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지훈, MVP 독식…"이제는 농구대잔치 우승"

감독님 가서 몸 관리 잘 하고 올 테니 다시 받아주세요. 그야말로 함지훈(26 모비스) 시대다. 정규리그 MVP에 이어 이번에는 챔피언결정전 MVP마저 손에 넣었다. KCC 허재 감독은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하승진(221cm)까지 투입시키고도 함지훈을 막지 못했다. 함지훈은 11일 끝난 챔피언결정전에서 평균 16점, 6.3리바운드, 5.8어시스트의 활약을 펼치며 MVP로 선정됐다. 기자단 투표에서 총 69표 중 63표(91.3%)를 휩쓰는 등 이견이 없는 MVP였다. 4월19일 군입대를 앞두고 받은 최고의 선물. 덕분에 군입대를 열흘도 안 남은 상황에서도 환하게 웃을 수 있는 함지훈이다. 사실 2007년 드래프트에서 전체 10순위로 모비스에 지명될 때만 해도 이런 결과는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다. 게다가 데뷔 첫 해 고질적으로 자신을 괴롭히던 무릎 수술을 받으면서 시즌을 채 마치지 못했다. 시즌 중반까지 신인왕 후보 0순위였지만 결국 신인왕은 김태술(KT&G)의 차지였다. 하지만 지난 시즌 용병이 1명씩 뛰는 2~3쿼터의 사나이로 통하면서 자신의 이름을 다시금 알리더니 용병이 무조건 1명씩만 뛸 수 있는 올 시즌에는 그야말로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 정규시즌 평균 14.8점, 6.9리바운드, 4.0어시스트. MVP를 받기에 손색없는 활약이었다. 이러한 활약에 유재학 감독도 함지훈의 비중에 크기에 내년부터는 팀을 바꿔야 한다면서 가운데서 파생되는 공격을 이젠 할 수가 없다고 다음 시즌 함지훈의 공백을 벌써부터 걱정해야 했다. 매년 기량이 업그레이드 됐지만 정작 함지훈은 운이 좋았다고 겸손해 한다. 함지훈은 좋은 선수, 좋은 팀을 만난 덕분에 여기까지 왔다면서 대학 때 크리스 윌리엄스를 따라하곤 했는데 딱 모비스에 왔다. 감독님에게 훅슛과 전술을, 코치님에게 슛을 배웠다고 말했다. 또 정규리그와 챔프전 MVP를 독식하며 최고의 선수로 등극했지만 아직 부족하다. 기술과 슈팅력을 더 키워야 한다고 자신 앞에 붙어진 최고라는 수식어에는 고개를 가로젓는 함지훈이다. 이런 함지훈을 알기에 팀 동료들도 함지훈에게 군입대전 꼭 우승을 선물하겠다는 각오로 뛰었다. 특히 전역 후 복귀한 양동근은 2006-2007시즌 우승 후 입대한 자신처럼 우승을 한 뒤 함지훈을 입대시키겠다면서 부상을 참고 뛰었다. 2009-2010시즌은 우승으로 끝났지만 함지훈의 새로운 시즌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일단 상금(500만원) 중 일부는 루게릭병으로 병상에 누워있는 박승일 전 코치를 위해 쓸 계획이다. 또 군인 함지훈으로서 여지껏 단 한 번도 못해본 전국체전 우승에도 도전해야 한다. 모든 게 끝나서 그런지 정규리그 MVP보다 챔프전 MVP가 더 좋다. 상무에서 꼭 농구대잔치 우승을 하겠다. 또 전국체전 우승도 해보고 싶다는 함지훈은 감독님 (군대에) 가서 몸 관리 잘 하고 올 테니 다시 받아주세요라고 모처럼 환하게 웃었다.

유재학 "명예회복"…허재 "느낌이 좋다"

