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 꺾인 겨울 재유행에 실내마스크 조정 본격화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감소 추세를 보이는 등 겨울철 재유행이 꺾이면서 방역 당국이 실내마스크 의무 착용에 대한 조정 방안을 논의한다. 1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6만41명)보다 5천698명 적은 5만4천343명이다. 이날 확진자는 일주일 전인 지난 4일(7만8천554명)보다 2만4천211명, 2주일 전인 지난달 28일(8만7천493명)보다는 3만3천150명 각각 감소했다. 이처럼 신규 확진자 발생이 2주 연속 줄어들면서 감염재생산지수(Rt, 이번달 첫째주 기준)는 12주 만에 ‘1’ 미만인 0.95로 조사됐다. 확진자 한 명이 다른 사람을 얼마나 감염시키는 척도를 나타내는 해당 수치가 1 이상이면 감염 확산을, 기준치 이하면 감소를 각각 의미한다. 이런 가운데 감염재생산지수가 0.95로 집계된 만큼 방역 당국은 겨울철 재유행이 진정세로 전환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처럼 확산세가 누그러들자 방역 당국은 백신 접종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르면 다음 주 실내마스크 의무 착용에 대한 조정 방안을 검토한다. 다만 중국 내 유행이 거센 데다 고령자 백신 접종률이 여전히 낮기에 방역 당국은 국내외 여건을 살펴보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내놓았다. 한편 이날 위중증 환자는 540명, 사망자는 76명이며 경기지역에선 1만4천319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또 지난 10일 중국발 단기체류 입국자 320명 중 4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10주 새 최저…중국발 단기체류 입국자 코로나 양성률 5.5%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화요일 기준 10주새 최소치로 떨어진 가운데 중국발 단기체류 입국자의 양성률이 5.5%인 것으로 확인됐다. 10일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만41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은 전날(1만9천106명)의 3.1배 수준으로 늘어났지만 화요일(발표일) 기준 지난해 11월1일(5만8천359명) 이후 10주 만에 가장 적은 수를 기록했다. 또한 일주일 전인 지난 3일(8만1천39명)보다 2만998명, 2주일 전인 지난달 27일(8만7천576명)보다 2만7천535명 각각 감소했다. 위중증 환자는 541명이며 사망자는 44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6천10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전날 중국발 입국자들이 국내에 도착 후 진행한 검사에서 양성률이 5.5%로 나타났다. 중국에서 출발해 지난 9일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한 1천403명 중 단기체류 외국인 401명이 공항검사센터에서 PCR 검사를 받아 22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단기체류자의 PCR 검사 양성률은 5일 12.6%, 6일 23.5%, 7일 14.8%를 기록했다가 8일(3.9%)부터 한 자릿수로 내려갔다. 방역당국은 양성률이 들쑥날쑥한 것은 중국의 확진자 발생이 감소 추세에 접어들었고 현지 검사가 한국의 검사보다 정확도가 떨어지는 점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확진자 두 달 만에 최저…내주 실내 마스크 조정 논의 시작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두 달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만9천106명으로, 전날(4만6천766명)보다 2만7천660명 줄어들었다. 이날 신규 확진은 지난해 11월7일(1만8천665명) 이후 63일 만에 가장 적은 수치이며 월요일(발표일) 기준으로 9주 만에 최저치다. 또 일주일 전인 지난 2일(2만2천724명)보다는 3천618명, 2주일 전인 지난달 26일(2만5천530명)보다는 6천424명 각각 감소했다. 위중증 환자는 523명이며 사망자는 35명이다. 경기지역에선 5천855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이 다음 주 중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브리핑에서 정 단장은 “위중증 숫자가 어느 정도 안정이 되는 모습이 보인다면 다음 주쯤에는 실내 마스크 의무 조정에 대해서 논의를 정식으로 시작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중국의 유행 상황이 실내 마스크 해제 시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선 일정을 변경할 수준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실내 마스크 조정 기준 충족했지만… 중국발 입국자 변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감소세를 보이며 정부가 제시한 실내 마스크 조정 기준을 충족했지만 중국에서 들어온 입국자의 감염이 변수가 되고 있다. 8일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4만6천766명으로, 전날(5만3천807명)보다 7천41명 적다. 