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피해 ‘동두천 하수처리장’ 내일 정상화

집중호우에 따른 침수피해로 한때 가동 중단까지 됐던 동두천 하수처리장이 오는 13일께 정상가동 될 전망이다.11일 동두천시에 따르면 일일 처리용량 8만 6천 톤(우수, 오폐수, 공업용수 포함)규모의 동두천하수처리장이 지난달 26일부터 쏟아진 집중호우로 신천이 범람하고 하천이 역류하면서 하수처리 12단계인 고도처리시설과 슬러지처리시설, 지하시설물들이 침수돼 27일 오후 8시30분부터 28일 오후 1시36분까지 17시간6분 동안 가동이 전면 중단됐다.이로 인해 7만 2천여 톤의 하수가 처리되지 못한 채 신천 하류와 임진강으로 흘러들어 가 고도처리시설과 슬러지 처리시설 등 일부가 제 기능을 못해 대부분의 유입 하수를 1차 처리 후 신천에 방류해 신천하류와 임진강의 수질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현재 1차 처리 후 신천에 방류되고 있는 방류수질은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가 12.8ppm으로 기준치 10.0ppm보다 2.8ppm을 초과하고 있다.이번 비로 인해 하수처리장은 대부분 기계설비가 시설돼 있는 2천836㎡의 지하에 빗물 5천 톤과 토사 등 협잡물 850톤이 유입돼 오수펌프 등 각종펌프 44대와 전기패널, 유량계 등 117대가 물에 잠겨 6억 5천800만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환경사업소 이상우 환경시설관리팀장은 현재 1차 침전시설은 정상 가동되고 있고 2차 생물학적 처리시설은 60% 정도 가동되고 있다며 13일께는 12차 시설 모두 정상가동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동두천=한성대기자 hsd0700@ekgib.com

동두천 동성교회 중고등부 학생회 수해복구 동참

수마가 할퀴고 간 자리에 막바지 복구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동두천시에 자원봉사자들의 발길이 줄을 잇고 있다. 수해 발생 이후 2일 현재 군인, 경찰, 공무원, 시민사회단체 등 1만여 명의 봉사인력이 긴급 투입돼 복구 작업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4천여 명의 자원봉사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해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어 도심은 서서히 제 모습을 찾아가고 있다. 특히 동두천 동성교회 중, 고등부 학생과 청년, 교사 120여명은 1일부터 3일까지 충북 진천에서 갖기로 예정했던 여름철 하계수련회를 취소하고보산동과 중앙동 침수피해지역을 찾아 이틀째 복구 작업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들 학생들은 삼삼오오 짝을 이뤄 침수로 인해 피해를 당한 가정과 상가 등에서 흙탕물에 젖은 책상과 의자 등 가재도구와 그릇들을씻고 말리며 미처 치우지 못한 쓰레기들을 청소하는 등 봉사활동에 값진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학생들은 대부분 처음 경험해보는 폭우 피해현장에서의 복구활동을 통해 자연재해의 무서움과 봉사활동의 의미를 직접 몸으로 체험하는 귀중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학생들을 인솔하고 있는 신수형 전도사는 지역의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기 위해 작은 힘이나마 보태려는 학생들의 의지가 뜨겁다며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산교육의 장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동두천, ‘車 경기장·테마파크’ 파란불

동두천시가 추진하는 자동차 경기장 및 테마파크 조성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1일 시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달 27일 확정한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에 시의 자동차 경기장 및 테마파크 조성사업이 포함돼 총 사업비 2천억원 중 49억원의 국비를 지원받게 됐다.이에 따라 시는 자동차 경기장 및 테마파크를 안흥동 일원 90만㎡ 부지에 오는 2013년까지 조성하기로 했다.시는 지난달 22일 변경 확정된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발전종합계획에 자동차 경기장 및 테마파크 조성 사업을 주변지역 민자사업(전액 민자)으로 신규 신청했으나 사업투자계획 등이 불투명해 반영되지 않았다.그러나 행정안전부는 낙후된 동두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자동차 테마파크 조성사업을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에 포함시켜 총 사업비 2천억원 가운데 49억원을 국비로 지원하기로 했다.자동차 테마파크에는 일정 거리의 직선주로에서 겨루는 드래그 트랙을 비롯한 다양한 경주장이 들어선다. 또 격납고, 관람석, 튜닝센터 등도 조성돼 관광객 유치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에는 신성장산업 육성 핵심 프로젝트인 그린에코 빌리지 조성, 중앙역 복합커뮤니티 공간 조성 등이 포함돼 있다.동두천=한성대기자 hsd0700@ekgib.com

