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달에도 카네이션 소비 '뚝'…작년보다 37% 감소

어버이날·스승의날 등이 있는 가정의달이 찾아왔지만, 카네이션 소비는 작년보다 30%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aT) 화훼공판장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4일까지 거래된 국산 절화(자른 꽃) 카네이션은 3만5천528속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만6천366속)과 비교해 37.0%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직후였던 2022년 같은 기간 거래량(7만5천937속)과 비교해도 53.2% 줄어든 수치다. 이 기간, 카네이션 한 속의 거래 가격은 평균 8천411원이었다. 지난해 동기(7천438원)보단 13.1% 올랐으나 2022년 동기(8천806원)보단 4.5% 떨어졌다. 다른 품종에 비해서도 국산 카네이션 거래량 감소는 두드러졌다. 절화 장미의 경우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4일까지 경매량은 6만9천856속으로 작년 6만7천169속보다 4.0% 늘었고, 2022년 동기(7만1천772속)와 비교하면 2.7% 감소했다. 주요 원인은 ‘수입산’과의 가격 경쟁이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절화 카네이션 수입량은 올해 1~3월 410t(톤)으로 작년 동기 346.5t보다 18.3% 늘었으나 2022년 265.2t과 비교하면 54.6% 증가했다. 아울러 경기 악화, 소비 트렌드의 변화 등으로 꽃다발이나 꽃꽂이에 쓰는 절화류 카네이션 소비 자체가 줄었다는 의견도 있다. 한편 절화 거래의 기본 단위인 ‘속’은 카네이션의 경우 20송이, 장미의 경우 10송이를 뜻한다.

“제로 소주, 일반 소주와 당류·열량 비슷”

‘제로 소주’의 당류 및 열량이 일반 소주와 별 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제로슈거(Zero Sugar) 식품의 당류 및 열량을 조사하고, 1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국내에 판매 중인 5개 종류의 제로슈거 소주에서 당류는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비교군인 일반 소주 역시 당류가 100㎖당 평균 0.12g으로 낮아 ‘제로슈거 소주’로 표시가 가능한 수준이었다. 제로슈거 소주 열량의 경우 일반 소주 대비 100㎖당 최소 2.85%(2.60㎉)에서 최대 13.87%(14.70㎉) 낮았다. 그러나 알코올이 100㎖당 최소 0.5도(2.77㎉)에서 최대 2.6도(14.38㎉) 낮고, 알코올 도수에 따라 열량이 차이나는 것을 고려하면, 당류 차이가 소주의 열량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럼에도 소비자의 절반 이상은 제로슈거 소주 열량이 상당히 낮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자원이 제로 음료 또는 주류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2천명을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68.6%(1천371명)는 제로슈거 소주가 일반 소주 대비 열량이 상당히 낮을 것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소비자원은 알코올 1% 미만의 ‘비알코올(Non-alcoholic) 맥주’가 알코올이 없는 ‘무알코올(Alcohol free) 맥주’와 오인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비알코올 맥주는 ‘0.0’, 무알코올 맥주에는 ‘0.00’ 표시가 쓰이고 있는데, 설문에 나선 소비자의 83.0%(1천660명)가 ‘0.0’과 ‘0.00’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제로 식품표시 개선을 권고했고, 유관 부처와 제로 강조표시 관련 개선방안 등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소비자들이 제로 식품을 구매하는 이유로는 ‘건강관리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82.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주로 구매하는 제로 식품 유형은 ▲탄산음료(66.3%) ▲소주(10.4%) ▲맥주(8.8%) ▲이온음료(6.0%) 순이었다. 주류와 별개로 이번 조사에서 제로(제로슈거·제로칼로리) 음료 20개 제품의 경우, 비교군 일반 음료와 비교해 열량은 100㎖당 평균 39.83㎉(98.14%), 당류는 100㎖당 평균 9.89g(99.36%) 낮아 열량과 당류 감소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알리·테무서 산 어린이제품, 환경 호르몬·발암물질 범벅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초저가에 판매 중인 어린이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환경 호르몬과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관세청은 30일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중국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중인 어린이제품 252종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그중 38종(약 15%)에서 국내 안전 기준치를 최대 3천26배 초과하는 유해 성분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분석 대상이 된 어린이제품은 '만 13세 이하의 어린이가 사용하거나 만 13세 이하의 어린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물품 또는 그 부속품이나 부분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매 플랫폼에서 어린이 제품으로 홍보하는 물품을 대상으로 성분 분석을 실시했다. 관세청은 가정의 달인 5월을 맞아 해외직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학용품, 장난감 등 어린이 제품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번 분석을 기획했다. 유해 성분이 검출된 38종 제품 중 27점에서 기준치(0.1% 이하) 대비 최대 82배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으며, 6점에서 기준치(0.0075% 미만) 대비 최대 3천26배의 카드뮴이, 5점에서 기준치(0.01% 미만) 대비 최대 270배의 납이 검출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대표적인 환경 호르몬(내분비계 교란 물질)으로 신체에 장기간 접촉 시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특히 생식기능이나 신체 성장을 저해할 수 있어 어린이제품에 사용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카드뮴은 독성이 강해 국제암연구소에서 지정된 1급 발암물질이며, 납은 중독 시 신장계, 중추신경계, 소화계, 생식계 등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품목 유형별로 보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신발·학용품·장난감 순으로 많이 검출됐고, 중금속(납, 카드뮴)은 반지, 팔찌와 같은 액세서리와 가방, 머리띠에서 주로 나왔다. 관세청은 "지난 한 해 동안 정식 수입 어린이제품 75점 성분 분석 결과 오직 1개 제품에서만 기준치 초과 유해 성분이 검출된 반면 이번 분석에선 252점 중 15%에 이르는 38점에서 검출됐다"며 "다만 분석실 장비로 확인 가능한 일부 유해 성분만 확인한 결과이기 때문에 나머지 85%가 안전하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한편 테무 측 관계자는 보도 직후 "테무는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제품을 제거하는 과정에 있으며 조사를 돕기 위해 추가로 제품 안전 관련 문서를 제출하도록 담당 판매자에게 알렸다"며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앞으로 가까운 시일 내 이와 관련 발표할 내용이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메이플 확률조작’ 집단분쟁조정 시작…다음달 22일까지

