 이를테면 전통적 맹주인 피지에 신흥강호라고 할 수 있는 키리바시가 도전장을 던진 형국이다. 지금 상황에서는 33개의 산호섬에 인구 7만8천여명의 소국인 키리바시 공화국이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의 지지 등에 힘입어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 키리바시는 지난 95년 선견지명이 있던 테부로로 티토 대통령이 날짜변경선을 동쪽으로 잡아당겨 놓아 이전까지 날이 가장 먼저 밝아오는 곳으로 알려진 뉴질랜드의 채텀제도를 22분차로 제치게 됐다. 키리바시는 또 작년 말 대통령 직속의 밀레니엄 특별대책위원회를 구성, 동쪽끝에 위치한 캐롤라인 섬을 밀레니엄 섬으로 개명했으며 이 섬 북서쪽의 최대 숙박시설인 캡틴쿡 호텔은 2000년 1월 1일을 전후한 예약이 벌써 끝난 상태다. MBC 박노업 PD는 “전세계 87개국이 참가하는 밀레니엄 특별생방송 ‘2000 투데이’ 주관사인 영국 BBC에서 새천년의 첫 일출을 볼 수 있는 땅은 키리바시라고 공식발표해 최근 세계 각국의 방송단이 모두 피지에서 키리바시로 옮겨갔다”고 말했다. 반면 KBS는 새천년준비위원회가 2000년의 첫 일출을 볼 수 있는 땅으로 공식지정한 피지를 고수하고 있다. KBS는 새천년의 첫 해가 떠오르는 2000년 1월 1일 새벽 4시에 피지 현지에서 첫햇빛을 채화하는 모습을 무궁화 위성을 통해 생중계할 예정이며 여기에서 채화된 불을 2002년 월드컵 주경기장인 상암경기장 옆에 지어질 ‘천년의 문’에 영구보관한다. KBS 이석우 제작본부장은 “관광수익 등 새천년과 관련한 경제효과로 인해 날짜변경선 인근에 위치한 소국들이 서로 자기 나라가 첫 일출을 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KBS는 새천년위원회가 공식 지정한 피지에서 일출장면을 생중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MBC 보도국 취재팀은 ‘2000 투데이’와는 별도로 역시 ‘가장 먼저 새천년의 해가 뜨는 땅’이라고 선전하고 있는 뉴질랜드의 채텀제도 내 기즈번 시로 보도진을 보내 현지에서의 생방송을 준비중이며 SBS는 피지에 취재팀을 보내놓고 있다. ‘새천년의 첫 해가 떠오르는 땅’ 논쟁 덕분에 시청자들은 피지와 키리바시, 기즈번 등 3군데의 일출장면을 한꺼번에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안재욱 크리스마스 콘서트 마련

‘테리우스’ 안재욱이 가수로 돌아가 새 천년을 앞둔 마지막 크리스마스 때 팬들과 만난다. 오는 12월 24∼26일 서울 연세대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리는 ‘안재욱 크리스마스 콘서트’가 그 무대다. 안재욱은 연기자와 가수를 넘나드는 만능 엔터테이너. 연기자로는 지난 94년 MBC 공채 23기로 데뷔한 뒤 각종 드라마에서 열연하며 TV 인기스타로 급성장했다. 어려서부터 뮤지컬배우를 꿈꾸던 그는 97년 MBC 미니시리즈 ‘별은 내 가슴에’에 록커로 출연하던 중 음반 발매 제의를 받고 데뷔앨범을 발표, 가수로서의 첫 발을 내디뎠다. 이후 연기를 할 때는 가수활동을 중단하고, 앨범을 낼 때는 노래에만 주로 전념하면서 지난해 2집 ‘이별’에 이어 최근 3집 ‘감사’를 발표하면서 가수 활동을 재개했다. ‘감사’는 기존의 발라드 느낌을 유지한 채 록과 테크노, 펑키록 등 다양한 분위기를 곁들인 것이 특징. 허스키하면서도 부드러운 음색이 어울리는 ‘예스터데이’와 펑키록 ‘플리즈돈 고 어웨이’, 피아노 선율과 조화를 이룬 ‘인연’, 전자기타 사운드의 ‘부탁’등이 대표곡들이다. 콘서트에선 정상급 세션의 반주에 극적인 구성과 무대연출 등을 곁들여 자신의 대표곡과 3집 수록곡들을 들려준다. 공연시간 24일 오후 7시 30분·11시. 25일 오후 4시·7시, 26일 오후 4시. 공연문의 (02)3675-3429./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