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비규제지역 풍선효과…군포ㆍ안산ㆍ인천 등 규제지역 포함될지 ‘관심’

수도권 비규제지역을 중심으로 여전히 부동산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최근 집값 상승세가 두드러진 군포와 안산 단원구, 인천 연수구ㆍ서구 등 수도권 비규제지역이 규제지역에 포함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11일 정부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최근 집값이 불안한 조짐을 보이는 수도권 비규제지역의 주택 동향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을 진행 중이다. 수도권 비규제지역에서 투자 수요가 몰려들어 주변 집값을 불안하게 하는 곳은 조정대상지역 등으로 지정하고, 기존 조정대상지역은 투기과열지구로 격상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한국감정원 집값 통계를 보면 최근 3개월간 주택 가격 상승률 1위는 군포로, 3개월 새 9.44% 올랐다. 현재 비규제지역인 군포는 최근 광역급행철도(GTX)-C 노선 발표와 일부 단지 리모델링 추진 등 호재가 집값 상승을 견인했다. 인천(3.28%)에서는 연수구(6.52%), 서구(4.25%), 남동구(4.14%) 등 일부 구에서 집값 상승세가 관측되고 있다. 인천도 비규제지역이면서 GTX-B 노선 등 대중교통이 확충되면 여건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집값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안산(3.97%) 단원구(5.73%)에서도 집값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최근 3개월 집값 상승률은 중요한 지표다. 국토부가 조정대상지역을 지정할 때 최근 3개월간 집값 상승률이 해당 시ㆍ도 물가상승률의 1.3배가 넘는 곳을 우선 가려내고, 그 중에서도 청약경쟁률이나 분양권 전매거래량, 주택보급률 등이 일정 요건을 충족한 곳을 지정 대상으로 삼기 때문이다. 정부는 앞서 지난 2월 20일 부동산 풍선효과를 보인 수원과 안양, 의왕 등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신규 지정한 바 있다. 기존 조정대상지역 중에서 집값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곳은 구리(7.43%), 수원 영통구(5.95%), 권선구(5.82%) 등이 있다. 집값 과열이 계속되면 투기과열지구로 격상될 수 있는 후보지다. 국토부 관계자는 아직은 이 지역에 대한 주택 실거래 조사에 주력하고 있다며 시장이 불안하다고 판단되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본격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홍남기 부총리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수도권 비규제지역에서 가격 상승세가 포착돼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그동안 수차례 강조한 바와 같이 민생과 직결되는 부동산 시장안정에 대한 정부 의지는 어느 때보다 일관되고 확고하다고 밝히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 하겠다고 경고장을 날렸다. 홍완식기자

경기지역 청약 열기 고조…‘동탄역 헤리엇’ 150대 1

의무거주기간 등 부동산 규제 시행을 앞두고 경기지역에서 세자릿수의 경쟁률이 속속 나오며 청약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3일 한국감정원 청약홈에 따르면 전날 1순위 청약을 받은 화성시 오산동 동탄2신도시 동탄역 헤리엇은 375가구 모집(특별공급 물량 제외)에 5만6천47명이 몰리면서 평균 149.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6개 주택형이 모두 마감됐으며 전용 97㎡A는 최고 경쟁률(388.3대 1)을 기록했다. 동탄2신도시 C16 블록에 들어서는 이 단지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됐고, 동탄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입지를 갖춰 수요자들의 관심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또 올해 하반기부터 상한제 적용 지역에서 의무 거주 기간이 5년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고된 가운데 규제를 피해 주택을 마련하려는 청약자들이 대거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들어 서울 외 지역에서 평균 세자릿수 청약 경쟁률을 기록한 아파트는 수원 매교역 푸르지오 SK뷰(145.7대 1), 하남 위례신도시 중흥S클래스(104.3대 1), 과천 과천제이드자이(193.6대 1), 대구 청라힐스자이(141.4대 1), 하남 위례 신도시 우미린2차(115.0대 1)에 이어 이번이 여섯 번째다. 이와 함께 전날 1순위 청약을 진행한 수원시 정자동 화서역 푸르지오 브리시엘, 안양시 호계동 안양 호계 신원아침도시 등도 모든 주택형의 청약이 순위 내 마감됐다. 지하철 1호선ㆍ신분당선 화서역 더블 역세권 입지에 최고 41층 높이로 조성되는 화서역 푸르지오 브리시엘은 평균 40.4대 1의 청약 경쟁률을 보였다. 최고 경쟁률은 전용 84㎡A(78.9대 1)에서 나왔다. 안양 호계 신원아침도시(5.8대 1)도 미달 없이 1순위에서 청약을 마쳤다. 홍완식기자

