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추홀 자매’ 동반 큰 웃음

인천 인성여중고 자매가 2010 WKBL총재배 동계여자중고농구대회에서 나란히 중고등부 동반 우승을 차지했다.인성여중은 24일 경북 김천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최종일 중등부 결승전에서 김희진(23점12리바운드), 서수빈(10점5리바운드)의 활약으로 신지현(23점14리바운드)이 분전한 서울 선일여중을 연장전 끝에 53대49로 제압, 지난해 준우승의 한을 말끔히 씻어냈다.예상 밖으로 경기 초반부터 선일여중에 이끌린 인성여중은 42대44로 뒤져 패색이 짙던 경기종료 4초전, 김은비(7점10리바운드)가 골밑을 돌파해 넘어지며 던진 슛이 성공돼 44대44로 극적인 동점을 만들어 승부를 연장전으로 끌고 갔다.연장전 초반 신지현에게 먼저 야투를 내준 인성여중은 자유투로 1점을 따라붙은 뒤 오현애의 3점포가 림에 꽂혀 48대46으로 역전에 성공했다.이어 김은비가 우중간에서 역시 3점슛을 성공시켜 승기를 잡은 후, 신지현에게 2점을 내줬으나 서수빈이 골밑 돌파로 결승점을 올려 짜릿한 역전 우승을 일궈냈다.또 이어진 고등부 결승전에서 지난해 우승팀 인성여고는 이지현(17점12리바운드), 이승아(14점15리바운드6어시스트)가 맹활약을 펼쳐 홍아란(21점13리바운드)의 삼천포여고를 56대47로 따돌리고 2년 연속 정상에 올랐다.인성여고는 전반을 25대24, 1점 차로 앞선 뒤 후반 들어 조직력과 스피드가 살아나면서 이승아, 문슬기(9점6리바운드), 박다정의 득점이 연속 성공되면서 점수를 벌린 끝에 9점차 승리를 낚았다.한편 이승아(인성여고)와 김희진(인성여중)은 나란히 최우수선수(MVP)에 선정됐고, 김희진은 득점상, 이승아는 수비상을 받았으며, 김광천 감독과 김광은 코치(이상 인성여고), 김진희 감독과 안철호 코치(이상 인성여중)는 나란히 지도상을 수상했다./황선학기자 2hwangpo@ekgib.com

수원 장안高·망포中, 우승 합창

수원 장안고와 망포중이 제11회 교육감배 경기도 중고 동아리농구대회에서 나란히 정상에 올랐다.장안고는 27일 수원여고체육관에서 막을 내린 대회 최종일 고등부 결승전에서 우진식(12점)과 전재웅(11점) 등 주전들의 고른 활약을 앞세워 김환영(16점)과 임재원(8점)이 분전한 시흥 능곡고를 46대32로 완파, 패권을 안았다.앞서 4강전에서 장안고는 부천 원종고를 38대29로 눌러 결승에 나섰고, 능곡고는 의정부 영석고를 48대28로 제압하고 결승에 올랐었다. 또 망포중은 중등부 결승전에서 김진규(11점)와 조영욱(4점)이 득점을 이끌어 유영균(7점)과 백동렬(4점)을 앞세운 부천 중흥중을 23대16으로 누르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전반을 7대9로 뒤진 망포중은 후반들어 김진규의 득점이 살아나며 역전에 성공한 뒤 중흥중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내 7점차 승리를 거뒀다.한편 대회 고등부 최우수선수(MVP)와 우수선수에는 각각 전재웅(장안고)과 김환영(능곡고)이 선정됐고, 지도자상에는 장안고 이동복 감독이 뽑혔다.또 중등부에서는 김진규(망포중)와 유영균(중흥중)이 각각 MVP와 우수선수상을 받았고, 망포중 유수훈 감독은 지도자상을 수상했다.이 밖에 김유신(영석고)과 고광훈(원종고), 정영규(안양 연현중), 김동현(수원 영일중)은 각각 부별 감투상과 미기상을 받았다./안영국기자 ang@ekgib.com

올스타전, 30대팀 ‘여유만만’ 20대 ‘질풍가도’ 100대90 제압

1970년대 생으로 꾸며진 여유만만(1970s)의 노련미가 질풍가도(1980s)의 패기를 잠재웠다.크리스마스를 맞아 지난 25일 안산 와동체육관에서 펼쳐진 여자프로농구(WKBL) 신한은행 2009~2010 올스타전에서 정선민(안산 신한은행12점9리바운드7어시스트), 김계령(춘천 우리은행23점 8리바운드) 등 30대 노장들이 중심이 된 여유만만이 최윤아(신한은행7리바운드10어시스트)와 김정은(부천 신세계20점) 등 20대 선수들이 주축이 된 질풍가도를 100대90으로 눌렀다.최우수선수(MVP)로 뽑힌 김영옥(천안 KB국민은행30점)은 질풍가도급 스피드를 선보이며 후배들에게 한 수 위의 기량을 뽐냈다.양팀의 선수들은 1쿼터부터 3쿼터까지 팬들에게 올스타전의 묘미를 선사하며 즐거운 농구를 보여줬지만, 4쿼터 들어서는 진검승부를 펼치기 시작했다.여유만만은 75대76으로 1점 뒤진 채 맞은 4쿼터에서 김계령의 자유투 2개와 이종애의 골밑슛, 박정은(이상 용인 삼성생명)의 3점포 2개 등으로 김정은이 4점을 만회한 질풍가도에 86대80으로 앞서며 기선을 제압했다.승기를 잡은 여유만만은 변연하의 3점슛과 김정은의 점프슛으로 질풍가도가 87대85까지 추격해오자 김계령, 정선민의 골밑득점과 김영옥, 박정은의 3점슛으로 점수차를 더욱 벌려 10점차 승리를 거뒀다.한편 앞서 열린 3점슛 대결에서는 박정은이 21점을 넣어 14점에 그친 김선혜(우리은행)와 박세미(신세계13점)를 크게 따돌리고 3점슛 여왕의 자리에 올랐고, 드리블과 패스, 자유투 등 가드의 각종 기술을 빠른 시간 안에 완료하는 스킬스 챌린지에서는 이은혜(우리은행)가 28.07초로 32.4초의 김지윤(신세계)과 42.3초의 김지현(국민은행)을 따돌리고 우승, 각각 50만원의 상금을 부상으로 받았다./안영국기자 ang@ekgib.com

