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주희(동두천 보영여고)가 일송배 제30회 한국주니어골프선수권대회 여고부에서 정상에 올랐다. 손주희는 13일 레이크힐스 제주CC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날 3라운드에서 2타를 줄여 합계 7언더파 209타로 박지영(육민관고201타)을 1타 차로 제치고 우승했다. 이로써 손주희는 지난 7월 MBC C&I 최강전에 이은 두 번째 승리를 차지했다. 손주희는 첫날 박지영과 각각 2언더파 70타를 치며 공동선두로 나선 뒤 2라운드에서 3언더파, 3라운드 2언더파를 기록하며 우승을 거머쥐었다. 2라운드의 이븐파를 친 박지영은 3라운드에서 4언더파를 몰아치며 손주희를 추격했으나 1타로 무릎을 꿇었다. 여초부에서는 윤하연(석정초)이 3라운드 합계 11언더파 205타로 임희정(황지초212타)과 조아연(전민초219타)을 꺾고 정상에 올랐다. 한편, 남고부는 조대권(동일전자정보고)이 우승했다. 조대권은 마지막날 3라운드에서 4타를 줄이며 합계 5언더파 211타로 이우진(제주방송통신고)과 통타를 이뤘지만 카운트백 규정에 따라 정상에 올랐다. 정근호기자 k101801@kyeonggi.com
완벽한 스윙은 어드레스~백스윙~다운스윙~임팩트~폴로 스루~피니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백 스윙은 힘을 모으는 과정, 임팩트는 힘을 공에 전달하는 단계, 폴로 스루는 힘을 오랫동안 지속시키는 역할하고 피니쉬는 모든 스윙동작을 완성하는 중요한 동작이다. 피니쉬 자세만 봐도 샷이 잘됐는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다. 팔로우 스루 (follow through) 임팩트가 이루어지면 힘의 세기에 따라서 원심력이 발생하여 몸이 뒷쪽으로 돌아가는 상태를 말한다. 피니쉬 (finish) 이름 그대로 스윙은 끝이 나고 몸이 가지런히 있는 상태로써 몸의 균형을 똑바르게 하고 있어야 한다. 피니쉬는 스윙을 완성하는 중요한 동작이다. 끊어 치거나, 피니쉬가 어색하면 공에 제대로 된 스핀이 전달되지 않는다. 사이드 스핀 등이 발생하면서 방향성과 비거리에서 큰 손해를 보게 된다. 프로들이 피니쉬에서 2~3초간 세라고 하는 이유다. 또한 안정된 피니쉬는 스윙의 전체적인 균형을 좌우한다. 샷이 안정됐다는 뜻이다. 이는 좋은 임팩트를 만들고, 클럽 헤드의 속도도 높일 수 있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피니쉬 동작에서는 몸을 일자로 만들어야 합니다 하지만 정면과 측면 모습은 확연히 차이가 있다. 정면에서 봤을 때 올바른 자세를 살펴보자. 일단 스윙 후 체중을 왼발 쪽으로 완전히 이동시켜야 한다. 그리고 몸은 일자에 가까운 자세를 취해야 한다. 이 때 상체가 뒤로 꺾이게 되면 체중 이동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뜻이다. 이는 슬라이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측면 모습은 정면과 반대다. 일자를 만들어선 안 된다. 측면에서 봤을 때 정확한 동작은 어드레스 때의 허리 각도를 그대로 유지한 자세다. 허리 각도를 유지하지 않고 피니쉬를 하게 되면 임팩트 순간 정확한 타점에 공을 맞히지 못했다는 뜻이다. 이러면 대개 헤드-업을 하게 돼 소위 탑볼이나 뒤땅이 나기 쉽다. 대부분의 아마추어 골퍼들은 어드레스의 허리 각도를 피니쉬까지 유지하기 어렵다.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하프 스윙 정도까지는 허리 각도를 유지하도록 노력하고 그 후에 상체를 세워준다. 그래도 몸이 허락한다면 가급적 허리 각도를 유지하는 게 좋다. 피니쉬동작 1. 피니쉬 동작은 체중은 왼발에 실려 있고, 2. 몸(배꼽)은 목표 방향을 정면으로 바라보고, 3. 자세는 백스윙의 톱 자세와 좌우 대칭 4. 피니쉬의 척추 각은 어드레스 때 척추 각과 동일. 5. 오른발은 발바닥이 모두 보일 수 있도록 회전 6. 왼쪽 어깨가 턱밑까지 올 때까지 돌려야 한다 경기일보 전만동프로의 호쾌한 골프을 애독하시는 애독자 여러분의 골프에 관한 질의를 받아 고민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경기일보나 전만동프로 E-Mail(golfchun@hanmail.net & ☎010-8449-1177)로 문의하시면 최선의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만동 프로 용인대학교 골프외래교수 안성레이크힐스 골프장 헤드프로 뉴질랜드 프로골프협회 정회원(NZPGA)