"하승진 나오면 다쳐. 아시안게임 내보내야지" 29일 오전 서울 논현동 KBL센터에서 2009-2010 KCC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 미디어데이가 개최됐다. 중학교 시절부터 호형호제하며 지냈던 유재학 모비스 감독과 허재 KCC 감독 사이에서 비교적 화기애애한 기류가 느껴졌지만 우승을 향한 날센 공방도 볼만했다. 먼저 입을 연 유 감독은 "5년동안 정규리그를 4번이나 우승하고도 챔프전에선 한번밖에 우승하지 못했다. 올해는 불명예스러운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꼭 우승하겠다"고 출사표를 던졌다. 허재 감독도 자신감을 숨기지 않았다. "작년에도 정규리그를 3위로 마쳤고 올해도 3위였다. 감이라 할까, 느낌이 좋기 때문에 올해도 챔피언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결승에 임하는 각오를 밝혔다. 서로가 생각하는 상대의 강점은 무엇일까. 모비스는 단기전에서 강한 KCC의 경험을 경계했고 KCC는 끈끈한 조직력과 빠른 공수전환 그리고 묵묵히 자기 몫을 하는 외국인센터 브라이언 던스톤을 꼽았다. 유 감독은 "허 감독이 단기전에 어떻게 그렇게 강한지. 정규리그 초반에 늘 주춤하다 서서히 올라와 챔프전에서 무서운 위력을 발휘하는 점을 이번에 배우려고 한다"고 너스레를 떨면서 "KCC의 집중력을 어떻게 무력화시키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허 감독은 먼저 "4강 플레이오프에서 수비가 약했던 김동우가 챈들러를 막는 것을 보고 놀랐다. 유 감독이 어떻게 선수를 관리했는지 모르겠다"고 치켜세운 후 "수비가 좋고 공수전환이 빠른 팀이라 그 부분을 막아야 한다. 보이지 않은 힘을 가진 던스톤에 대해서도 잘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양팀이 정상에 오르기 위해서는 상대의 키플레이어를 반드시 저지해야 한다. 포스트시즌 들어 기량을 꽃피우고 있는 KCC 전태풍은 모비스의 경계대상 1호. 하승진의 출전여부가 불투명한 KCC로서는 정규리그 MVP 함지훈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유 감독은 "전태풍은 경기를 치르면 치를수록 진가가 나타난다. 코트에서 여러가지를 보여주고 있는데 워낙 기술이 좋아 다 잡을 순 없다. 반 정도는 허용하고 반 정도는 못하게 하는 수비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물론, 구체적인 수비 전술에 대해서는 입을 열지 않았다. 허 감독은 "하승진이 뛰게되면 함지훈을 편하게 맡을 수 있다. 만약 없을 경우에는 1대1로 막기에 버겁다. 플레이오프 때 수비 변화를 많이 가져갔는데 상황에 맞는 수비를 펼치겠다"고 말했다. 한편, 미디어데이의 최대 화두 중 하나는 KCC의 장신센터 하승진이었다. 하승진은 2월초 왼쪽 종아리 근육이 파열된 후 아직까지 부상에 시달리고 있다. 이날 오전 받은 정밀검진 결과에 따라 챔피언결정전 진출 여부를 가늠할 수 있을 전망이다. 허 감독이 "겉으로 보면 하승진의 상태가 괜찮은 것 같은데 아직은 모른다. 마지막 챔프전인만큼 팬들 앞에 선을 보일 수 있으면 좋겠지만 장담할 수 없다"고 말하자 옆에서 가만히 듣고있던 유 감독이 갑자기 허 감독을 바라보며 "하승진 나오면 다쳐. 아시안게임 내보내야지"라는 농담을 건네 웃음을 자아냈다.

역시, 중앙대! 5연패 금자탑

전통의 명가 중앙대가 2010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남자부에서 5연패 금자탑을 쌓아올렸다.중앙대는 4일 용인실내체육관에서 벌어진 대회 최종일 남자부 결승전에서 오세근(36점13리바운드), 김선형(24점7어시스트), 장재석(14점5리바운드) 등 주전들의 고른 활약으로 김종규(23점14리바운드)가 이끈 껄끄러운 상대 경희대에 106대82로 대승을 거두고 5년 연속 정상을 차지했다.1쿼터에서 중앙대는 오세근과 부상에서 회복한 장재석 더블 포스트가 골밑을 장악하고, 김선형이 코트를 휘저으며 맹활약을 펼쳐 34대20으로 크게 앞서 기선을 제압했다.중앙대 김선형의 스피드를 막지 못해 주도권을 빼앗긴 경희대는 슈터 서성광(11점3점슛 3개)을 투입, 잇다른 중거리 슛으로 분위기를 반전을 꾀하며 45대56으로 점수 차를 좁혔다.하지만 중앙대는 후반 들어 오세근, 김선형, 장재석 트리오가 위력을 떨치며 경희대의 추격의지를 꺾어놓았고 3쿼터를 77대61로 다시 달아나 일찌감치 승부를 갈랐다.경희대는 마지막 쿼터에서 배병준(25점), 이지원(14점) 등이 득점에 가세하며 총력전을 펼쳤으나, 전 코트를 누비며 불을 뿜은 중앙대의 득점포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앞서 벌어진 여자부 결승전에서 수원대는 윤미지(23점6리바운드)의 활약에도 불구, 정미현(27점6리바운드), 차혜진(18점6리바운드)이 이끈 광주대에 66대70으로 져 준우승에 머물렀다.한편 중앙대의 김선형은 대회 최우수선수(MVP)에 선정됐고, 김우람(경희대), 윤미지(수원여대)는 우수선수상, 방지윤(여용인대)은 감투상, 오세근(중앙대)은 득점상과 수비상, 김종규(경희대)는 신인상, 김상준(중앙대) 감독은 지도상을 각각 수상했다./안영국기자 ang@ekgib.com