성탄절 여자농구 ★들 뜬다

별들의 축제인 2009~2010 여자프로농구 올스타전이 성탄절인 25일 오후 5시 안산 와동체육관에서 화려하게 펼쳐진다.여유만만(1970's)과 질풍가도(1980's)로 나눠 치러지는 이번 올스타전은 여유만만에 전주원, 정선민(이상 안산 신한은행), 박정은, 이미선(이상 용인 삼성생명) 등 1990년대부터 한국 여자농구를 이끌어온 노장 선수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또 질풍가도에는 변연하(천안 국민은행), 신정자(구리 금호생명), 최윤아(신한은행), 김정은(부천 신세계), 로벌슨(삼성생명) 등 패기의 젊은 선수들로 구성됐다.이번 올스타전의 최고 관심사는 누가 최고의 활약을 펼쳐 최우수선수(MVP)에 등극하느냐다.MVP는 득점을 많이 올린 선수가 받을 가능성이 높아 김계령(춘천 우리은행), 정선민, 김정은 등 득점 1~3위에 오른 선수 가운데 나올 가능성이 높지만, 그동안 각종 상이란 상은 모두 받았던 정선민이 유독 올스타전 MVP와는 인연이 없어 첫 수상을 노리고 있다.여기에 지난 해 올스타전 MVP인 변연하와 올스타전 최초로 트리플 더블을 기록한 최윤아 등도 MVP를 노리고 있다.별중의 별인 MVP와 함께 3점슛왕과 드리블, 패스, 슈팅부문에서 최고의 선수를 가리는 스킬스 챌린지(SKILLS CHALLENGE)에 누가 오를지도 관심거리다.3점슛왕에는 지난 시즌 3점슛왕에 오른 김선혜(우리은행)를 비롯, 박정은, 김영옥(국민은행), 변연하, 전주원, 양정옥(신세계) 등 12명의 3점슈터들이 참가해 고감도 슛을 뽐낸다.스킬스 챌린지 부문은 지그재그 드리블-체스트 패스-바운드 패스-중거리슛-레이업으로 이어지는 코스를 누가 가장 빨리 통과하느냐를 겨루는 것으로 김영옥, 이경은(금호생명), 이미선, 김지윤(신세계), 최윤아 등 각 팀의 날쌘돌이 12명이 나서 경쟁한다.이 밖에도 감독들의 3점슛 대결, 하프라인슛 이벤트, 팬 사인회, 감독과 심판의 목소리크기 대결 등 흥미로운 이벤트가 준비돼 팬들의 관심을 끌 전망이다./황선학기자 2hwangpo@ekgib.com

‘중앙대-상무 초반부터 ‘빅뱅’

겨울코트의 마지막 승부, KB국민은행 2009 농구대잔치가 남자 12부 19개팀과 여자부 4개팀 등 총 25개팀이 참가한 가운데 오는 17일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개막돼 28일까지 12일간 열전을 벌인다.남자 1부에서는 성균관대와 고려대, 명지대 등 6개팀이 속한 A조와 지난해 우승팀 상무, 대학최강 중앙대, 연세대 등 6개팀이 포함된 B조 등 2개조로 나뉘어 예선을 치른 뒤 각 조 1위부터 4위까지 8강을 가려 결선 토너먼트로 우승팀을 결정한다.이번 대회의 관전 포인트는 지난해 준결승전서 상무에 패하며 52연승의 행진이 중단됐던 대학 최강팀 중앙대가 예선부터 프로출신 선수들로 구성된 상무와 만나게 돼 설욕전을 펼칠 수 있을지가 가장 큰 관심거리다.또 남자 2부에서는 올해 각종 대회를 휩쓴 상명대와 초당대 등 4개팀이 A조, 경원대와 서울대 등 3개팀이 B조에 속해 각조 2위까지 주어지는 4강행을 다툴 것으로 보여진다.이 밖에 여자부에서는 지난 해 우승팀 김천시청과 사천시청, 동아백화점, 국일정공 4개팀이 풀리그 방식으로 우승팀을 결정짓는다.한편 이번 대회는 올해 한국농구연맹(KBL) 신인 드래프트에서 1부 대학 출신들의 트라이아웃이 없어졌기 때문에 선수들의 기량을 직접 확인하려는 프로 관계자들의 발길이 더 잦아질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이에 맞춰 프로 관계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려는 4학년 선수들의 의지도 더욱 강해질 것으로 보여 매 경기 치열한 혈투가 펼쳐질 전망이다. /안영국기자 ang@ekgi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