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확진, 전날의 3.6배…홍콩·마카오발 입국자 7일부터 방역 강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날의 3.6배가량으로 급증한 가운데 홍콩·마카오발 입국자에 대한 방역 강화가 7일부터 적용된다. 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8만1천56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2만2천735명)의 3.6배가량으로 급증했다. 다만 1주 전인 지난달 27일(8만7천578명)보다는 6천522명, 2주 전인 지난달 20일(8만7천531명)보다는 6천475명 각각 줄어들었다. 경기지역에선 2만2천381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위중증 환자는 3일 연속 600명대를 기록하며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620명이며 사망자는 29명이다. 이런 가운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지난 2일부터 시행 중인 입국 검역 조치 중 일부가 인접 지역인 홍콩·마카오 출발 입국자에 대해서도 확대 적용된다. 이날 중대본은 홍콩·마카오 출발 입국자에 대해 오는 7일부터 입국 전 유전자증폭(PCR) 및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 검사 음성확인서와 항공기 탑승 시 검역정보사전입력시스템 입력 의무화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중대본 관계자는 “최근 홍콩에서 확진자와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지난달 홍콩발 입국자 수가 중국발 입국자 수를 넘어선 점과 주요국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했다”며 “전문가 자문과 관계부처 논의를 거쳤다”고 설명했다.

확진자 증가세 주춤하지만…위중증 또 600명 넘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주 대비 줄어들면서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위중증 환자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2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만2천735명이다. 주말 검사 건수 감소 영향으로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5만7천527명)보다 3만4천792명 줄어들었다. 또 지난달 28일 이후 6일 연속 전주 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지역에선 6천665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경기지역에서 일일 신규 확진자가 6천명대로 떨어진 것은 지난 11월27일(6천691명) 이후 5주 만이다. 이런 가운데 위중증 환자 수는 전날(636명)보다 1명 늘어난 637명으로, 이틀째 600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오미크론 유행기인 작년 4월25일(668명) 이후 8개월여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이와 관련,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은 지난 유행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고령자 비율이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정 단장은 “고령자 비율이 지난 유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에 따라 중증화가 더 가속화되고 있다”며 “또한 이번 유행이 두 달을 넘어가면서 중환자가 누적되고 있다. 백신 접종과 신속한 치료제 처방 등을 면밀히 살피겠다”고 말했다.

새해 첫날 신규확진 5만7천527명…위중증 8개월여 만에 600명↑

새해 첫날인 1일 5만명대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추가됐다. 코로나19 유행은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지만, 위중증 환자 수는 8개월여 만에 600명대로 올라왔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5만7천527명이다. 이는 전날(6만3천104명)보다 5천577명, 일주일 전인 지난달 25일(5만8천413명)보다는 886명 감소한 수치다. 경기지역에선 1만5천639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위중증 환자 수는 8개월여 만에 600명 선을 넘어섰다. 위중증 환자 수는 전날(557명)보다 79명 늘어난 636명이다. 오미크론 유행기인 작년 4월26일(613명) 이후 250일 만에 600명대다. 사망자는 63명이다. 최근 들어 확진자 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위중증 환자 수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위중증 환자 수가 통상 확진자 증감 추이를 2∼3주 후행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런 점을 고려해도 위중증 환자 수의 증가 폭은 큰 편이다. 이 때문에 증상이 있어도 검사를 받지 않는 ‘숨은 감염자’가 많은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편 정부는 2일부터 중국에서 오는 모든 입국자에게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도록 하고 관광객 등을 대상으로 하는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하는 등 중국발 유행의 국내 확산을 막기 위한 고강도 대책을 시행할 방침이다.

코로나19 확산세 주춤…경기 1만6천799명 신규 확진

코로나19 겨울 재유행의 확산세가 주춤한 가운데 31일 6만명이 넘는 신규 확진자가 추가됐다. 31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전국 코로나19 확진자가 6만3천104명 늘어 누적 2천905만9천273명이 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6만5천207명)보다 2천103명, 1주일 전인 지난 24일(6만6천211명)보다 3천107명 각각 줄었다. 경기도는 31일 0시 기준으로 집계된 30일 하루 도내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6천799명이라고 밝혔다. 전날인 29일 1만7천945명보다 1천146명 줄었고, 한 주 전 같은 금요일이었던 지난 23일 1만8천575명보다는 1천776명 감소했다. 이날까지 도내 누적 확진자는 786만8천406명이다. 사망자의 경우 14명이 발생해 누적 사망자가 7천970명이 됐다. 시·군별 확진자를 보면 수원시가 1천712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고양시(1천505명), 화성시(1천304명), 용인시(1천283명), 성남시(1천241명), 부천시(974명), 남양주시(759명) 등 순이었다. 연천군(22명)·가평군(45명)·동두천시(70명) 등 3개 시·군은 100명 미만으로 집계됐다. 도내 코로나19 전담 병상 가동률은 33.0%로 전날(33.4%)보다 0.4%포인트 낮아졌고, 이중 중증환자 병상 가동률도 29.9%로 전날(30.4%)보다 0.5%포인트 떨어졌다. 재택치료 중인 확진자는 10만8천821명으로 전날(10만7천788명)과 비교해 1천33명 증가했다.