공병선(용인시)과 최동섭(이천시)이 제11회 경기도지사기 생활체육골프대회 남자부 1,2부 개인전 정상에 올랐다. 최동섭은 3일 안성베네스트클럽에서 열린 대회 남자 2부 개인전서 67타를 기록, 71타 유인복(포천시)과 72타 장용석(안성시)을 제치고 우승컵을 들었다. 공병선은 대회 남자 1부 개인전서 70타로 1위를 차지했다. 또 여자부 1, 2부 개인전은 최명숙(안양시76타)과 윤문자(포천시74타)가 우승했다. 남녀 롱게스트상은 김태봉(고양시310야드)과 신정윤(고양시280야드)이 차지했으며, 남녀 니어리스트상은 박길호(의왕시80cm)와 권수경(안성시2m)이 수상했다. 한편, 종합시상은 1부에서 부천시가 <사진> 459타로 안양시(464타), 성남시(467타)를 제치고 우승했으며 2부에서는 포천시가 450타로 이천시(467타)와 광주시(468타)를 누르고 정상에 올랐다. 정근호기자 k101801@kyeonggi.com
한인규(여주 이포고)와 김정연(포천 동남고)이 제25회 경기도지사배 학생골프대회에서 남녀 고등부 개인전에서 정상에 올랐다. 한인규는 지난달 31일 용인 태광컨트리클럽에서 끝난 대회 남고부 개인전에서 1,2라운드 합계 3언더파 141타로 이재진(신갈고143타)과 국윤형(신성고144타)을 제치고 우승했다. 한인규는 지난 6월말 제18회 경기도교육감배 학생골프대회 우승에 이어 2관왕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여고부 김정연은 1,2라운드 합계 4오버파 148타로 한지수(이포고149타)와 김도은(백석고153타)을 꺾고 1위를 차지했다. 또 남자 중등부 개인전은 전규범(신성중)이 1,2라운드 합계 5언더파 139타로 오승택(태성중141타)과 이현수(신성중141타)를 누르고 우승컵을 들었다. 여중부 개인전은 김신혜(사동중)가 1,2라운드 합계 이븐파 144타로 마다솜(안양여중148타)과 임소희(외국인학교148타)를 제치고 우승했다. 남녀 초등부 개인전은 박규태(석성초6언더파 138타)와 전예성(중앙기독초1오버파 145타)이 정상에 올랐다. 한편, 남녀 고등부 단체전은 신성고(국윤형조성원김찬중황두현)와 백석고(김도은강서은김호정)가 각각 446타와 475타로 신갈고(449타)와 동남고(476타)를 누르고 패권을 안았다. 남녀 중등부 단체전은 태성중(정재훈오승택신석우)과 세정중(이상희옥희라조다영)이 각각 284타와 302타로 우승의 영예를 안았다. 정근호기자 k101801@kyeonggi.com
클럽페이스가 공을 타격하는 순간을 뜻 한다. 이 순간의 클럽페이스는 목표선과 직각을 이루어 공이 목표선을 따라 날아 가도록 한다. 임팩트 시 볼이 티를 떠나는 속도는 프로골퍼들의 경우는 초속70m, 시속 250㎞라고 한다. 이 스피드를 지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자세와 훌륭한 임팩트 순간이라 생각한다. 다운 스윙 중의 스윙 파워는 각 부분의 근육의 대, 소에 비례한다고 생각하며, 거대한 근육을 가진 하반신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스윙의 강약을 결정하게 된다. 다운스윙의 파워 발생 비율은 하반신 60%, 상체 30%, 팔은 10%나 또는 그 이하의 비율이라 생각 한다. 이것은 개인차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하반신을 중심으로 한 스윙이 좋은 스윙이 되고 파워를 낳게 한다. 공의 쏠림은 스윙의 치우침이 원인 백스윙 동작부터 물 흐르듯 한번에 피니쉬까지 깔끔한 동작 유지 필요 ■ 임팩트시 척추를 곧게 편자세가 중요 샷을 할 때는 처음 어드레스 때부터 척추 축을 곧게 편 채로 자세를 잡고, 임팩트 순간에도 그 축이 무너지지 않고 최대한 펴지도록 해야 한다. 거리가 나지 않는 아마추어 골퍼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동작 중 하나가 임팩트 때 상체가 주저앉는 것이다. 무엇보다 임팩트 순간에 팔이 구부러지는 현상이 나타나곤 한다 ■ 임팩트시 공통점 2가지 1.