<프로농구>LG, 구단 최다 9연승 '3위 경쟁 재점화'

패배를 잊은듯한 송골매의 질주가 거침없다. 창원 LG가 구단 역대 최다기록인 9연승을 질주하며 마침내 공동 3위로 올라섰다. LG는 3일 창원 실내체육관에서 열린 2009-2010 KCC 프로농구 전주 KCC와의 홈경기에서 문태영(28점 10리바운드)의 대활약에 힘입어 89-80으로 승리했다. 파죽의 9연승을 달린 LG는 지난 1997-1998시즌 수립했던 8연승을 뛰어넘고 역대 팀 최다연승 신기록을 수립했다. LG에게는 1승 이상의 의미가 담긴 승리였다. 6강 플레이오프 개막을 앞두고 연승 신기록을 세워 팀 분위기를 최고조로 끌어올렸고 또한 정규리그 3위 등극의 실낱같은 희망을 계속 이어갔다. 이날 패배로 KCC는 단독 3위를 확정지을 수 있는 기회를 또 다시 놓쳤다. KCC가 4연패 늪에 빠지면서 두팀은 각각 정규리그 1경기씩을 남겨둔 채 공동 3위(34승19패)가 됐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KCC가 3위, LG가 4위다. 맞대결 전적은 3승3패로 같지만 득실점차에서 KCC가 앞선다. 3위 경쟁에 있어 여전히 KCC가 유리한 입장이나 대반전의 가능성은 남아있다. 단독 5위에 머물러 있는 원주 동부(33승19패)까지 포함해 세팀이 동률로 정규리그를 마칠 경우 세팀간 상대전적에서 앞서는 LG가 단독 3위로 올라서기 때문이다. LG의 상승세는 초반부터 그 힘을 발휘했다. 리그 득점 1위 문태영이 쉴새없이 득점을 터뜨렸고 하승진이 빠진 KCC 골밑은 LG를 상대하기에 역부족이었다. 그러나 LG는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도 실책 남발로 흔들렸다. 그 사이 KCC는 속공으로 차곡차곡 점수를 쌓아 승부를 대등하게 만들었다. 전반을 38-35로 앞선 채 마친 LG는 3쿼터 시작과 함께 연속 10점을 몰아넣어 승기를 잡았다. 상대 실책에 흥했던 KCC가 정작 실책에 무너지고 말았다. 크리스 알렉산더가 파울트러블에 빠졌으나 레지날드 워렌이 그 공백을 잘 메웠고 공격에선 전형수와 이현준의 분전이 돋보였다. LG는 3쿼터 막판 점수차를 18점까지 벌리면서 사실상 승부가 기울었다. KCC는 4쿼터 전태풍을 앞세워 반격했지만 이미 크게 벌어진 점수차를 만회하기는 무리였다. 한편, 잠실 경기에서는 홈팀 서울 삼성이 이승준(22점)과 이규섭(15점)의 활약으로 안양 KT&G를 85-75로 제압했다. 이미 6위를 확정짓고 6강 플레이오프를 대비해 숨고르기를 하고있는 삼성은 기분좋은 4연승을 질주했다.