이날 신규 확진은 1주 전인 지난 1일(5만7천501명)보다는 1만735명, 2주 전인 지난달 25일(5만8천411명)보다는 1만1천645명 줄어들었다. 위중증 환자는 526명이며 사망자는 34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2천29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최근 확진자 감소세 등 추이를 볼 때 정부가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조건으로 제시했던 4개 지표 중 2개 이상이 충족됐지만 중국 코로나 상황이 변수가 되고 있다.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음성확인서 제출이 의무화된 지 사흘째인 지난 7일 입국한 외국인 291명 중 4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들의 양성률은 14.8%로, 입국 전 검사를 통해 음성확인서를 제출해 공항검사센터에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아 7명 중 1명꼴로 확진된 것이다. 방역당국은 입국 전 현지 검사 당시 감염됐으나 잠복기 중이라 음성으로 나왔거나 검사 후에 감염되고 짧은 잠복기를 거쳐 입국 후 양성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보면서 중국발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계속 면밀히 감시한다는 방침이다.

위중증 닷새 만에 500명대…중국서 한국행 항공편 탑승 시 음성확인서 필수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닷새 만에 500명대로 떨어진 가운데 중국에서 한국으로 오는 입국자에 대한 방역 조치가 시행됐다. 5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만4천106명으로, 전날(7만8575명)보다 1만4천469명 줄어들었다. 또한 일주일 전인 지난달 29일(7만1천413명)과 비교하면 7천307명, 2주일 전인 지난달 22일(7만5천724명)보다는 1만1천618명 각각 감소했다. 위중증 환자 571명으로 닷새 만에 500명대로 내려왔으며 사망자는 66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7천6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이날부터 중국에서 한국으로 오는 항공기에 탑승하는 모든 내·외국인은 코로나19 음성확인서를 제출해야 한다. 정부는 지난달 30일 발표한 중국발 입국자 방역강화대책에 따라 다음 달까지 중국에서 국내로 오는 입국자에 대한 방역 조치를 시행했다. 탑승객들은 48시간 이내 PCR 검사 또는 24시간 이내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결과 음성임을 증명하는 확인서를 제출해야 한다. 다만 정부는 장례식 참석 등 인도적 목적이나 공무로 인한 국외 출장자, 만 6세 미만 영유아, 확진일로부터 10일 이후 40일 내인 사람의 경우는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에서 예외로 인정하기로 했다.

1주 전보다 9천명↓… 최근 일주일 해외유입 확진자 중 42% 중국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주 전보다 9천명 가까이 줄어들면서 감소세를 보였지만 중국 내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최근 일주일간 해외유입 확진자 중 중국발 입국자가 40%대로 나타났다. 4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7만8천575명으로, 전날(8만1천56명)보다 2천481명 적다. 이날 신규 확진은 일주일 전인 지난달 28일(8만7천498명)과 비교하면 8천923명, 2주일 전인 지난달 21일(8만8천154명)보다는 9천579명 각각 감소했다. 위중증 환자는 나흘 연속 600명대로 623명이며 사망자는 54명이다. 경기지역에선 2만975명이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최근 일주일간 해외유입 확진자 중 중국발 입국자의 비중이 40%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달 29일부터 이날까지 해외유입 확진자 587명 중 246명(41.9%)이 중국에서 입국해 확진 판정을 받았다. 해외유입 확진자 가운데 중국발 입국자의 비율은 지난해 11월엔 1.1%에 그쳤지만 12월 이후 중국 내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되면서 12월엔 17%가량으로 올라갔다. 특히 지난 2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전수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시작되면서 수치가 처음 반영된 2일 기준으로는 해외유입 확진자(172명) 중 중국발 확진자(131명)의 비율이 76%를 기록하기도 했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