동두천 수해 복구작업 도움의 손길 줄이어

동두천시에 수해지원 손길 잇따라 지난27일부터 시작된 집중호우로 인명과 재산피해가 잇따른 동두천에 수해지원 손길이 줄을 잇고 있다. 동두천시는 동두천기상대가 관측을 시작한 이후 가장 많은 이틀 동안 650mm의 폭우로 6명이 죽고 600여명의 이재민과 3000여 가옥 및 상가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또 55건의 크고 작은 산사태로 인한 토사유출과 도로유실로 차량통행이 제한되고 있다. 사상 초유의 비 피해가 발생하면서 이재민 구호와 응급복구에 나서는 시민사회의 도움이 잇따르고 있다. 동두천시 의사회는 생연중학교 등 시내 8곳의 이재민 수용시설에서 이동진료를 펼치고 있다. 동두천약사회도 침수지역 이재민 수용시설이 운영되는 동안 구급약품을 지원키로 했다. 또 6군단과 5기갑여단도 27일 오후부터 각각 군단예하 부대 병력700명과 200명을 침수피해현장에 투입시켜 복구 작업을 펼치고 있다. 이들 장병들은 피해복구가 끝날 때까지 배수로 정비와 도로복구, 토사운반 등 지원활동을 한다. 미군장병 300여명도 관광특구 수해현장에서 중장비를 동원, 토사와 각종 쓰레기를 운반하고 상가와 거리청소를 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미군가족들도 침수피해를 당한 가정을 방문, 가재도구를 정리하고 집안 청소를 하는 등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이 밖에 적십자지구협의회, 의용소방대, 해병전우회 등 동두천시10개 사회단체 회원 200여명도 급식봉사와 침수가구 지원 등 이재민 지원활동을 펼치고 있다.

동두천시 빗방울 다소 잦아들면서 피해 파악중

지난밤 신천이 일부 범람하면서 침수피해를 입었던 동두천시는 현재 비방울이 다소 잦아들면서 본격적인 피해상황 파악에 들어갔다.동두천시는 27일 오후 7시부터 시간당 70㎜가 넘는 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광교의 수위가 한 때 위험수위 5m를 훨씬 초과한 6m85㎝까지 상승, 보산동과 생연2동, 중앙동, 상패동 일대에 주민대피령이 내려져 주민 600여명이 인근 초등학교와 교회 등으로 대피했다. 또 신천이 일부 범람하면서 보산동과 중앙동 일대 저지대 가구 2천700여가구(추정치)가 침수피해를 입었으며 곳곳에서 토사유출이 잇따라 강변도로를 비롯한 주요 도로가 전면 통제되기도 했다. 현재 신천 수위가 위험수위 밑으로 떨어지면서 일부 주민은 집으로 돌아가 비에 젖은 가재도구를 정리하고 있으며, 아직 침수돼 있는 지역 주민 일부는 대피소에서 빗물이 빠지기를 기다리고 있다.인명피해로는 상패동 캠프 모빌에서 경비 근무를 서던 의경 조모씨(24)가 불어난 하천물에 고립된 주민을 구하려다 급류에 휩쓸려 5시간만에 숨친 채 발견됐으며, 하동암동 공장에서도 외국인노동자 반둥씨(37)가 갑자기 들이닥친 토사에 깔려 숨졌다.현재 접수된 피해로는 광암동 캠프 호비 앞과 불현동 에이스1차 아파트 앞 토사 유출 피해가 접수됐으며, 추가적인 인명피해는 아직 접수되지 않았다.강변도로를 비롯한 시내 주요도로도 차량 소통이 모두 재개된 상태다. 한편, 시는 지난 27일 하루동안 449.5㎜의 집중호우가 내렸으나, 현재 비가 다소 소강상태를 보여 이날 11시 현재 100㎜의 강우량을 보이고 있다. /동두천=한성대이호진기자 hjlee@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