모든 수도권 공공분양 아파트 3~5년 의무 거주… “투기 수요 차단”

앞으로 수도권 공공택지의 신혼희망타운 등 모든 공공분양 아파트에 3~5년 거주 의무가 부여된다. 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개정된 공공주택 특별법이 27일 시행된다. 현재까지는 수도권 주택지구 중 개발제한구역을 50%이상 해제해 조성한 택지, 전체 면적이 30만㎡ 이상인 대형 택지 내의 공공분양 주택에 거주 의무가 부여됐다. 그러나 공공주택 특별법 개정에 따라 수도권 모든 공공택지로 거주 의무가 확대된다. 이에 향후 수도권에서 공급되는 모든 공공분양 주택에는 분양가격에 따라 최대 5년의 거주의무가 적용된다. 3기 신도시는 대형 공공택지여서 이미 거주 의무 대상으로 분류돼 있다. 거주 의무 기간은 분양가가 인근 지역 주택 매매가격의 80% 미만이면 5년, 80% 이상ㆍ100% 미만이면 3년이다. 공공분양 주택 수분양자가 거주 의무 기간을 채우지 못하거나 해외 이주 등 불가피한 사유로 주택을 전매하는 경우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주택 사업자에게 환매해야 한다. 환매 금액은 입주금과 입주금에 대한 1년 만기 정기예금의 평균 이자밖에 안 돼 시세차익을 노린 투기수요는 원천 차단된다. 공공주택 사업자가 환매한 주택을 재공급할 때는 공공분양의 입주요건을 갖춘 사람에게 공급해야 하고, 주택을 재공급 받은 이는 기존 거주 의무 기간의 잔여기간 동안 거주해야 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법령 개정으로 공공분양 청약을 준비 중인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공급을 더욱 공고히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주택에 대해 2~3년 거주 의무를 부여하는 방안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이 내용을 담은 주택법 개정안이 국회에 발의됐으나 20대 국회 회기 내에 처리되지 못했다. 국토부는 국회 협의 등을 거쳐 올해 중 법이 다시 발의돼 통과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할 계획이다. 홍완식기자

전국 하반기 아파트 입주 물량 상반기 대비 22% 증가

전국 하반기 아파트 입주 물량이 상반기 대비 22% 증가한다. 14만여 세대에 달하는 입주 물량 중에는 경기도가 5만여 세대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오는 712월 전국 191개 단지에서 총 14만 8천239세대의 아파트가 입주를 앞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반기(12만 1천423세대)보다 22% 증가한 것으로, 13만 8천512세대가 입주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가량 많다. 이 중 경기도에는 1천 세대 이상의 대규모 단지가 19개 입주하는 등 총 5만 1천678세대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최근 3개월간 입주 물량이 없었던 인천에서는 14개 단지가 집들이를 시작할 예정이다. 지방도 대전, 대구, 전남 등을 중심으로 새 아파트 입주가 늘며 상반기보다 입주 물량이 약 14% 증가한다. 반면 올해 하반기 서울 입주 예정 물량(1만 7천799가구)은 지난 상반기(2만 3천675가구)보다 25%가량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의 입주 물량은 월별로 7월(3만 3천739가구)에 가장 많고, 10월(1만 4천651가구)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주요 입주 예정 단지로는 7월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 산성역포레스티아(4천89가구)와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더샵송도마리나베이(3천100가구) 등이 있다. 직방은 하반기 입주 물량이 상반기보다 증가하면서 새 아파트 입주가 집중되는 지역의 경우 전셋값 조정이 있을 수 있다며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서울은 전셋값 상승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서울ㆍ경기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7월 말 시행되고 분양권 전매제한 확대 적용도 곧 앞두고 있어 규제 적용 이전에 분양을 받으려는 수요가 전세 시장에 머물며 전세 수요가 꾸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완식기자

