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후보 인물난 ‘여전’

공직선거법 개정을 통해 여성 의무 공천이 실시되지만 62지방선거를 앞두고 경기도내 여성 출마 희망자가 극소수에 그치면서 여성인물난이 벌어지고 있다. 더욱이 민선 지방자치가 실시된 이후 도내에선 전재희 보건복지부 장관 이외에 단 한명의 여성 단체장이 선출되지 못해 이번 지방선거를 통한 여성단체장 선출 여부가 주목된다. 3일 중앙선관위의 예비후보자 등록현황에 따르면 이날 현재까지 도내에서 등록한 예비후보자 중 기초단체장의 경우, 여성은 광명시장 곽향숙, 이천시장 박현아 예비후보 2명으로 전체 등록자 106명의 1.8%에 그치고 있다.광역의원도 마찬가지로 전체 예비후보자 139명 중 여성은 10명에 불과한 상태이며 기초의원의 경우, 남성 예비후보자는 306명인데 반해 여성은 31명으로 집계됐다.이런 가운데 각 당이 여성의 정치 진출을 위해 전략공천 등의 방식으로 여성 기초단체장 후보 공천을 검토하고 있지만 실행 여부도 불투명한 상태다. 공천 과정에서 지역에 따라 적합한 여성 후보자를 발굴하기 어려운데다 각 당이 당선가능성을 공천심사의 주요기준으로 삼고 있어 일방적인 전략 공천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더욱이 지역연고를 바탕으로 경력이력 및 정당 활동 등 선거후보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여성 출마자를 발굴하기도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이유로 한나라당 경기도당은 지난 531지방선거에서 여성 전략 공천 방침을 가졌지만 실제 공천 결과, 단체장 후보로 단 1명의 여성 공천자도 배출하지 못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국회가 지난 2일 공직선거법 개정을 통해 이번 지방선거에서 국회의원 선거구마다 광역기초의원 정수의 과반 후보를 내는 경우, 1명 이상을 여성으로 의무공천하도록 했지만 기존 여성 지방의원 숫자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정당 관계자들은 비례의원 할당제나 선거법 개정 등을 통해 지방의원의 경우, 여성 진출이 다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성이라는 이유로 공천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면서 인재 영입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갖춘 여성후보를 발굴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김동식기자 dsk@ekgib.com

막 오른 도교육감 선거

62 지방선거를 3개월 앞두고 그동안 수면 아래에 있던 경기도교육감 선거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진보 성향의 김상곤 현 도교육감에 대응, 보수진영의 단일화 여부가 최대 변수로 작용하며 본격적인 선거 레이스가 예상된다.강원춘 전 경기도교원단체총연합회장(53)은 2일 오전 경기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출마를 선언한 뒤 곧바로 예비후보 등록을 했다.이는 한달 전 교육감 예비후보등록이 시작된 지 처음으로 그동안 단일화로 관심을 모았던 보수성향 첫번째 인물이란 점에서 눈길을 모으고 있다. 강 예비후보에 이어 유력 후보군인 김진춘 전 교육감(70)도 조만간 출마의사를 밝힐 예정이다.김 전 교육감은 그동안 보수진영 후보 단일화를 위해 강 예비후보는 물론 대학출신 등 각계 인물을 놓고 물밑 접촉을 사실상 주도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또 그동안 출마 의지를 직간접으로 밝혔던 조창섭 단국대 교육대학원장(69)과 문종철 수원대 명예교수(70)도 다음주 중으로 각각 기자회견을 갖고 예비후보 등록을 하겠다는 입장이며 강인수 수원대 부총장(65)과 최운용 교육위원(65)도 출마의지를 천명하고 있다.이날 김진춘 전 교육감은 보수진영을 결집할 수 있는 인물을 찾는 작업이 팔부능선까지 왔다며 제가 출마하든 아니면 제3의 인물이 출마하든 이달 10일까지 결정이 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또 조창섭 원장은 10일 전후로 공식 기자회견을 갖고 입장을 밝히겠다며 그동안 단일화를 기다렸지만 특별한 움직임이 없는 만큼 독자 출마를 굳히고 있다고 밝혔다.이에 반해 진보진영의 김상곤 교육감은 내달초 중 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아직까지 경쟁구도가 형성되지 않고 있다./김동수최모란기자 dskim@ekgib.com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