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첫화면'을 바꾸자… IT업체 '런처앱' 경쟁

카카오톡 운영사인 카카오가 런처(Launcher) 앱인 카카오홈을 출시하며 NHN과 페이스북이 선점했던 런처 시장의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런처 앱이란 스마트폰의 기본화면을 꾸밀 수 있는 테마를 제공하는 앱으로 쉽게 PC의 인터넷 시작 페이지의 스마트폰 버전으로 생각하면 된다. 이를 통해 이용자 유입과 콘텐츠 유입으로 새로운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런처 앱을 알아봤다. ■ 강력한 메신저 서비스 앞세운 카카오홈 카카오홈은 이용자가 선호하는 카카오 서비스의 새로운 소식을 한자리에 모아 관리할 수 있는 모아보기 기능을 전면에 내세운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폰 첫 화면을 왼쪽으로 밀면 나타나는 모아보기에서는 카카오톡 새 메시지와 카카오스토리의 새 소식, 친구들의 생일 알림, 카카오게임 소식 등을 한 번에 볼 수 있다. 여기에 간편답장 기능을 이용하면 카카오톡 새 메시지에 바로 답장을 보낼 수 있어 편리하다. 이용자의 취향에 맞게 화면을 꾸밀 수 있도록 하는 런처 본연의 기능에도 충실하다. 무료로 제공하는 110여 종의 테마를 활용하면 배경화면, 앱 아이콘, 화면 하단의 고정 메뉴인 독, 위젯 등의 디자인을 자신의 스타일에 맞춰 꾸밀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테마도 적용할 수 있다. 또 기존에 런처 이용 경험이 없는 사용자들도 쉽게 설치하고 이용할 수 있다. 앱 마켓에서 내려 받아 이전 홈화면 배치 유지를 선택하면 기존에 설정해놓은 사용 환경을 그대로 옮겨올 수 있다. ■ NHN, 페이스북, KT IT업체 런처 선점 가속화 인터넷 기업들의 런처 앱 경쟁은 치열하다. 카카오 이전에도 페이스북 같은 글로벌 기업은 물론 NHN, 다음커뮤니케이션 등도 런처 앱 개발에 힘써왔다. 페이스북은 지난달 17일부터 구글플레이에서 페이스북 홈을 내려 받을 수 있다. 페이스북 홈은 크게 커버피드와 챗 헤드 기능으로 구성돼 있다. 커버피드는 일종의 홈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홈화면과 잠금화면에 페이스북 친구들의 소식을 보여준다. 챗 헤드는 페이스북 메신저를 커버피드 상에서 곧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다. 하지만 페이스북 홈은 국내의 런처 앱처럼 배경화면이나 아이콘 모양을 바꾸는 폰 꾸미기 요소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그동안 국내에서는 네무스택의 아톰런처, 중국의 런처 개발사 고런처가 만든 고런처 등이 폰 꾸미기용으로 애용돼 왔다. 고런처는 아이콘 모양이 롤리팝과 아이스크림 모양으로 바뀐다. NHN은 자회사 캠프모바일을 통해 도돌런처를 출시했다. 도돌런처는 현재 배경화면을 꾸밀 수 있는 140여종의 테마를 제공하고 있다. 다음도 3월말 런처 개발을 위해 런처 개발사 버즈피아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런처는 단순히 폰을 꾸미는 앱이 될 수 있지만 이용자 환경을 장악할 수 있어 인터넷 업체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이용자 환경을 장악하면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패턴을 유도할 수 있고 또다른 서비스를 유도할 수 있어 유용하다. 과거 포털사이트들이 웹브라우저 첫화면을 잡기 위해 싸움을 펼쳤듯 모바일 서비스에서 런처의 몸값이 높아진 것이다. CPU 용량 증가로 인해 런처 실행 속도가 빨라진 것도 런처가 확산된 배경이다. 최근에는 1.6㎓짜리 CPU를 탑재한 스마트폰(갤럭시S4)이 출시되는 등 CPU 용량이 초기 스마트폰보다 10배 가까이 증가해 런처를 실행해도 잔여 용량이 충분해 부담 없이 런처를 실행할 수 있게 됐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미래창조과학부, 올해 이공계 IT/SW 인력 양성 주력