‘집 걱정 줄인다’ 올해 공공주택 공급 등 163만가구 지원

정부가 서민의 주거안정을 도모하고자 공공주택 공급과 특화 대출 등을 통해 총 163만 가구를 지원한다. 국토교통부는 주거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2020년 주거종합계획을 확정했다고 20일 밝혔다. 국토부는 올해 공공임대주택 14만 1천 채, 공공지원 임대주택 4만 채, 공공분양 2만 9천 채 등 공공주택 21만 채를 공급할 예정이다. 또 주거급여의 소득기준을 상향해 작년보다 8.7% 늘어난 113만 가구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주택도시기금을 통해 연간 29만 명에게 저금리 주택 구입ㆍ전월세 자금 대출을 제공한다. 이를 종합하면 올해 정부의 주거복지 정책 수혜 가구는 총 163만 가구에 달한다. 국토부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지난해 12ㆍ16 대책의 후속 입법과 수도권 분양가상한제 대상 주택에 대한 거주 의무 부과를 위한 주택법 개정을 추진한다. 수도권 주택 공급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2023년 이후 수도권에서 연평균 25만 채 이상 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임대인과 임차인이 상생하는 임대차 시장을 조성하는 데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대 국회에서 처리하지 못한 임대차 신고제 도입 법안을 다시 추진한다. 이 제도는 전월세를 놓는 임대인이 계약 내용을 무조건 관할 지자체 등에 신고하게 하는 내용이다. 이 법이 시행되면 임대차 계약 현황이 실시간으로 집계돼 정부가 임대차 관련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재건축 재개발 등 정비사업의 투명성과 공공성도 강화된다. 국토부는 시공사의 과다 수주 경쟁을 막기 위해 분양가 보장 등 제안 금지사항을 관련 법령에 구체화하고 처벌기준도 마련한다. 또한 국토부는 2025년까지 장기 공공임대 재고율을 10%까지 높인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올해는 이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8%) 이상 달성하기로 했다. 신혼부부 특화형 공공임대 등 맞춤형 공적 임대를 5만 2천 채 공급하고, 신혼희망타운은 3만 채에 대한 사업계획 승인을 받고 1만 채는 입주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에도 주택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포용적 주거복지정책의 성과가 가시화될 수 있도록 투기 수요를 차단하면서 공공주택은 확충하고 건전한 임대시장을 만들 방침이라고 말했다. 홍완식기자

