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부터 전세사기 피해주택 경매차익 지원…LH 매입대상도 확대

개정된 전세사기 피해지원 특별법이 11일부터 시행되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을 위한 경매 차익 지원을 시작한다. 이번 특별법 개정에 따라 LH는 경매에서 전세사기 피해주택을 매입하고 경매 차익(낙찰가와 LH 감정가의 차이)을 피해자에게 지원할 수 있게 됐다. LH는 피해주택을 공공임대주택으로 전환해 피해자에게 제공하며 최대 10년간 임대료를 면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후 10년 동안 시세의 30~50% 수준의 임대료로 추가 거주도 가능하다. 피해자는 LH 매입 주택에서 살지 않고도 경매 차익만을 받을 수 있고 원할 경우 다른 공공임대주택으로 옮길 수 있다. 공공임대 외에도 주거지를 스스로 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세임대’도 제공된다. 이때 피해자가 원하는 주택을 직접 선정하면 LH가 집주인과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지원이 이뤄진다. 개정 특별법은 이날부터 시행되지만, 실제 경매차익 지원 사례는 내년부터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법 개정 전 LH가 매입했던 피해주택 50가구에도 경매차익 지원이 소급 적용되며, 앞으로는 위반 건축물 등 다양한 유형의 주택도 매입이 가능해진다. 피해주택 매입 사전협의 신청은 전세사기 피해자로 결정된 날로부터 3년 이내에 가능하다. 피해주택 관할지역 LH 지역본부의 전세피해지원팀을 방문해서 신청하면 된다. 이한준 LH 사장은 “전세사기 피해자들의 조속한 주거 안정과 일상 회복을 위해 LH는 특별법 개정안 시행 즉시 지원 대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담당 조직과 인력을 확대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갖춰왔다”며 “차질 없이 업무를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파주 동문건설 ‘문산역 3차 동문 디이스트센트럴’ 분양

동문건설이 ‘파주 문산역 3차 동문 디 이스트 센트럴’의 견본주택을 지난 8일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에 나섰다. ‘파주 문산역 3차 동문 디 이스트 센트럴’은 지하 2층~지상 최고 28층, 7개 동 등 총 951가구 규모로 건립된다. 이 중 일반분양 물량은 타입별로 ▲59㎡A 288가구 ▲59㎡B 197가 구 ▲74㎡ 216가구 ▲84㎡ 47가구 등으로 선호도 높은 중대형으로 구성돼 있다. 오는 18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19일 1순위, 20일 2순위 등의 순으로 청약 일정을 진행한다. 당첨자 발표는 26일이며 정당 계약은 다음달 9~11일 3일간 진행된다. 단지 인근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문산역을 이용해 서울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향후 대곡역에서 GTX-A노선(예정)으로 환승하면 서울역까지 40분대 이동이 가능해진다. 도로교통망도 잘 갖춰져 있다. 단지 인근에 위치한 당동IC, 내포IC 진출이 수월하며 서울문산고속도로를 통해 고양, 일산, 서울 등은 물론 경기 전역으로 빠른 이동이 가능하다. 단지 주변으로 다양한 인프라시설도 풍부하다. 수도권인데도 농어촌 특별전형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지 내부는 입주민들의 편의를 고려한 트렌디한 특화설계를 도입한다. 입주민들의 주거 편의성을 고려한 4Bay 평면(일부 타입 제외) 및 거실과 주방 맞통풍 설계로 쾌적한 주거 공간을 제공한다. 팬트리와 드레스룸 등 여유롭고 트렌디한 공간(타입별 상이)을 제공해 입주민들이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다양한 공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파주

