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공공심야약국’ 제도가 시행 10년째 접어들었지만 시·군 간 격차는 물론, 시·군 내부에서도 특정 지역에 약국이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야시간대 의약품 구매 불편을 해소하고자 도입된 제도지만, 접근성의 지역 격차와 약국 참여 기피 등의 이유로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공공심야약국은 심야시간대 의약품 구입 불편을 해소하고 공공보건의료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2015년 10월부터 운영돼 왔다. 올해 6월 기준 도내 운영 약국은 총 80곳으로 이 중 66곳이 경기 남부권, 14곳이 경기 북부권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시·군 간 운영 약국 수의 격차가 심하다. 시·군별로 살펴보면 성남시가 8곳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화성시 7곳, 수원시와 용인시, 고양시, 파주시가 각각 5곳, 부천시·안양시·평택시·시흥시는 4곳씩 운영 중이다. 김포시·하남시·이천시·안성시·의왕시·양주시는 각 2곳, 오산시·광주시·과천시·의정부시·구리시·포천시·동두천시·가평군·연천군은 각각 1곳에 불과했다. 군포시와 남양주시는 현재까지 공공심야약국이 한 곳도 없는 상태다. 결국 전체 80곳 중 약 83%가 경기 남부 시·군에 집중된 것으로, 지역 간 보건의료 접근성 격차가 뚜렷한 셈이다. 이마저도 다수의 약국이 한 개 구에 집중되고, 나머지 구에서는 아예 운영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수원시에는 공공심야약국 5곳 중 3곳이 권선구에 몰려 있고, 장안구와 팔달구에는 각각 1곳씩만 운영 중이며, 영통구에는 없다. 고양시에는 일산서구에 3곳이 집중돼 있고, 덕양구와 일산동구는 각각 1곳에 그친다. 성남시에는 수정구에 4곳, 분당구에 3곳, 중원구에 1곳이 위치해 편중이 두드러지며, 하남시에는 운영 중인 2곳 모두 신장동에 있어 미사지구에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는 심야 단독 근무에 대한 부담과 낮은 수익성, 인력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약국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도는 공공심야약국에 1일 기준 4만원의 운영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예산도 해마다 확대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보건복지부가 국비를 투입해 제도 확대에 나섰지만, 여전히 약국 참여를 끌어내기에 다소 한계가 있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대한약사회 관계자는 “대부분의 약국이 약사 1인 운영 체제여서 새벽 1시까지 문을 여는 것은 현실적으로 큰 부담”이라며 “약국도 결국 영리 활동을 하는 경제 주체인 만큼, 보다 현실성 있는 운영지원이 병행돼야 제도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고 전했다. 도 관계자는 “공공심야약국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사회일반
오종민 기자
2025-06-15 0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