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카카오페이, 토스 등 간편송금 서비스 이용액이 하루 평균 2천3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성장한 수치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중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간편송금서비스 이용실적(하루 평균)은 249만 건, 2천346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6.7%, 124.4% 증가했다. 하루 평균 송금액은 전년과 비교해 두 배 넘게 확대한 것이다. 간편송금은 스마트폰에 충전한 선불금을 전화번호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활용해 보내는 서비스다. 한은 관계자는 시장 점유율이 높은 전자금융업자를 중심으로 크게 늘어난 가운데 금융기관의 서비스 제공도 증가했다라고 설명했다. 토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전자금융업자가 제공하는 간편송금 서비스의 이용금액 2천184억 원으로 전체의 90%를 넘었다. 공인인증서 없이 비밀번호로 결제하는 간편결제 서비스의 실적도 성장했다. 지난해 카드 기반 간편결제서비스 이용실적(하루 평균)은 전년 대비 각각 56.6%, 44.0% 증가한 602만 건, 1천745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비스(PG) 이용실적(하루 평균)은 1천204만 건, 5천467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9.3%, 26.2% 증가했다. 온라인 쇼핑 이용금액이 전년보다 18% 이상 늘면서 선불전자지급 수단을 이용한 상거래대금 결제도 확산했기 때문이다. 미리 충전한 선불금을 이용하는 선불전자지급서비스 이용실적(하루 평균)은 전년 대비 각각 15.8%, 108.9% 증가한 1천890만 건, 2천979억 원을 나타냈다.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카카오페이 등을 이용한 송금서비스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결제대금예치서비스 이용실적(하루 평균)은 207만 건, 971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5.6%, 12.9% 증가했다. 온라인판매중개 업체를 중심으로 증가세가 지속하고 있다. 결제대금예치서비스는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자로부터 대금을 예치 받고 물품수령 확인과정 등을 통해 거래가 적절하게 이뤄졌는지를 확인한 후, 구매대금을 판매자에게 지급하는 서비스다. 아파트 관리비 등 고지서를 이메일 등으로 발행하고 정산하는 전고지결제서비스 이용실적(하루 평균)은 전년 대비 각각 17.2%, 17.7% 증가한 18만 건, 317억 원을 보였다. 민현배기자
금융·증권
민현배 기자
2020-03-24 1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