경기도 미분양 주택 1만가구 육박…3년새 3배 증가

경기도 미분양 주택 물량이 3년 새 3배 이상으로 늘어나며 1만가구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통계청 미분양주택 현황을 분석해 발표한 '연도별·지역별 미분양주택 현황 점검'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 총 6만7천550가구 중 경기도가 9천567가구(14.2%)를 차지했다. 이는 17개 시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뒤이어 대구 9천410가구(13.9%), 경북 7천330가구(10.9%) 순이었다. 경기도의 미분양 주택 수는 2022년 8월 3천180가구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8월 1년 새 5천401가구로 2천가구 이상 증가했다. 이어 올해 8월에는 1만가구에 육박하며 3년 전과 비교해 3배로 불어났다. 경기도 미분양 물량을 지역별로 나눠 보면 평택시가 3천159가구(33.0%)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이천시 1천217가구(12.7%), 안성시 899가구(9.4%), 고양시 682가구(7.1%), 양주시 679가구(7.1%) 등의 순이었다. 경기도 내 미분양 물량의 절반 가까이가 평택과 이천에 있다는 뜻이다. 고하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경기도 중에서는 서울과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에 미분양 주택이 쏠려 있다"고 설명했다. 지방 미분양 비중 80% 수준 유지…"오랜 기간 이어진 고질적 문제" 한편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연도별로 미분양주택의 수도권과 지방 물량 비율을 보면 2014∼2015년에는 수도권과 지방 비중이 각각 50% 수준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지방 미분양 비중은 2016년 70.4%로 뛰어오른 것을 시작으로 격차를 점점 벌리며 2018년부터 최근까지는 평균적으로 80%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8월 기준 전체 미분양 주택 중 지방 물량은 5만4천934가구로, 전체의 81.3%에 해당한다. 고 연구원은 "2020∼2021년에는 전국 미분양주택이 낮은 수준이었고 2022년에는 물량이 급증했는데도 절대적 물량과 무관하고 지방 비중이 꾸준히 80% 수준을 유지했다"면서 "지방에 미분양 주택이 쏠리는 문제점은 오랜 기간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국내 주택 문제 중 하나"라고 말했다.

세곡동 내곡동 그린벨트 소유주 조사 결과…민간 42% "투기 우려"

정부의 8.8 부동산 대책에 따른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후보지로 꼽히는 강남구 세곡동과 서초구 내곡동 토지 필지의 약 42%가 민간 소유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30일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사저널과 공동으로 조사한 세곡동과 내곡동의 그린벨트 토지 소유주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단체에 따르면 세곡동·내곡동 토지는 산지를 포함해 모두 4천252필지로 면적은 985만㎡다. 이중 개인이나 법인 등 민간이 소유한 토지는 필지는 1천792필지로 약 42%를 차지했다. 면적으로는 약 373만㎡다. 소유 주체별로 보면 외국인을 포함한 개인이 1천577필지(37.1%), 법인이 140필지(3.3%), 신탁사 49필지(1.2%), 기타 종교단체, 종중 등이 26필지(0.6%) 순이었다. 민간이 소유한 1천782필지의 현재 공시지가는 1조 2천307억원에 달했고, 31개 법인이 토지를 처음 매입한 당시 공시지가와 현재 공시지가 차액은 총 1천294억원으로 나타났다. 매입 이후 공시지가 상승액이 가장 큰 법인은 최대 327억원이다. 단체는 지난 5년간 세곡동과 내곡동 그린벨트 지역 거래 내역에서 '지분 쪼개기' 흔적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지분 쪼개기'는 특정 세력이 부동산을 매수해 다수인에게 웃돈을 얹어 분할해 매각하는 방식으로 기획부동산 사기 수법으로 악용되기도 한다. 지난 5년간 세곡동과 내곡동의 그린벨트 지역의 거래 내역 169건 중 80건이 지분 매매였다. 특히 내곡동의 한 그린벨트 임야는 지난해 5월 30일 하루에만 20번에 걸쳐 지분이 직거래 되기도 했다. 경실련은 "조사 과정에서 투기로 의심되는 정황들이 많이 발견됐지만, 모두 투기로 단정지을 수는 없다"며 "다만 정부에서 토지가 용도에 맞게 사용되는지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토지 이용 실태조사를 상시로 진행해 투기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시장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그린벨트 해제가 오히려 사익 추구에 이용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며 "정부가 이제라도 그린벨트를 투기벨트로 만들지 말고, 그린벨트 해제 정책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평택역센트럴시티’ 견본주택 개관

