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방중이 일주일을 넘었다. 혼밥, 기자단 폭행 등 굴욕적 외교 논란이 있었다. 그럼에도, 기대를 했던 것은 경제 교류 정상화다. 리커창 총리가 ‘봄날이 올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사드보복으로 경색된 한중 경제 교류가 해빙무드에 들어갔다고 자평했다. 다수 국민의 기대도 여기에 모아졌다. 굴욕 외교라는 정치적 공세와는 다른 기대감이다. 하지만, 좀처럼 좋은 소식이 들리지 않는다. 이런 가운데 인천항 여객 터미널에 입주한 업체들의 폐업이 계속되고 있다. 지하 1층에 자리한 구내식당, 화장품 판매점, 건강식품 전문 판매점이다. 식당은 (주)정진홈푸드가 2012년부터 임차해 운영 중이다. 애초 계약 만료는 올 연말까지였으나 지난 9월 계약해지를 통보했다. 사드보복으로 인한 금한령으로 하루 이용객이 150여 명에 머물고 있어서다. 300명의 고객을 경영 분기점으로 볼 때 도저히 운영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에는 6개 항로, 제2국제여객터미널에는 4개 항로에 한ㆍ중 카페리가 운항 중이다. 사드보복에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더 답답한 건 향후 전망이다. 터미널 측이 새로운 식당 업자를 공모하고 있다. 하지만, 응찰하는 업체가 없어 7차례나 유찰됐다. 업계가 한ㆍ중 관계 개선에 대해 전혀 기대를 하고 있지 않다는 방증이다. 생각해보자. 이게 과연 업체 스스로 뒤집어써야 할 고난인가. 우리는 이미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초토화된 롯데의 파멸을 목격했다. 중국 내 롯데마트는 모두 문을 닫았고, 롯데 관광개발에 대해서는 끝까지 이용을 규제하고 있으며, 롯데 면세점은 중국인들이 피해야 할 쇼핑 코스로 정해놓고 있다. 경제계에서 나오는 우려의 목소리가 그치지 않는다. ‘롯데는 잘못이 없다. 국가 시책을 따랐을 뿐이다.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 인천항 입주 업체들의 폐업도 마찬가지다. 그곳에 입점한 업체들은 한ㆍ중 교류에 회사 명운을 걸고 있다. 이들이 2년째 고전하고 있다. 이제 더는 못 버티고 도산하고 있다. 국가가 책임져야 하는 것 아닌가. 임대료 일부를 깎아주는 응급처방을 했다지만, 고객 90%가 사라진 경영 공백을 메울 수는 없다. 정부 차원의 대책이 나와야 한다. 인천광역시가 할 수 있는 일도 찾아봐야 한다. 국가의 정책 때문에 망해가는 업체들이다.
사설(인천)
경기일보
2017-12-25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