신규 확진 감소세… 경기도민 일상회복 2년새 최고 수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줄어든 반면 사망자는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8만7천517명)보다 1만6천90명 감소한 7만1천42명이다. 이날 확진자는 일주일 전인 지난 22일(7만5천729명)보다 4천302명 적다. 위중증 환자는 12일째 500명대인 590명이며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지난 9월4일(79명) 이후 116일 만에 최다치인 76명이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민의 코로나19 일상 회복 수준이 최근 2년 사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와 서울대 보건대학원의 유명순 교수 연구팀이 이달 1~7일 도민 1천200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에 대한 인식변화 조사’ 결과에서는 12월 일상회복 점수가 평균 65.8점으로 조사됐다. 일상회복 점수는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을 얼마나 회복했는가를 0점(완전 정지)에서 100점(완전 회복)까지 표시한 값이다. 일상 회복도를 처음 조사한 2020년 5월의 점수는 평균 53.9점이었고 올해 1월 47.2점까지 낮아졌다가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도민의 일상회복 수준은 높아졌으나 정신건강 지표는 여전히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한 수준”이라며 “아울러 소득 수준 등 사회적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일상 회복과 정신건강 수준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이틀 8만명대…위중증 환자·사망자 수 큰 폭 증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이틀 8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28일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8만7천517명이다. 이는 전날(8만7천596명)보다는 79명, 일주일 전인 지난 21일(8만8천160명)보다는 643명 감소한 수치다. 하지만 2주일 전인 지난 14일(8만4천548명)보다는 2천969명 증가했다. 위중증 환자는 587명이며 사망자는 69명이다. 경기지역에선 2만4천122명이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8~24일 주간 신규 확진자는 일평균 6만7천321명으로 직전 주에 비해 3.5% 증가했다. 또한 주간 일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464명에서 13.8% 증가한 528명,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는 46명에서 56명으로 20.7% 늘었다. 정부는 최근 확진자 수가 완만한 증가세를 보인 것에 비해 위중증·사망자 수의 증가폭이 큰 원인은 검사 기피 현상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검사를 기피해 확진 판정을 받지 않는 사례가 나타나면서 통계에 일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 1주 전과 비슷한 8만명대…3040 남성, 코로나 이후 우울장애 ↑

일일 코로나19 확진자가 1주 전과 비슷한 8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코로나 시기를 거치며 30·40대 남성의 정신 건강이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8만7천596명으로 전날(2만5천545명)보다 6만2천51명 늘었다. 이날 신규 확진은 일주일 전인 지난 20일(8만7천536명)보다는 60명, 2주일 전인 13일(8만6천826명)보다는 770명 증가했다. 위중증 환자는 592명이며 사망자는 50명이다. 경기지역에선 2만4천362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유행 전후로 30·40대 남성의 우울장애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질병관리청이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분석한 ‘성인 정신건강 심층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유행 전(2018~2019년)과 코로나 유행 이후(2020~2021년) 30대 남성의 우울장애 유병률 교차비는 2.87이며 40대 남성도 2.32로 나타났다. 교차비는 1 이상일 때 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본다. 또한 코로나 이후 ‘자살생각률’은 전체적으로 코로나 사태 이전에 비해 낮아졌지만 30대의 경우 남성(2.69)과 여성(2.59) 모두 유행 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 유행 이후에는 30대 남성의 정신건강 악화 정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흘째 전주 대비 소폭 감소…정기석 "곧 유행 안정 시점"

하루 신규 확진자가 2만명대까지 떨어지면서 사흘째 전주 대비 확진자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만5천545명 발생했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5만8천448명)보다 3만2천903명 감소했다. 다만 주말 진단 검사 건수가 줄어든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일주일 전인 지난 19일(2만6천608명)과 비교하면 1천63명이, 2주일 전인 지난 12일(2만5천657명)보다는 112명 적어 사흘째 전주 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일일 확진자는 감소세가 나타났지만 위중증 환자는 9일 연속 500명대를 유지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583명이며 사망자는 42명이다. 경기지역에선 7천74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지난 한두 달 간 유행이 계속돼 왔기 때문에 이제는 어느 정도 정점을 찍고 확진자 수가 계속 유지되거나 조금 내려가면서 안정 추세로 갈 때가 됐다”고 밝혔다. 정 단장은 추운 날씨로 인해 움직임이 적어지면서 감염 전파 역시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보기도 했다. 한편 정부는 마스크 착용 의무 1단계 조정 기준 중 하나로 ‘환자 발생 안정화’를 제시하며 ‘주간 신규 확진자 수가 2주 연속 전주 대비 감소하는 경우’를 참고치로 내놨다.

위중증 600명 육박, 8월말 이후 최다…마스크 착용 의무 단계적 해제

코로나19 겨울 재유행이 이어지는 가운데 위중증 환자가 약 4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준으로 늘었다. 25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만8천448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전날(6만6천211명)보다 7천763명 감소했고, 일주일 전인 지난 18일(5만8천838명)보다도 390명 줄었다. 위중증 환자는 592명으로, 8월29일(597명) 이후 약 4개월 만에 최다치를 기록했다. 사망자는 46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6천445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전환하되 코로나19 유행 상황 및 시설별 위험성 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조정하기로 결정했다. 1단계 조정에서는 실내마스크를 자발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다만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의료기관·약국, 일부 사회복지시설(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 대중교통 내에서는 착용 의무를 유지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1단계 해제 시점이 이르면 설 연휴 이후, 1월 말 정도로 예상되지만 확실하게 말씀드리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조정되더라도 마스크의 착용 필요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자발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개인 방역수칙을 생활화해달라”고 당부했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