헤드와 볼은 이미 임팩트 순간을 떠났는데도 한결같이 머리는 볼이 있던 자리 뒤에 머물러있다는 사실이다. 2.임팩트이후 양손과 두 팔이 교차하면서 최대한 목표방향으로 팔로스루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중심축을 그대로 유지한 채 이 같은 동작을 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연습장에서 무조건 볼을 칠 것이 아니라 연습스윙으로 폼을 잡아보라는 것이다. ■ 임팩트의 완성은 좌우 대칭 공이 좌로, 우로 치우쳐서 날아가는 것은 그 공을 날려보낸 스윙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스윙이 좌우로 치우치지 않으면 공이 한쪽으로 쏠릴 이유가 없을 것이다. 골프 스윙은 임팩트 순간을 가운데 두고 백스윙과 피니쉬로 나눠진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많은 골퍼들이 백스윙에만 너무 신경을 쓰는 경향이 있다. 백스윙은 스윙의 처음이며 그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인지 어떻게 몸통을 움직여서, 아니 대부분은 어떻게 팔을 들어서 할 것이며 또 얼마나 천천히 할 것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필자는 초보자 골퍼나 중 상급자 및 프로골퍼에게까지 마지막 피니쉬까지 리듬을 이용한 자연스런 스윙을 구사하길 요구하고 지도하고 있다. 많은 골퍼들이 원하는 방향성과 비거리향상은 올바른 임팩트가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골프스윙을 자연스럽게 연습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손쉽게 피니쉬까지 물 흐르듯 한번에 깔끔한 스윙동작을 만든다면 방향성과 비거리를 늘려 나갈 수 있고 호쾌한 골프를 즐길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전만동 프로는= ● 용인대학교 골프외래교수 ● 안성레이크힐스 골프장 헤드프로 ● 뉴질랜드 프로골프협회 정회원(NZPGA)
안양여중 이소영이 제19회 송암배 아마추어 골프선수권대회 여자부에서 우승했다. 국가상비군 이소영은 지난 24일 경북 경산 대구컨트리클럽에서 열린 여자부(파726천643야드) 대회 마지막날 3라운드에서 이븐파 72타를 쳐 최종합계 3언더파 213타로 우승했다. 준우승은 2언더파 714타를 기록한 동두천 보영여고의 박지연이, 3위는 박지수(원화여고1오버파 217타)가 차지했다. 한편, 이번 대회는 4라운드로 열릴 예정이었으나 전날 많은 비로 취소돼 3라운드로 치러졌다. 정근호기자 k101801@kyeonggi.com
허리는 목표방향과 평행인채로 그대로 둔채, 왼쪽 어개를 오른쪽으로 45도 회전한 탑오브 스윙, 즉 백스윙 정점에 도달하면 이제 다운스윙을 하게 된다. 백스윙 정점에서 임팩트까지를 말하는 다운스윙은 왼쪽이 중심이다. 왼쪽 무릎의 리드에 따라 왼팔로 클럽을 왼쪽 허리를 향해 끌어내리면서 휘두르는 것이다. 이 다운 스윙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공이 날아가는 방향이 결정되기 대문에 왼쪽 리드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오른쪽도 신경 써야 한다. 뒤틀어진 상체가 풀어지면서 왼쪽 어깨와 왼쪽 무릎이 어드레스 때의 자세로 돌아오는 동시에 오른쪽 팔꿈치가 오른쪽 겨드랑이를 끼고 몸을 스치면서 임팩트로 들어가야 하기 대문이다. 오른쪽 팔꿈치가 겨드랑이에서 떨어지면 클럽 헤드가 아웃 사이드 인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슬라이스가 나기 쉬우므로 유의해야 한다. 이 오른쪽 팔꿈치의 자세는 어떤 클럽으로 스윙하든 마찬가지다. 이것이 다운 스윙을 올바르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바로 이 오른팔꿈치에 의해서 클럽 헤드가 인 사이드 인의 궤도로 들어가게 된다. 또 하나 다운스윙 때 점검할 것은 그립 끝의 방향이다. 왼쪽 허리와 왼쪽 무릎에 의해서 상체까지 어드레스의 자세로 되돌아 가서 몸이 목표방향과 스퀘어, 즉 평행을 이루었더라도 그립 끝은 공을 향하고 있어야 한다. 