‘메이플 확률조작’ 피해자에 대한 집단분쟁조정 절차가 시작된다.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는 ㈜넥슨코리아의 메이플스토리 게임 내 확률형 유료아이템(레드큐브, 블랙큐브)에 관한 집단분쟁조정 절차를 개시하기로 결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결정에 따라 위원회는 다음달 22일까지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 및 일간신문 게재를 통해 절차 개시를 공고한다. 위원회는 향후 소비자기본법 제68조 제7항에서 정한 기간(공고가 종료된 날로부터 30일,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각 30일 이내의 범위에서 2회 연장 가능) 이내에 조정결정을 마칠 예정이다. 또 위원회는 “향후 사업자가 조정결정 내용을 수락하는 때에는 보상계획안 제출을 통해 조정 절차에 참여하지 않은 소비자들도 보상받을 수 있도록 진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추가 참가 신청은 받지 않는다. 한편 지난 1월5일 공정거래위원회는 넥슨에 대해 전자상거래법 위반을 이유로 시정명령 및 과징금(약 116억 원)을 부과했다. 이에 소비자원은 2월21일 소비자의 실질적인 피해를 구제하기 위한 집단분쟁조정 절차를 추진했고, 총 5천804명이 위원회에 집단분쟁조정을 신청했다. 위원회는 해당 사건에 대해 확률형 유료 아이템으로 피해를 입은 소비자 수가 50명 이상이고 사건의 중요한 쟁점이 사실상 또는 법률상 같아 집단분쟁조정 절차 개시 요건을 갖췄다고 판단했다. 변웅재 위원장은 “해당 집단분쟁조정 신청 사건에 관해 다양한 각도에서 심도있는 접근을 통해 합리적인 조정안을 마련할 것이며, 그에 따라 소비자들의 일괄적인 피해구제를 넘어서 실질적인 소비자 권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우리 국민이 가장 좋아하는 생선은 '고등어'...회는 '광어'

우리 국민이 가장 좋아하는 수산물은 ‘고등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8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국민인식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장 좋아하는 수산물은 ‘고등어’라는 답변이 14.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오징어(12.9%), 김(10.4%)이 각각 뒤를 이었으며 광어(7.8%), 새우(6.5%), 갈치(6.5%), 연어(3.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좋아하는 생선회는 광어라는 응답이 40.6%로 다른 수산물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광어에 이어 좋아하는 생선회로는 연어(11.3%), 참돔(5.7%), 방어(5.4%), 도미(4.1%), 오징어(3.5%) 등이 꼽혔다. 수산물을 먹는 장소를 묻는 질문에선 절반 이상이 가정(55.0%)이라고 밝혔다. 가정에 이어서는 횟집(17.0%), 일반음식점(15.5%), 배달을 통해서(7.2%) 순으로 답했다. 수산물 구입 장소로는 대형마트(46.9%)가 전통시장(21.1%)이나 온라인쇼핑(13.9%)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산물 원산지 표시와 관련, 신뢰한다(45.9%)는 응답은 절반도 안됐다. 보통(38.8%) 또는 신뢰하지 않는다(15.2%)는 응답이 더 많았다. 수산물과 관련해 시급한 개선 과제로는 안전도 향상(30.0%)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격 저렴화(27.8%), 원산지표시 등 거래 투명성 확보(18.9%)를 꼽았다.

