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kt wiz 포수 윤요섭(33)은 만감이 교차한다고 말했다. 전날 1대2 트레이드로 kt 유니폼을 입게 된 윤요섭은 21일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열릴 2015 타이어뱅크 KBO리그 SK 와이번스와의 경기를 앞두고 자의가 아닌 타의적인 이동인지라 기뻐하기도, 슬퍼하기도 그렇다며 이같이 소감을 밝혔다. 윤요섭은 단국대를 졸업하고 2008년 SK 와이번스 육성선수로 프로 생활을 시작해 2010년부터 줄곧 LG 트윈스에서 뛰어왔다. 정규시즌 통산 339경기에 출전했을 정도로 1군 경험이 풍부하다. 올 시즌에는 1군 경기에 나서지 않았지만, 퓨처스리그(2군) 13경기에 나서 타율 0.361을 기록했다. 조범현 kt 감독은 윤요섭을 일단 팀 공격력 강화 차원에서 지명타자로 활용할 생각이라고 전했다. 윤요섭은 포수는 물론, 어떤 포지션이든 기회를 주신다면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며 기존에 해왔던 대로 하면서 자연스럽게 팀에 녹아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올해 우리 나이로 34살인 윤요섭은 kt에서 고참 선수 축에 속한다. 준고참 적체 현상을 겪고 있는 LG와 달리 kt는 선수 절반이 프로 2년차 이내 신예들로 짜였을 만큼 젊은 팀이다. 윤요섭은 후배 선수들이 많은 만큼 책임감을 느낀다며 행동에 신중을 기하고, 후배들에게 모범이 되는 선배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조성필기자
프로야구 kt wiz가 21일부터 닷새간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홈경기에 장애인 기관 및 학교를 초청한다. kt는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이해 장애인, 비장애인 차별 없이 야구 관람을 할 수 있는 문화를 제공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kt는 첫 날인 21일 자혜학교 105명과 서부장애인 주간보호센터 53명에게 야구 관람 기회를 제공했다. 또 장애인들 뿐만 아니라 수원시 팔달구 환경미화원 280명도 함께 초청했다. kt는 22일 장애인 보치아연맹 30명, 23일 서광학교 20명, 그리고 마지막 날인 25일 선한 이웃 작업장 장애인 30명을 초대할 예정이다. 조성필기자
프로야구 kt wiz가 창단 후 처음으로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kt는 19일 투수 이준형을 내주고 LG 트윈스 포수 윤요섭과 내야수 박용근을 받는 1대2 트레이드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kt는 1군 경험이 있는 중견급 선수를 보강했다며 이번 트레이드 의의를 설명했다. kt로 옮긴 윤요섭(33)은 단국대를 졸업하고 2008년 SK 와이번스 육성선수로 프로 생활을 시작해 2010년 LG 유니폼을 입었다. 정규시즌 통산 339경기에 출전해 0.253을 기록했으며, 올 시즌에는 퓨처스리그(2군) 13경기에 나서 타율 0.361을 기록 중이다. 박용근(31)은 영남대를 졸업해 2007년 LG에 입단했다. 정규시즌 통산 341경기에 나와 0.214를 올 시즌 퓨처스리그에서 타율 0.325를 기록했다. 윤요섭과 박용근은 21일 SK전 1군 엔트리에 포함될 예정이다. LG로 이적한 이준형(22)은 서울고를 졸업한 2012년 2차 6라운드로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했다. 2013년 2차 드래프트를 통해 kt로 옮긴 그는 올 시즌 2이닝 2실점 기록하는데 그쳤다. 조성필기자