코로나19ㆍ부동산규제 여파에…4월 경기도 주택 거래량 전달보다 45% 감소

주택시장 위축 여파로 올해 4월 경기도 주택 매매 거래량이 전달보다 45%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경기도 주택 매매 거래량은 1만 9천843건으로 전달(3만 6천443건)에 비해 45.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작년 동월에 비해선 44.8% 증가한 수치다. 작년 4월은 주택시장이 극도로 침체한 상태였다. 4월 인천 주택 거래량은 7천557건으로 전달(1만 2천293건) 보다 38.5% 줄었다. 작년 동월 대비로는 59.5% 증가했다. 지난달 전국의 주택 매매 거래량은 7만 3천531건으로 전달(10만 8천677건)에 비해 32.3% 감소했으며, 4월 수도권 주택 거래량은 3만 6천852건으로 전달(6만 5천51건)보다 43.3% 줄었다.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규제와 과열시장에 대한 모니터링, 코로나19 등의 여파로 주택 수요가 줄어든 결과로 풀이된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 거래량은 4만 8천972건으로 전달(7만 9천615건)보다 38.5% 감소했고 아파트 외 주택은 2만 4천559건으로 15.5% 줄었다. 확정일자 자료를 바탕으로 집계한 4월 전국 전ㆍ월세 거래량은 17만 216건으로 전달(19만 9천758건) 대비 14.8% 줄었고 작년 동월에 비해선 5.2% 증가했다. 이중 경기도 전ㆍ월세 거래량은 5만 3천234건으로 전달(6만 794건) 대비 12.4% 감소했다. 전국의 전ㆍ월세 거래량 중 월세 비중은 40.8%로 작년 동월(40.3%) 대비 0.5%p, 전월(40.7%)에 비해선 0.1%p 증가했다. 전세(10만 710건)는 전달보다 15.0% 감소했으며, 월세(6만 9천506건)는 전달 대비 14.5% 줄었다. 한편, 주택 매매 거래량과 전ㆍ월세 실거래가 등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시스템(www.r-one.co.kr)이나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 홈페이지(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홍완식기자

결혼 후 7년 지나도 늦둥이 있으면 신혼희망타운 분양 받는다

혼인기간 7년 이내 신혼부부 및 예비신혼부부에게만 주어졌던 분양형 신혼희망타운 입주자격이 만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까지 확대된다.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신혼부부에 제공되는 전용 대출 금리도 낮아진다. 국토교통부는 신혼희망타운을 분양받을 수 있는 신혼부부의 범위를 만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그동안 정부의 신혼희망타운 등 공공 분양주택 공급 정책은 지나치게 신혼부부 위주로 편중돼 혼인한 지 오래됐지만 아직 내 집 마련을 하지 못한 중고 부부가 소외된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정부는 앞서 지난 3월 주거복지로드맵 2.0을 발표하면서 신혼희망타운 공공임대입주 대상 신혼부부 자격을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까지 확대했지만, 이후 신혼희망타운 분양주택까지 넓혀야 한다는 의견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등 관계기관에서 제기됐다. 이에 국토부는 신혼부부 요건 확대의 필요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을 7월까지 개정해 곧바로 시행할 방침이다. 또 국토부는 신혼희망타운 15만 가구 중 분양형 10만 가구를 2025년까지 모두 분양을 완료할 계획이다. 올해에는 수도권 7천403가구와 지방 603가구 등 총 8천6가구의 신혼희망타운이 분양된다. 수도권에선 8월 양주 회천에서 506가구, 화성 능동에서 298가구가 분양되고 9월 시흥 장현 822가구, 화성 봉담2에서 304가구가 분양된다. 연말에는 과천 지식타운에서 645가구, 고양 장항 1천438가구, 성남 대장에서 707가구, 위례에서 294가구 등이 분양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전세계약이나 주택구입을 위한 목돈 마련이 어려운 신혼부부에게는 신혼부부 전용 금융상품을 지원한다.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는 이날부터 1.65~2.40%의 낮아진 금리로 최대 2억 2천만 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전세를 희망하는 연소득 6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는 1.2~2.1%의 저리로 임차보증금의 80%(최대 2억 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홍완식기자