현대건설이 평택시 합정동에 들어서는 ‘힐스테이트 평택역센트럴시티’ 견본주택을 열고 본격적으로 분양에 나선다. 힐스테이트 평택역센트럴시티는 합정동 일원에 지하 3층~지상 35층, 14개동, 전용면적 45~178㎡, 총 1천918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전용면적 45~112㎡, 599가구가 일반분양분이며 타입별 가구수는 45㎡ 32가구, 59㎡A 279가구, 59㎡B 103가구, 74㎡A 45가구, 74㎡B 27가구, 74㎡C 3가구, 84㎡A 14가구, 84㎡B 12가구, 84㎡C 80가구, 112㎡ 4가구 등이다. 수요 선호도 높은 중소형 타입 위주로 다양한 평면을 더해 선택의 폭을 넓힌 점이 특징이다. 다음달 5일 특별공급, 6일 1순위, 7일 2순위 청약접수를 받고 13일 당첨자를 발표한다. 정당계약은 다음달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이다. 입주 예정일은 2028년 1월이다. 청약통장 12개월 이상 조건을 맞추고 19세 이상이면 거주지와 보유주택 수, 가구주 여부 관계없이 1순위 청약이 가능하다. 평택에 6개월 이상 계속 거주자에게 우선권이 주어지며, 전매제한 기간은 6개월이다. 단지의 우수한 교육여건도 강점이다. 단지 바로 옆에 합정초등학교가 위치한 안심학군 입지로 평택여중, 한광중·고, 한광여중·고, 신한중·고, 평택고, 평택마이스터고 등도 인근에 위치해 있다. 분양 관계자는 “학군, 교통, 상업, 행정 등 주요 인프라가 밀집한 평택역 일대 원도심을 바꿀 첫 단지이자 우수한 자리를 선점한 브랜드 대단지인 만큼, 향후 평택 원도심을 대표하는 리딩 단지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택

인천 부평구 삼산동 ‘두산위브 더센트럴 부평’ 견본주택 개관

두산건설은 최근 인천 부평구 삼산동 일대에서 삼산대보아파트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을 통해 공급하는 ‘두산위브 더센트럴 부평’의 견본주택을 열었다고 23일 밝혔다. 두산건설은 지난 21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22일 1순위 청약 접수, 29일 당첨자 발표를 한다. 정당 계약은 오는 11월11~13일 할 계획이다. 두산건설은 지하 4층~지상 최고 25층 6개 동으로 총 500가구 규모로 두산위브 더센트럴 부평을 조성한다. 이 중 전용면적 50㎡는 16가구, 전용면적 52㎡는 22가구, 전용면적 63㎡는 103가구 등 모두 141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두산건설은 두산위브 더센트럴 부평에 변화와 혁신을 담을 예정이다. 이를 위해 두산건설은 ‘꼭 갖고 싶은 공간’, ‘기쁨이 있는 공간’, ‘사랑과 행복이 있는 공간’, ‘아뜰한 생활이 있는 공간’, ‘생활 속 문제가 해결되는 공간’ 등 5개 콘셉트를 바탕으로 짜임새 있는 공간을 선보인다. 이와 함께 두산건설은 브랜드 ‘위브(We’ve)와 제니스(Zenith)의 B.I(Brand Identity)를 담은 패턴을 개발하는 등 차별화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같은 패턴을 이번 아파트 외벽에 적용해 입주민의 자부심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이 밖에도 두산건설은 단지 안에 입주민의 주거 질을 높일 수 있는 운동센터와 스크린골프장, 작은 도서관 등 커뮤니티 시설을 마련한다. 또 집 안에는 에너지절약시스템과 안전시스템, 디지털 시스템 등 다양한 특화시스템을 적용한다. 한편, 두산위브 더센트럴 부평은 서울지하철 7호선 굴포천역과 인천지하철 1호선 갈산역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울 및 수도권 주요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와 경인고속도로, 국도 6호선 등을 이용해 수도권 지역으로도 편리하게 이동 가능하다. 인천

