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삐걱거리고 있다. 시 당국의 주먹구구식 운영과 버스업체들의 방만한 경영으로 버스업체에 투입되는 시의 재정 지원금은 갈수록 늘고 있지만 서비스의 질은 개선되지 않아 시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인천시가 적자 버스업체에 재정 지원을 통해 버스 운영체계의 공익성과 공공성을 확보하고 대중교통의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도입한 준공영제가 혈세만 낭비한 채 겉돌고 있는 거다. 인천시가 최근 버스준공영제 재정 지원금 집행실태 등 운영 전반에 대한 특정감사 결과 39개 버스업체의 적자를 보전해주기 위해 시가 지급한 재정 지원금은 2012년 433억원, 2013년 569억원, 2014년 717억원으로 증가했다. 버스업체의 적자 요인을 보면 기가 막힌다. 주말엔 운행하지 않은 차량임에도 운행한 차량과 똑같이 운영비(표준운송원가 대당 54만 원)를 지급, 1년간 179억원(인건비 123억원기타비용 56억원 등)을 낭비했다. 차량 정비비도 마구잡이로 지급했다. 타이어 마모율은 실제 운행거리에 따라 다르고, 차량유지 관리비도 상황이 다른데도 실제 집행 여부와 상관없이 고정 비용으로 책정, 124억원을 지급했다. 특히 공동구매할 경우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데도 개별구매로 헛돈을 썼다. 예산 낭비는 이뿐만이 아니다. 인천버스공제조합이 산정한 업체별 평균 보험요율은 연평균 6%씩 낮아지고 있는데도 2012년에 산정한 보험료를 적용, 서울대구 등 도시보다 1.32~2.69배나 더 냈다. 또 빈차 운행으로 소비한 기름값도 연간 80억원에 달한다. 운행 버스가 1천871대인데도 공영차고지 주차는 200대 밖에 할 수 없어 멀리 떨어진 민간차고지를 이용하느라 빈차 운행이 많아진 거다. 버스업체들의 허투루 쓰는 헤픈 씀씀이와 시 당국의 퍼주기 식 지원책이 한심하기만 하다. 그래서 감사원은 지난 연초 인천시의 버스공영제 운영이 부실해 수십억 원의 예산을 낭비한 사실을 확인하고 개선을 주문한 바 있다. 이처럼 시민의 혈세를 버스업체에 마구 퍼붓고 있는데도 시민들의 버스 이용 불편신고 사례는 오히려 늘었다. 2010년 3천483건, 2012년 3천578건, 2014년엔 4천914건으로 증가했다. 승차할 손님을 외면한 채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42%)하기 일쑤이고, 운전자 불친절(23.8%)도 고질병처럼 여전했다. 이제 인천이 말 그대로 국제도시의 면모를 갖추려면 업계부터 변해야 한다.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승객위주의 경영혁신이 필요하다. 당국 또한 업체의 서비스 개선과 지원금 낭비 방지 등 경영평가 강화를 위한 표준경영 모델을 개발, 시행해야 한다.
사설(인천)
경기일보
2015-09-30 2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