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회 경기공직대상 시상을 앞두고
국가 관리는 국민이 선택한 정부가 한다. 그러나 국가 관리의 실무 작업은 공무원들이 한다.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들이 사실상 국가사회를 떠받치고 있다. 정부가 아무리 좋은 정책을 내놔도 직업공무원사회가 행정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효율적으로 집행하지 않으면 정책효과가 국민사회에 제대로 미치지 않는다.
지방자치 역시 다르지 않다. 지자체장이 아무리 유능하고 의욕이 있어도 지자체 공무원들이 행정가치 창출, 효율적 집행에 무능하거나 게을리 하면 지역사회에 정책효과가 파급되기 어렵다. 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 할 것 없이 지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각기 직급과 소임에 따라 행정자치를 창출하는 것이 직업공무원사회다.
흔히 요직과 한직을 말하지만, 그 같은 구분은 일하는 공무원에게 달렸다. 유능하고 의욕적인 공무원은 한직을 맡아도 요직이 되고, 무능하고 태만한 공무원은 요직을 맡아도 한직이 된다. 공무원이 맡은 소임엔 그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게 없다. 행정의 가치 배분이 국민, 지역주민에게 직간접으로 침투돼야 하기 때문이다.
공무 수행에 애로는 언제나 있다. 컴퓨터 등 사무기기의 발달은 행정사무의 편의를 가져왔지만, 행정수요의 복잡다단한 증대는 더욱 심층화하고 다변화하였다. 이런 가운데 행정환경의 애로를 탓하지 않고, 개성 있는 창의력으로 국민과 지역주민에게 각별한 행정가치를 배분하는 데 힘쓴 공무원들이 있다. 내일 제16회 경기공직대상을 수상하는 11명이 이런 공무원들이다. 민원봉사·자치지원·주민복지·지역개발·지역경제·문화체육·농정·의회행정·소방업무·경찰치안·교도행정 등의 분야에서 공헌을 했다. 대부분 6·7급 공무원들로 장래가 더 기대되는 이들이다.
국민생활의 안정을 위해선 설사 정치는 좀 불안할지라도 직업공무원사회는 안정돼야 한다. 이토록 막중한 공무원사회가 일부이긴 하나, 근래 들어 공무원 본분의 이탈 조짐을 보이는 것은 심히 우려스럽다. 공무원사회의 안정을 저해하는 것은 공무원들을 위해서도 바람직스럽지 않거니와, 국민사회에 대해서는 배임이다. 공무원의 지위·책임·신분·정치적 중립성은 헌법이 규정하고 있다.
경기일보는 공무원문화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부단한 관심을 갖고자 한다. 절실한 국가사회적 소명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경기공직대상의 의의 또한 이에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