경기도 아파트 전셋값 2년새 1천438만원 상승

경기도 아파트 전셋값이 2년 전과 비교해 평균 1천438만 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직방이 국토교통부의 아파트 전세 실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기도의 올해 1분기(13월) 전셋값은 2018년 평균 2억 6천366만 원에서 올해 1분기 평균 2억 7천804만 원으로 1천438만 원 올랐다. 아파트 전세 계약의 임차 거래 기간이 통상 2년인 점을 고려해 재계약을 가정하고 전셋값이 얼마나 변동했는지 분석한 결과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의 전세 재계약 비용이 9천218만 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성남 분당(4천732만 원), 성남 수정(3천800만 원), 수원 영통(2천986만 원), 광주(2천793만 원), 광명(2천466만 원) 순으로 재계약 비용이 높았다. 과천은 2019년 4분기에도 1억 원 이상의 전세 재계약 비용 부담이 늘었고, 세입자들의 비용 부담이 올해 1분기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올해 4월부터 연말까지 센트레빌, 푸르지오써밋, 센트럴파크푸르지오써밋 등 새 아파트 입주가 진행되면서 2분기(4월~5월 12일 기준)에는 전세 재계약 비용 부담이 평균 3천만 원 선으로 내려갔다. 성남 수정구는 위례동의 신규 아파트를 중심으로 재계약 비용이 상승했다. 수원 영통은 전세수요는 꾸준한 반면, 신규 입주물량이 줄면서 전세 강세가 지속했다. 반면, 안산 단원(-1천842만 원), 안산 상록(-1천386만 원), 안성(-440만 원), 여주(-338만 원), 고양 일산동구(-217만 원), 평택(-159만 원), 파주(-108만 원)는 전세 재계약 비용이 하락했다. 안산은 올해 새 아파트 입주가 진행되면서 물량 증가에 따라 재계약 비용이 내렸다. 일산동구는 2018년 4분기부터 2020년 1분기까지 전세 재계약 비용 하락세가 이어졌다. 이 밖에 시ㆍ도별 전세 재계약 비용은 서울이 평균 3천272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세종(3천219만 원), 대전(2천611만 원), 대구(2천353만 원), 인천(1천814만 원), 충남(1천551만 원) 등에서 1천만 원 이상의 재계약 비용이 필요했다. 직방 관계자는 전세 재계약 비용은 신규 아파트 입주물량이 많은 시기에 눈에 띄게 상승세가 둔화하거나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라며 반대로 입주물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시기에는 재계약 비용이 오르는 양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한편, 오는 7월 말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 이후 도시정비사업 속도 둔화로 올해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은 예년보다 소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또 아파트값 약세 속 매수를 관망하겠다는 세입자들이 많아지면서 전ㆍ월세 거래가 늘어날 가능성이 커 전세 재계약 비용 상승은 계속될 것으로 직방은 전망했다. 홍완식기자

경기도 아파트값 상승폭 5주 연속 보합세…용인ㆍ수원 대출규제로 상승폭 ↓

경기지역 아파트값 상승폭이 5주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다. 한국감정원은 이번 주 경기도 아파트값이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10% 상승했다고 밝혔다. 경기도 아파트값 상승률은 지난 4월 2주와 3주 각각 0.9%, 0.11%를 기록한 이후 3주 연속 0.10%의 오름폭을 유지했다. 용인(0.10%)과 수원(0.08%)은 대출규제 등으로 상승폭 줄어든 가운데 수원 팔달구(0.29%)는 교통 호재 영향 있는 우만ㆍ화서동 위주로, 용인 수지구(0.18%)는 상현ㆍ죽전동 저가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남양주(0.27%)와 구리시(0.38%) 등은 광역급행철도(GTX) 건설 등 교통망 확충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커졌고, 안양 만안구(0.29%)ㆍ안산 상록구(0.27%)는 정비사업 진척 등의 영향으로 상승했다. 반면, 과천(-0.05%)과 하남(-0.02%)은 약세가 이어졌다. 인천은 지난주 0.11%에서 금주 0.12%로 오름폭이 소폭 확대됐다. 미추홀구(0.28%), 남동구(0.18%) 등이 강세를 보였고 중구(-0.04%)는 항만 경기 위축 등으로 수요가 감소하며 하락 전환했다. 한편, 전셋값은 경기도가 0.08%, 인천이 0.12% 각각 올랐다. 정비사업 이주단지 인근, 역세권 아파트 중심으로 일부 국지적 상승이 있었으나 신규 입주 물량과 계절적 비수기 등으로 대체로 안정세가 이어졌다. 홍완식기자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