올바른 다운 스윙을 위한 필수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다운 스윙시작은 오른쪽 무릎과 힙(hip)을 목표방향으로 평행하게 보내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회전에 의하여 왼팔로 클럽을 당겨 내린다. ▶ 그립이 몸의 안쪽에 올 때까지 코킹을 풀지 않는다. 손목을 빨리 펴버리면 임팩트가 망가지며 헤드 스피드가 떨어진다. ▶ 왼쪽 허리를 닫은 상태에서 어느 정도 똑바로 선 느낌으로 임팩트를 한다. 또 될 수 있는 대로 상체를 들어 올리지 않고 공을 쳐내는 범위를 크게 한다. ▶탑 오브 스윙에서 왼팔을 뻗은 상태로 클럽을 끌어 내린다. 만약 왼팔이 구부러지면 클럽 페이스 방향이 틀어진다. 또 손목으로 공을 맞추려고 하면 오리혀 나쁜 결과가 나온다. 왼팔이 내려올 때 앞으로 내밀면 리듬이 헝클어지므로 최대한 몸에 붙여 내린다. 다운스윙에서 중상급 실력의 골퍼들은 대개 '다운스윙의 시작은 하체로부터'라고 생각한다. 이런 개념이 때때로 다리와 힙(hip)을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는 원인이 되곤 한다. 몸은 공 앞으로 미끄러져 나가고 클럽은 뒤쳐져서 따라온다. 그래서 임팩트에서 클럽페이스가 스퀘어가 되는 것은 오로지 재빨리 손을 뒤집게 되는 짧은 순간밖에 없게 된다. 물론 굿 샷은 가능하지만 일관성은 없다. # 연습법 : 양 무릎을 벌리고 스윙한다 만일 당신에게 하체를 지나치게 사용하는 문제가 있다면 양 무릎을 넓게 벌리고 공을 때려보길 권한다. 양 무릎을 밖으로 벌리고 셋업을 하면 백스윙과 다운스윙에서 하체가 좌우로 빠지는 것을 막아준다. 공을 티에 올리고 이 자세를 취하고 드라이버 샷을 해보라. 공을 몇 개만 쳐 보아도 자세가 전보다는 한결 안정됨을 느낄것이다. 경기일보 전만동프로의 호쾌한 골프를 애독하시는 애독자 여러분의 골프에 관한 질의를 받아 고민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경기일보나 전만동프로 E-Mail(golfchun@hanmail.net & ☎010-8449-1177)로 문의하시면 최선의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여자프로골프투어(KLPGT) 대회인 넵스 마스터피스 2012(총상금 6억원)에서 김자영(21넵스)이 시즌 4승째를 거두고 타이틀 경쟁에서 독주 체제를 구축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강원도 홍천 힐드로사이 컨트리클럽(파726천585야드)에서 16~19일 열리는 이번 대회에는 올 시즌 8개 대회에 출전해 3승을 올린 김자영, 지난 시즌 3관왕 김하늘(24비씨카드), 디펜딩 챔피언 이정은(24호반건설) 등 106명의 선수가 출전해 샷 대결을 펼친다. 김자영은 12일 끝난 하반기 첫 대회 히든밸리 여자오픈까지 3승을 거두며 올 시즌 상금 랭킹 1위(3억2천500만원)와 대상(최우수선수) 포인트 1위(136점)를 달리고 있다. 출전한 대회 가운데 톱10에 랭크된 횟수를 나타내는 비율인 톱10 피니시율이 62.50%로 공동 1위이고 평균 타수도 71.50타 3위로 안정적인 경기력을 유지하는 만큼 이번 대회는 물론 물론 타이틀 경쟁에서도 강력한 우승 후보다. 이러한 김자영의 독주를 막기 위한 이예정(19에쓰오일), 양수진(21넵스), 김하늘 등의 분투 또한 관전 포인트다. 지난 4월 이데일리리바트 레이디스 오픈에서 우승한 이예정은 톱10 피니시율에서 공동 3위(50%)를 달리며 상금 랭킹 2위(1억8천600만원)에 올라있다. 양수진은 상반기 마지막 대회인 에쓰오일 챔피언스 인비테이셔널에서 시즌 첫 승을 거둔 뒤 12일 히든밸리 여자오픈에서도 준우승을 차지해 상금 랭킹 3위(1억7천700만원)로 올라섰다. 지난해 상금왕과 대상, 다승왕을 휩쓸며 최고의 한해를 보낸 김하늘은 올해는 아직 우승이 없지만 톱10 피니시율에서 김자영과 공동 1위(62.50%)에 오르는 등 정상의 자리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이밖에 올 시즌 위너스 클럽 멤버인 정혜진(25우리투자증권)도 두번째 우승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번 대회는 J골프와 SBS골프가 14라운드를 생중계한다. 연합뉴스
