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인점 등 종이봉투 돈 받아

홈플러스와 수원 갤러리아 등 경기도내 대형 할인매장과 백화점이 종이봉투와 쇼핑백을 공짜로 제공하라는 정부 지침을 무시한 채 고객들에게 돈을 받고 있어 비난을 사고 있다. 31일 환경부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달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공포, 그동안 대형 할인매장과 백화점에서 돈을 받고 팔던 1회용 종이봉투와 종이 쇼핑백을 무료 제공토록 했다. 이는 종이봉투 등의 분리·수거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고객들의 부담을 줄인다는 취지에서다. 그러나 이같은 법 시행 2개월이 지나도록 도내 홈플러스와 수원 갤러리아 백화점은 여전히 돈을 받고 고객들에게 종이봉투와 쇼핑백을 팔고 있다. 실제 이날 오후 1시께 홈플러스 북수원점은 고객들에게 50원을 받고 종이봉투를 판매하고 있고, 수원 갤러리아 백화점 역시 20원에 종이 쇼핑백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홈플러스의 경우, 김포점과 부천상동점, 안산점 등 도내 11개 매장 전체에서 법을 무시한 채 유상 판매를 고수하고 있어 고객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주부 강선영씨(33·수원 장안구)는 “롯데마트 등 다른 할인매장은 무료로 주고 있는데 유독 홈플러스만 돈을 받고 있다”며 “두달동안 감쪽같이 속았다고 생각하니 분통이 터진다”고 말했다. 회사원 오정기씨(42·안양 만안구)도 “조카들과 함께 수원 갤러리아 백화점에서 물건을 사고 종이봉투를 요구했더니 돈을 달라고 하더라”며 “이는 완전히 고객을 우롱하는 행위다”고 불평했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 안산점 관계자는 “이같은 내용을 전혀 모르고 있었는데 다른 매장도 똑같은 상황”이라고 말했으며, 수원 갤러리아 백화점 운영팀 관계자는 “법 내용은 알고 있었으나 그동안 자체지침에 따라 돈을 받았던 것으로 1일부터는 무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황신섭기자 hss@kgib.co.kr

하남, 퇴비 퇴적물로 하천 오염

하남지역 일부 농가들이 발효퇴비를 사용한 뒤 잔해물을 걷어 내지 않아 우기시 도로로 발효퇴비 잔해물과 흙탕물이 쏟아져 행인들과 차량에 피해를 주고 있다. 더욱이 이들 밭에서 흘러나온 퇴적물들은 여과없이 한강으로 흘러들면서 인근 한강취수원을 오염시키는 부작용도 빚고 있다. 20일 시와 농가, 주민들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1년부터 올해까지 생축분 사용에 따른 냄새와 토양, 환경오염을 억제하기 위해 부추와 채소, 화훼재배 등 1천200여농가에 한해 평균 20억원의 예산으로 발효퇴비를 지원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들 농가 대부분은 수년동안 시비해 온 퇴비 잔해물을 걷어내지 않고 그 위에 재 시비하는 바람에 경작지 높이가 주변 도로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높아져 비가 올 때마다 퇴비 퇴적물 등이 도로와 하수구 등으로 여과없이 흘러 들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천현동 390 성광학교 입구와 창우동 423 주변 도로 양쪽의 부추밭은 발효퇴비 과다 사용으로 기존 도로 높이보다 30~50㎝ 높아져 우기시 흙탕물이 퇴비 퇴적층과 뒤섞여 도로로 흘러 나오고 있다. 게다가 이 퇴적물은 인근 한강 지천인 덕풍천과 산곡천(지방 2급) 등으로 흘러 들어가 한강 취수원을 오염시키고 있다. 장영모 시 산업경제과장은 “문제의 심각성을 알고 있다”며 “농가들에 대해 퇴비시비 방법 홍보 등 개선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동부취재팀=강영호·김효희기자 yhkang@kgib.co.kr

경기도 친환경상품 ‘왕따’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의 친환경상품 구매실적이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최하위권을 면치 못해 친환경 활성화 행정이 지극히 허술한 것으로 지적됐다. 15일 환경부가 발표한 각 지자체별 2007년 친환경 상품 구매실적 결과에 따르면 경기도가 지난해 사무물품 등으로 구매한 총 구매액 89억4천300만원 가운데 친환경 상품 구매액수는 65%인 58억1천600만원이다. 이는 전국 광역지자체 평균 구매율인 80.5%에 크게 모자란 것은 물론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은 구매율이다. 더욱이 도가 환경부에 제출한 2008년 친환경 상품 구매계획마저도 울산시(75.5%), 인천(76.3%)를 제외하고 80%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도내 일선 시·군의 친환경상품 구매 실적도 매우 저조하다. 전국 248개 자치단체 평균이 79.2%로 나타났으나 도내 31개 시·군 중 절반 가량인 16개 시·군이 평균을 넘지 못했다. 구매율이 낮은 시·군은 고양시(63.3%), 안양시(63.4%), 파주시(64%), 부천시(68.9%), 안성시(69.9%) 등이고 특히 과천시(49.5%), 광주시(52.6%)는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각각 239위, 237위로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천, 연천, 시흥, 군포, 여주, 하남, 광명 등은 올해 친환경상품 구매 계획을 지난해보다 낮게 책정, 참여 의지가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경기도교육청도 71.9%의 구매율을 보여 전국 196개 교육청 가운데 187위에 그쳤고 포천교육청(45%)과 의정부교육청(44.3%)도 각각 176위와 177위로 낮은 구매실적을 보였다. 도 관계자는 “각 시·군 및 기관들에게 지속적으로 친환경상품 구매를 독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용진·박수철기자 comnet71@kgib.co.kr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