프로야구 10구단 kt wiz는 창단 후 줄곧 NC 다이노스와 비교됐다. 2013년 1군 무대에 진입한 NC는 비교적 성공적으로 KBO리그에 정착했다. 데뷔해 7위를 차지하더니 다음해인 지난해는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 저력을 보였다. 2년 동안 신생구단의 모범 사례로 자리 잡은 셈이다. 올해 1군 무대에 뛰어든 kt가 NC와 비교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이유다. 그렇다면, 올 시즌 17일 현재까지 kt와 2013시즌 NC의 행보는 어떤 차이를 낳고 있을까. 정규시즌 개막 후 15경기를 기준으로 승패에서는 별 차이가 없다. kt가 2승13패, NC는 3승12패를 기록했다. NC 역시 시즌 초반 기존 팀들과 큰 전력 차를 보이며 연패를 거듭했다. 타격도 엇비슷하다. NC는 2년 전 초반 15경기에서 팀 타율 0.233을 기록했고, kt는 0.227를 찍고 있다. 이 외 팀 득점ㆍ타점 등도 거의 같다. 굳이 차이점을 꼽자면 출루율이다. NC의 출루율이 0.296이었던 반면, kt는 타율에 비해 1할 가까이 높은 0.322다. 마운드에서는 큰 차이를 보인다. NC는 당시 팀 방어율 4.15를 기록하면서 9개 구단 중 3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피홈런은 단 8개에 불과했고, 볼넷도 53개를 허용하는데 그쳤다. 그해 NC의 선전은 이같이 안정된 마운드의 힘이 바탕이 됐다. 반대로 kt는 마운드가 고민거리다. kt의 팀 방어율은 6.61로 10개 구단 가운데 최하위다. 피홈런은 22개, 볼넷은 86개나 내줬다. 이닝 당 출루 허용률(WHIP)도 1.92나 된다. 이 같은 차이는 외국인 투수의 활약에서 크게 엇갈리면서 나타났다. NC는 찰리 쉬렉 등 3명의 외국인 투수가 선발로 나서 안정적인 경기 운영을 보여주었지만, kt는 필 어윈과 앤디 시스코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더욱이 선발투수가 부진하면서 불펜까지 흔들리는 도미노 현상을 낳고 있다. 15일 두산전에서도 kt는 선발 시스코가 3회를 채우지 못하고 조기강판된 가운데 장시환, 심재민 등 불펜 요원들이 버티지 못해 역전패했다. kt가 성공적인 신생구단의 전형을 보여준 NC의 뒤를 이으려면 마운드의 안정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조성필기자
kt wiz가 마지막 고비를 넘지 못하고 창단 후 홈첫승을 날렸다. 코칭스태프 보직을 변경하며 전날 시즌 최다 점수차 패배로 침체된 분위기를 쇄신하고자 했으나 무위에 그쳤다. SK 와이번스는 철벽불펜 정우람이 무너지면서 넥센에 역전패했다. ■ kt(2승13패) 6-7 두산(8승6패) kt는 이날 이시미네 가즈히코 1군 타격코치를 퓨처스리그(2군) 타격코치로 보내고 황병일 퓨처스리그 감독을 1군 수석코치로 올리는 보직이동을 단행했다. 상대 투수의 투구 분석에서 타격코치들의 분업화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또한 이전 경기까지 팀 타율 0.229, 득점권 타율 0.181 등 바닥을 헤매고 있는 타격의 강화와 분위기 쇄신을 노린 처방이기도 했다. 효과는 당일 경기에 바로 드러났다. 특히 그동안 침묵했던 김상현의 활약이 단연 돋보였다. 이날 외야수 겸 5번 타자로 선발 출장한 김상현은 홈런 2개 포함 5타수 3안타 4타점 맹타를 휘둘렀다. 김상현은 1대2로 뒤진 1회말 2사 2루에서 첫 타석에 등장해 우중간 2루타를 때려 첫 타점을 기록했다. 그는 선두타자로 나선 4회말 두 번째 타석에서는 두산 오현택의 직구를 통타해 좌측 담장을 넘기는 시즌 3호 홈런으로 연결시켰다. 이 홈런은 kt가 홈에서 기록한 첫 홈런이기도 했다. 김상현은 4대3으로 앞선 5회말 무사 1루에서 가운데 담장을 넘기는 비거리 130m짜리 대형 투런 아치를 그려 연타석 홈런을 기록했다. 김상현의 멀티홈런에 힘입어 5회말 6대3으로 달아난 kt는 이후 이창재-최원재-장시환으로 이어지는 불펜진을 가동해 8회까지 두산 타선을 1실점으로 막아내 승리를 낚는듯 했다. 하지만 장시환이 9회말 2사 1,2루 위기에서 두산 오재원에게 2타점 적시타를 얻어맞아 승부는 연장에 돌입했다. 창단 후 처음으로 연장전을 치른 kt는 11회초 실책 2개로 무사 만루에 놓였으나, 호수비로 무실점으로 이닝을 종료했다. 