■캡사이즈(Capsize) 및 복원(Recovery) 세일링 중 요트는 과도한 풍압에 의해서나 러더 조작의 미숙 또는 적절한 체중배분에 실패하여 전복되는 경우가 있다. 요트는 충분한 부력을 갖추고 있으며 여러분이 적절한 복장과 라이프 자켓을 착용하였다면 스스로 복원하여 다시 세일링을 지속 할 수 있다. 배가 뒤집어 졌을 때를 캡사이즈(Capsize)라 하면 캡사이즈는 돌풍에 의해서나 빠른 속도로 달리다가 급작스러운 러더 조작에 의해서 발생 할 수 있다. 단, 크루징(킬보트)은 스스로 복원되는 능력이 있다. 복원(Recovery) 방법은 뒤집어 진 배를 바라보고 바람을 등진뒤 센타보드 위로 올라간다. 그리고 센타보드에 천천히 힘을 주면 배가 복원되게 된다. 배가 복원되면 옆으로 타면 복원이 완료된다. ■세일링 코스 연습(빔리치 및 풍상, 풍하) 1. 소시지 코스(빔리치) 세일링 코스 연습(Ⅰ)에서는 풍향을 중심으로 같은 풍위로 마크 2개를 띄우고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세일링의 여러 형태를 연습하게 된다. 이 연습의 2가지 중요한 포인트는 첫째, 마크에 최대한 근접해서 요트를 선회하는 것과, 둘째, 다음 마크까지 일직선으로 곧게 세일링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습이 익숙하게 된다면 추후 다음 과정의 가까운 연안 항해는 혼자서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충분한 택킹연습을 한후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 자이빙 연습도 필요하다. 2 소시지 코스( 풍상-풍하) 세일링 코스 연습(Ⅱ)에서는 풍향을 중심으로 같은 풍위로 마크 2개를 띄우고 풍상-풍하 마크 돌기를 하면서 여러 세일링 형태를 연습하게 된다. 코스 연습에서 항상 중요한 것은 첫째, 마크에 최대한 근접해서 요트를 선회하는 것과, 둘째로 다음 마크까지 일직선으로 곧게 세일링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풍상-풍하 마크 돌기에서는 크로스 홀드를 찾는 연습을 통해 한층 업그레이드 된 자신의 세일링 실력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지난해 US여자오픈 우승자 유소연이 LPGA 제이미파 클래식 정상에 오르며 올 시즌 첫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이로써 유소연은 신인왕 포인트에 150점을 추가하며 신인왕에도 한 발짝 다가섰다. 또한, 유소연의 우승으로 한국 선수들의 제이미파 클래식 우승 숫자를 9로 늘렸다. 유소연은 13일(한국시각) 미국 오하이오주 실베이니아의 하이랜드 메도우 골프장(파716천428야드)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버디 9개로 9언더파 62타를 기록했다. 4라운드 합계 20언더파 264타를 기록한 유소연은 13언더파 271타를 기록한 2위 안젤라 스탠퍼드(미국)를 7타차로 여유 있게 제치며 우승했다. 3라운드까지는 유소연, 김인경(24하나금융그룹) 등 4명의 한국 선수가 공동 선두에 올라 한국선수의 우승을 예견할 수 있었다. 유소연은 5번 홀까지 2타를 줄인 데 이어 9번 홀부터 14번 홀까지 6개 홀 연속 버디를 기록하는 등 보기 없이 버디만 9개를 쓸어담으며 승부를 확정 지었다. 박인비(24)와 최운정(22볼빅)은 2타를 줄이는데 그쳐 공동 3위(12언더파 272타)에 올랐고 김인경은 타수를 줄이지 못해 재미교포 제니 리(26)와 공동 5위를 차지했다. 신지애(24미래에셋)는 10언더파 274타로 공동 7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지난 7월 최나연이 US여자오픈 우승을 시작으로 박인비 에비앙 마스터스 우승, 유소연의 제이미파 클래식까지 한국 선수들이 3개 대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또한 올 시즌 들어서는 유선영이 우승한 크라프트 나비스코 챔피언십까지 모두 4승을 기록하게 됐다. 정근호기자 k101801@kyeongg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