LH, 부천역곡지구 공동주택용지 공급

LH(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지역본부는 경기도 부천시의 역곡 공공주택지구 공동주택용지 B2블록(BL)을 추첨 방식으로 공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 부지는 4만3천905㎡(1만3천304평)로 건폐율 60%, 용적률 250%를 적용해 최고 29층까지 1천45가구의 공동주택을 지을 수 있다. 공급 금액은 약 3천49억 원으로 3.3㎡(1평)당 2천292만원 수준이다. 대금 납부는 5년 무이자 분할납부 조건으로 가능하다. LH 인천본부는 오는 11월13일 1순위 추첨신청에 이어 14일 추첨 및 당첨자 발표를 할 예정이다. 1순위 신청이 없을 경우 일반 주택건설사업자를 대상으로 같은달 14일에 2순위 신청을 받는다. 같은달 28~29일 계약이 이뤄진다. 이 부지는 인근에 역곡초등학교와 병설유치원이 있고, 걸어서 5분안에 역곡중·고등학교가 있어 안전한 도보 통학권을 갖춘 우수한 교육 환경이 장점이다. 부천역곡 지구는 춘의·역곡동 66만㎡(20만평)에 수용인구 1만2천781명(5천632가구) 규모다. ‘3기 신도시’인 인천계양테크노밸리(TV) 및 부천대장지구와 함께 수도권 주택공급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서울과 부천 경계에 있어 우수한 서울 접근성을 자랑하며 종전 시가지의 풍부한 기반시설과 생활인프라를 공유할 수 있어 건설사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아왔다. 경인국철(경인선·1호선) 역곡역 및 서울지하철 7호선 까치울역을 통해 수도권 이동이 편리하다. 또 인근 부천종합운동장역은 서울7호선과, 서해선 등 더블 역세권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D·F노선이 들어올 예정이다. 아울러 부천역곡지구 인근 원미산에서 시작한 베르네천과 지구 동·서측에 형성한 자연림이 수변·근린공원과 유기적으로 이어져 쾌적한 녹지와 자연환경을 누릴 수 있다. 서환식 LH 인천본부장은 “이번 부천역곡 공동주택용지 B2블록 공급을 시작으로 우수한 입지의 수도권 택지를 적기 지속 공급하여 주택 공급난 해소에 이바지하겠다”라고 밝혔다.

양주 백석 모아엘가 그랑데 총 929가구 분양 나서

모아건설산업㈜과 혜림건설㈜이 ‘양주 백석 모아엘가 그랑데' 선착순 동·호지정 계약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양주백석 모아엘가 그랑데는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 279-1번지 일원에 지하 2층~지상 최고 28층, 9개 동, 총 929가구로 조성될 예정이다. 선착순 계약은 청약통장이 필요하지 않고, 만 19세 이상이면 거주지역, 주택 소유 여부 등과 관계없이 세대주, 세대원 누구나 계약 가능하다. 추첨으로 진행되는 일반분양과 달리 원하는 동·호수도 직접 선택 가능하다. 단지의 특별한 계약조건도 눈길을 끈다. 1차 계약금은 1천500만원 정액제를 적용하고, 2차 계약금은 신용대출이 가능하도록 해 초기자금 마련 부담을 크게 낮췄다. 특히 중도금 60% 전액 무이자 혜택을 제공해 수요자의 자금 부담이 더 줄어들 전망이다. 양주백석 모아엘가 그랑데는 고품격 주거문화공간 제공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모아엘가’가 자체 시행·시공하는 아파트로 믿을 수 있다는 평이다. 서울, 인천, 경기, 강원, 광주, 충남 등 전국 각지에서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모아엘가는 ‘양주 백석 모아엘가 그랑데' 역시 브랜드에 걸맞은 특화설계를 적용해 기대감이 높다. 양주 무엇보다 백석지구의 스카이라인을 바꿀 최고 28층 높이로 조성된다. 전 세대 남향 위주 배치와 5Bay, 판상형(일부) 설계로 채광과 통풍을 극대화 했다. 내부에는 공간 활용도가 높은 알파룸(일부 세대)과 드레스룸, 팬트리 등 넉넉한 수납공간과 고급 브랜드 명성에 걸맞은 최고급 마감재 시공으로 공간의 품격까지 더했다. 주차장은 지하로 내리고, 지상에는 중앙광장, 어린이놀이터 등을 마련한 공원형 아파트로 쾌적한 단지 환경을 조성한다. 골프연습장, 피트니스센터, 작은도서관 어린이집, 경로당 등 입주민을 위한 대규모 커뮤니티 시설도 마련된다. 입지도 우수하다. 98번, 3번, 39번 국도를 통해 양주뿐만 아니라 의정부, 동두천, 서울로도 이동이 용이하다. 양주 서부 최초 광역노선인 백석~잠실 광역버스를 이용하면 서울 강남 도심까지 환승 없이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다. 또 GTX-C노선(2028년 예정), 서울~양주고속도로(2030년 예정),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2025년 예정), 7호선 연장선(2026년 예정) 등 교통 개발호재가 다양해 서울과의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단지 인근으로 홍죽일반산업단지와 양주테크노벨리(예정), 은남일반산업단지(예정), 회천첨단산업단지(예정) 등 다수의 산업단지가 위치해 직주근접 여건도 우수하다.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