한숨을 돌리기 무섭게 kt는 12회초 1사 만루 위기에 몰렸고 두산 김현수에게 희생플라이를 허용, 끝내 6대7로 역전 당했다. kt는 12회말 추가 득점에 실패해 홈에서의 첫 승을 다음 기회로 미뤘다. ■ SK(8승5패) 4-6 넥센(5승8패) 두 팀을 대표하는 외국인 투수 메릴 켈리(SK)와 앤디 밴헤켄(넥센)의 팽팽한 선발 대결이 예상된 이날 경기는 의외로 불펜진에서 승패가 갈렸다. 켈리와 밴헤켄이 5이닝까지 나란히 3실점을 기록한 가운데 승부는 넥센이 8회 SK 정우람을 상대로 3점을 빼내면서 끝이 났다. 군복무를 마치고 2년 만에 돌아온 정우람은 이날 경기 전까지 6경기에 중간계투로 등판해 2승, 1홀드 방어율 0의 완벽한 모습을 보였지만 이날 ⅓이닝 동안 2피안타 2볼넷 3실점하며 시즌 첫 패를 안았다. 정우람은 4대3으로 앞선 8회초 켈리에 이어 마운드에 올랐다. 그는 첫 상대 문우람을 3구 삼진으로 잡으며 상쾌한 출발을 알렸다. 하지만 정우람은 이후 넥센 박병호에게 2루타를 맞은 데 이어 연속 볼넷을 허용하면서 1사 만루에 몰렸고, 결국 이 위기를 넘기지 못했다. 그는 넥센 윤석민에게 싹쓸이 2루타를 얻어맞고 고개를 떨꿨다. SK는 9회말 마지막 공격에서 2사 만루 기회를 잡았으나, 임훈이 좌익수 뜬공으로 물러나 아쉬움을 삼켰다. 조성필기자
1880년 창단한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맨체스터시티는 EPL 출범 이전인 1937년과 1968년에 리그 우승을 맛봤지만 이후 1970년대부터 하위리그를 전전했고, 1998년에는 3부리그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그랬던 맨시티를 2008년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왕족이자 거부(巨富)인 셰이크 만수르(45)가 2억천만파운드(한화 약 3천400억원)에 인수했다. 만수르는 맨시티 인수 당시 부(富)가 무엇인지 보여주겠다는 명언을 남긴 뒤 6년 동안 2조원에 육박하는 돈을 선수 영입에 썼고, 덕분에 2012년 맨시티가 44년 만에 리그 정상에 섰다. 이어 지난해 다시 한 번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최근 프로야구 제10구단 kt wiz의 투자가 인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kt는 지난해 겨울 자유계약선수(FA) 시장에서 내야수 박경수(31)와 박기혁(34), 투수 김사율을 영입했다. 총액 기준 630여억원이 쏟아진 FA 시장에서 kt가 이들에게 쓴 돈은 44억1천만원이었다. 외국인 선수 계약 당시에도 다른 팀보다 한 명을 더 쓰는 혜택을 받았지만, kt가 필 어윈(45만 달러), 앤디 시스코(32만 달러), 크리스 옥스프링(20만 달러) 등 세 선수에게 주는 평균 연봉은 32만3천달러로 10개 구단 가운데 가장 낮았다. 확실한 투자 없이 1군 무대에 뛰어든 대가는 썼다. kt는 신생구단 최다 개막 연패 기록인 11연패를 당하는 등 16일 현재 1할대 승률로 최하위에 쳐져 있다. 맨시티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프로스포츠에서 과감한 투자는 곧 승리를 부른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한 가지 간과하는 점이 있다. 만수르 시대가 도래한 이후 천문학적인 금액이 뒷받침 했음에도 불구 맨시티가 우승을 차지하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무려 4년이 걸렸다. 만약 kt가 지난 FA시장에서 최정, 김강민(이상 SK), 박용택(LG), 장원준(롯데두산), 윤성환(삼성), 배영수(삼성한화) 등 수준급 선수들을 싹쓸이했다고 가정해보자. 과연 kt가 우승후보 또는 다크호스가 됐을까. 그렇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kt는 선수 절반이 프로 2년차 이내 신예들로 짜여진 신생구단으로, 하나의 팀으로서 정착할 시간이 필요한 셈이다. 9구단 NC는 2013년 1군 진입 당시 FA 이호준, 이현곤을 영입하는 등 특별지명과 신인 선수 스카우트액까지 합쳐 약 230억원의 거액을 풀었다. 그럼에도 그해 7위에 그쳤다. 심지어 4월엔 무려 17번이나 졌다. 이 같은 시련의 계절을 통해 팀이 완성됐고, 지난해 가을야구를 할 수 있었다. kt에게 당장 필요한 건 돈이 아니다. 팀이 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조성필기자