중앙-경희大 오늘 ‘불꽃격돌’

경기도 연고팀인 중앙대와 경희대가 나란히 제26회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남자부 결승에 진출, 패권을 다투게 됐다.대회 5연패에 도전하는 중앙대는 3일 용인실내체육관에서 계속된 대회 9일째 남자부 준결승전에서 더블더블을 기록한 오세근(21점11리바운드)과 장재석(16점), 김선형(8점5가로채기)의 활약으로 김민욱(14점10리바운드)과 김승원(11점15리바운드)이 분전한 전통의 강호 연세대를 73대58로 가볍게 물리쳤다.이로써 중앙대는 지난해 2차 대학연맹전에서 예선 탈락의 수모를 안겼던 연세대와의 올 시즌 첫 대결에서 완승을 거두며 깨끗하게 설욕했다.1쿼터 연세대의 잦은 범실을 틈타 빠른 속공으로 점수를 쌓은 중앙대는 2쿼터에서 5분간 연세대를 무득점으로 묶고, 함누리(12점), 김선형의 속공과 중거리포를 앞세워 전반을 41대21, 20점차로 앞서며 사실상 승부를 갈랐다.또 이어진 4강전에서 경희대는 김종규(11점19리바운드)와 이지원(22점)의 득점을 앞세워 정창영(11점10리바운드), 유성호(10점) 만이 두 자릿수 득점을 올리는데 그친 고려대를 64대48로 제압하고 결승에 진출, 4일 중앙대와 우승을 다툰다. 1쿼터에서 이지원의 빠른 스피드를 이용한 돌파와 김종규의 높이를 앞세워 21대12로 앞선 경희대는 2쿼터들어 강력한 맨투맨 수비로 맞선 고려대에 3점차까지 추격을 당했지만, 이지원이 내외곽을 넘나들며 고려대 수비진을 붕괴시켜 점수차를 벌렸린 뒤 3쿼터가 종료됐을 때 이미 53대31로 크게 앞서며 여유있게 승리했다.한편 여자부 준결승전에서는 수원대가 한림성신대와 접전을 벌인 끝에 70대68로 승리해 결승에 진출한 반면, 용인대는 광주대에 71대78로 덜미를 잡혀 결승진출에 실패했다./안영국기자 ang@ekgib.com

신한銀, 신세계 뚫고 우승 눈앞

레알 안산 신한은행이 정규리그 4연패 달성을 눈앞에 뒀다.신한은행은 17일 안산 와동체육관에서 열린 신한은행 2009-2010 여자프로농구 정규리그 7라운드 홈경기에서 정선민(20점8리바운드5가로채기), 하은주(10점15리바운드4블록슛)의 트윈타워와 3점슛 5개를 폭발시킨 미녀슈터 김연주(15점)의 활약을 앞세워 김정은(19점10리바운드)이 홀로 분전한 부천 신세계를 73대50으로 대파하고 3연패 늪에서 탈출했다.이로써 27승7패가 된 신한은행은 2위 용인 삼성생명(21승12패)과의 승차를 5.5경기로 벌려 남은 6경기에서 1승만 추가해도 정규리그 우승을 확정짓게 된다.신한은행이 1승을 추가하면 여자농구 사상 첫 정규리그 4연패를 달성하는 팀(농구대잔치 시절 남자 현대전자1983~1987)이 되고, 삼성생명이 20일 천안 KB국민은행전에서 패하더라도 자동으로 우승이 결정된다.반면 국민은행(14승18패)과 치열한 4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신세계는 14승20패를 기록하며 국민은행과의 승차가 1경기로 벌어졌다.최근 3경기 연속 패배를 당해 잠시 주춤했던 신한은행은 베테랑 가드 전주원이 금호생명과의 경기에 이어 결장했지만 1쿼터부터 하은주를 투입하는 초강수를 둬 신세계를 몰아부쳤다.1쿼터에서 하은주와 정선민(이상 6점)이 페인트존을 장악해 24대14로 기선 제압에 성공한 신한은행은 2쿼터에서는 정선민과 더불어 김연주가 3점슛 3개를 터뜨리며 득점에 가세해 43대27로 전반을 마쳤다.신한은행은 3쿼터들어 김정은, 김지윤의 득점으로 신세계가 추격하자 김단비와 진미정의 득점으로 맞불을 놓았고, 4쿼터 7분께에는 김연주가 3점슛 2개를 꽂아 점수차를 65대41, 24점까지 벌리며 승부를 결정지었다.신세계는 4쿼터 잦은 실책을 저지르며 자멸해 점수차를 좁히지 못했고, 신한은행은 경기종료 4분여를 남기고 최윤아의 속공으로 67대41로 앞서자 주전들을 벤치로 불러들이며 여유있게 경기를 마무리했다. /안영국기자 ang@ekgi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