가정의 달인데…치킨에 햄버거, 피자 등 외식비 ↑

외식비 증가세 속에 가정의 달인 5월을 앞두고 치킨, 피자, 버거 등 어린이가 좋아하는 외식 품목 가격이 잇따라 인상되고 있다. 28일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냉면, 김밥 등 대표 외식 품목 8개의 서울 지역 평균 가격은 1년 전보다 최대 7%대 올랐다. 가격 인상 폭이 가장 큰 외식 품목은 냉면으로 7.2% 올라 한 그릇에 평균 1만1천462원이다. 김밥은 한 줄에 3천323원으로 같은 기간 6.4% 올랐고 비빔밥은 한 그릇에 1만769원으로 5.7% 비싸졌다. 또 김치찌개 백반과 자장면은 각각 8천원, 7천69원으로 4.0% 올랐고 칼국수과 삼계탕도 한 그릇 기준으로 9천38원, 1만6천846원씩으로 각각 3.5%, 3.1% 상승했다. 경기지역도 마찬가지다. 김밥은 같은 기간 6.5% 오는 3천386원이고 칼국수는 한 그릇에 5.6% 오른 9천34원으로 조사됐다. 자장면 가격도 지난해보다 한그릇에 4.7% 상승한 6천879원이었다. 여기에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버거, 치킨 등 프랜차이즈 업계의 가격 인상도 잇따르고 있다.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는 지난 15일 9개 메뉴 가격을 일제히 1천900원씩 올렸다. 대표 메뉴인 고추바사삭 가격은 1만9천900원으로, 오리지널은 1만6천원에서 1만7천900원으로 각각 인상됐다. 파파이스도 같은 날 치킨, 샌드위치, 사이드 메뉴, 디저트, 음료 등의 가격을 평균 4% 올렸다. 인상 대상 품목 가격은 직전보다 100∼800원 올랐다. 앞서 고피자도 지난달 피자 단품 가격을 1천원씩 인상했고 페퍼로니 피자를 8천900원(매장 기준)에 팔고 있다. 지난해 11월 가격을 올렸던 맥도날드는 다음 달 2일부터 전체의 22%에 해당하는 16개 메뉴 가격을 평균 2.8% 인상한다. 버거 단품 중 햄버거, 치즈버거, 더블 치즈버거, 트리플 치즈버거는 100원씩 올라가고 불고기 버거는 300원, 에그 불고기 버거는 400원 각각 인상한다. 빅맥과 맥스파이시 상하이 버거 단품 가격은 동결되지만, 탄산음료와 사이드 메뉴 가격이 올라 세트 가격은 6천900원에서 7천200원으로 300원 오른다. 피자헛도 같은 날부터 갈릭버터쉬림프, 치즈킹 등 프리미엄 메뉴 가격을 올린다고 홈페이지는 통해 밝혔다. 인상 폭은 추후 공지하기로 했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재료비와 인건비, 물류비 등의 상승으로 메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하이볼' 인기에 리큐르 면허 폭증…맥주는 주춤

‘하이볼’ 인기로 주류 면허 시장이 달라지고 있다. 25일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주류 제조면허는 총 3천160건으로 전년(2천885건)보다 275건 늘었다. 3천건을 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면허 증가세는 12종의 주종 중 일반 증류주, 리큐르, 기타 주류 등이 이끌었다. 특히 리큐르 면허의 경우 전년(137건)보다 23.4% 늘어난 169건으로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일반 증류주와 기타 주류도 같은 기간 각각 19.0%(300→357건), 16.4%(165→192건) 늘었다. 이 주종들은 모두 ‘하이볼’ 제조를 위해 필요한 면허라는 공통점이 있다. 하이볼은 위스키·증류주 등에 탄산수나 과즙·음료 등을 섞은 일종의 칵테일로, 20~30대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일반 증류주는 옥수수·녹말 등을 재료로 발효해 만든 술, 리큐르는 증류주에 향료 등을 섞은 술이다. 주세법이 명시한 술에 해당하지 않는 나머지는 '기타 주류'로 분류된다. 이들 모두 하이볼을 제조할 수 있는 면허지만, 어떤 '맛'의 하이볼을 만들 것인지에 따라 필요한 면허가 달라진다. 주세법에 따라 설탕·물엿 등 고형분이 2% 이상인 하이볼을 만든다면 리큐르 면허가 필요하지만 고형분이 2% 미만인 하이볼이라면 일반 증류주 면허를 받아야 하는 식이다. 반면, 맥주 시장의 성장세는 주춤했다. 위스키·와인 등에 비해 맥주 인기가 예전만 못하자 기존 소규모 맥주 제조사 중 상당수는 기존 설비를 이용해 증류주·리큐르 등 면허를 받아 하이볼 시장에 뛰어들기도 했다. 2015∼2019년 매해 20% 내외 증가한 맥주 면허는 지난해 1개(0.5%) 늘어나는 데 그쳤다. 상대적으로 맥주 제조 면허가 밀리는 분위기다. 국세청 관계자는 "과거 소규모 맥주를 만들던 사업자들 중 일부가 하이볼을 만들기 위해 리큐르·일반증류주·기타주류 면허를 추가로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