프로야구 kt wiz 김상현이 연타석 홈런을 터뜨렸다. 김상현은 15일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열린 2015 타이어뱅크 KBO리그 두산 베어스와의 홈경기에서 팀이 4대3으로 앞선 5회말 무사 1루에서 두산 이재우를 상대로 가운데 담장을 넘어가는 비거리 130m짜리 대형 투런 홈런을 터뜨렸다. 앞서 4회말에도 왼쪽 담장을 넘어가는 솔로홈런을 터뜨렸던 김상현은 이 홈런으로 연타석 홈런을 기록했다. kt는 김상현의 홈런에 힘입어 6회초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6대3으로 앞서고 있다. 조성필기자
프로야구 kt wiz 외야수 김상현이 오랜 침묵을 깨고 홈런포를 가동했다. 지난달 28일 롯데와의 개막전 이후 18일 만의 홈런이다. 김상현은 15일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열린 2015 타이어뱅크 KBO리그 두산 베어스와의 홈 경기에 좌익수 겸 5번 타자로 선발 출장했다. 그는 2대3으로 뒤진 4회말 선두타자로 나서 두산 두 번째 투수 오현택의 2구째 직구를 잡아당겨 좌측 담장을 넘겼다. 비거리는 105m로 시즌 3호째 대포다. 또한 이 홈런은 kt가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기록한 첫 아치이기도 하다. 한편, kt는 김상현의 홈런에 힘입어 4회말 두산과 3대3으로 맞서고 있다. 조성필기자
프로야구 kt wiz 선발 앤디 시스코가 시즌 네 번째 등판에서도 부진했다. 시스코는 15일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열린 2015 타이어뱅크 KBO리그 두산 베어스와의 홈 경기에 선발 등판했으나 3회를 채우지 못하고 조기강판됐다. 시스코는 이날 2⅓이닝 동안 63개의 공을 던지며 3피안타 5볼넷 3실점했다. 직구 최고 구속은 149㎞까지 나왔으나, 스트라이크(32개)와 볼(31개)의 비율이 1대1에 달할 정도로 극심한 제구력 난조에 시달렸다. 시작부터 불안했다. 시스코는 두산 선두타자 민병헌에게 볼넷을 허용하는 등 1회부터 1사 만루 위기에 몰렸다. 결국 그는 후속 홍성흔에게 중견수 앞 적시타를 맞아 2점을 실점했다. 그는 이후 삼진과 병살로 이끌어내며 힘겹게 첫 이닝을 마무리했다. 시스코는 2회에도 1사 2,3루에 처한 끝에 1점을 더 내줬다. 그는 3회 1사 1,2루 상황에서 이성민과 교체됐다. 한편, kt와 두산의 경기는 4회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두산이 3대2로 앞서고 있다. 조성필기자
프로야구 kt wiz가 코칭스태프 보직 변경으로 1군 타격 강화와 분위기 쇄신에 나섰다. kt는 황병일 퓨처스리그(2군) 감독을 1군 수석코치로 올린다고 15일 밝혔다. 기존 이광근 1군 수석코치와 이시미네 가즈히코 1군 타격코치는 각 퓨처스리그 감독과 타격코치로 이동한다. 퓨처스 타격코치를 맡았던 채종범 코치는 잔류군 야수코치로 보직을 바꿨다. 황병일 신임 수석코치는 이날 수원 두산 베어스전부터 조범현 감독을 보좌한다. kt가 시즌 초반 이처럼 갑자기 코치진의 보직을 변경한 것은 최근 1군 무대 2연승을 거뒀지만, 개막후 11연패의 부진과 14일 두산과의 홈 경기에서 2대18로 참패를 당하는 등 홈경기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하는 침체 분위기를 쇄신하기 위한 처방으로 풀이되고 있다. 조성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