미래창조과학부는 IT/SW분야의 창의성과 현장감각을 겸비한 석박사급 고급 연구인력 양성, 중소기업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올해 IT/SW창의연구과정 사업과제를 선정해 지원한다고 20일 밝혔다. 올해 IT/SW창의연구과정은 대학중소기업이 공동 수행하는 기술개발형과 대기업이 인력양성 사회공헌사업의 일환으로 참여하는 창의연구형에 총 30억원이 지원되며, 기업 23개사(대기업 3개, 중소기업 20개)와 학생 200여명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술개발형은 국내 대학원과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제안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이동통신 등 IT 응용상용화 기술분야 지원 유형으로 올해 20개 대학-중소기업 컨소시엄과 학생 100여명이 참여한다. 또한 선정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12개월 프로젝트 수행경비 7천500만원이 지원되며, 향후 실적평가를 통해 우수과제의 경우 1년 추가 지원도 가능하다. 창의연구형은 IT분야 우수 대기업이 사회공헌적 지식나눔 차원에서 정부의 인력양성 협력파트너로 참여해 학생이 제안한 창의적인 자유과제 중심의 프로젝트 수행을 지원하는 유형으로, 세부 프로젝트 공모는 총괄주관기업이 확정되는 대로 오는 7월초 진행될 예정이다. 창의연구형 과정은 정부의 사업파트너로서 운영을 주관할 IT/SW분야 국내외 글로벌 대기업 2~3개사를 모집할 예정이며, 참여기업은 정부출연금의 20% 이상의 매칭펀드를 부담하고 대학의 우수 프로젝트를 선정해 1:1 연구지도와 연구부서에서의 인턴쉽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 미래부 관계자는 IT/SW창의연구과정 사업은 기업과 대학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연구개발을 수행함으로써 기업의 노하우와 인턴십 등 실무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양성된 인력이 취업까지 연계되는 인양성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나들이ㆍ등산코스ㆍ맛집… 스마트폰 어플로 고민 끝

어느 새 여름이 우리 곁에 다가왔다. 가족이나 연인과 나들이 계획을 세워보지만 남들과 다른 특별한 목적지가 생각나지 않는다. 이럴 땐 앱을 이용해보자. 여행지 선정부터 등산 코스 길잡이, 맛집 앱까지 유용한 나들이 앱을 소개한다. ▲나들이 고민, 어디갈까 앱 하나면 끝! 어디갈까는 말 그대로 어디에 놀러 가야할 지 고민될 때 사용하면 유용한 앱이다. 가족이나 친구, 연인과 함께 나들이 갈 곳을 고민하고 있다면 더욱 안성맞춤이다. 메뉴 구성도 이름만큼이나 단순하다. 이번주 Go, 다음주 Go, 지역별 가족 나들이, 여행지 톡!, 축제/공연 순위 등이다. 앱을 실행하면 가장 먼저 이번 주에 가면 좋을 정보들이 나타난다. 어디갈까 앱을 사용할 때는 GPS기능을 활용하면 한층 더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GPS를 켜고, 목록 왼쪽 위에 마련된 현 위치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까운 곳에서 진행하고 있는 축제나 관광지 정보 등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축제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살펴보고 싶다면 항목을 누르면 된다. 해당 축제가 열리는 장소나 운영시간, 행사 담당 연락처 등을 알 수 있다. 실시간 교통정보도 분석해 알려주니, 축제장소를 찾는데 큰 무리가 없다. 또한 이미 많은 사용자로부터 인기를 얻은 대한민국 구석구석이나 맛집 정보 앱인 윙스푼, 카페정보를 알려주는 앱 이색카페 등을 소개한다. 해당 앱들은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어디갈까 앱에서 살펴볼 수 있어 간편하며 구글 플레이와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내려 받을 수 있다. ▲ 처음 가는 등산코스 Tranggle GPS와 함께 나들이 장소로 빼놓을 수 없는 산, 하지만 낯선 산에서는 코스를 몰라 당황하는 경우가 생기기 마련이다. 이럴 땐 등산 내비게이션 Tranggle GPS 앱을 이용하면 문제 없이 등산을 즐길 수 있다. Tranggle GPS는 다양한 등산코스를 탐색해 주고 차량 내비게이션과 같이 음성으로 갈림길 방향과 거리를 안내해 주는 스마트폰용 등산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다. 기존 휴대폰용 등산지도는 GPS로 현재 위치를 확인하거나 거리, 고도, 산행속도를 표시해 주는 단순한 기능을 제공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이 애플리케이션은 차량용 내비게이션에 적용됐던 경로탐색, 맵매칭, 음성안내 기술을 등산지도에 접목해 다양한 등산 코스 안내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도 전국 캠핑장 정보나 자전거길 정보 등을 제공하고 산행후기 등의 커뮤니티 기능도 갖췄다. ▲ 낯선 장소에서의 식사 TV 속 거기로 금강산도 식후경, 봄나들이에서 맛있는 식사를 빼놓을 수는 없는 법. 이왕이면 소문난 맛집에서 시간을 보내고 싶지만, 낯선 피크닉 장소에서 유명한 식당을 찾기란 쉽지 않다. 그럴 때는 TV 속 거기 앱이 도움이 된다. TV 속 거기는 이영돈PD의 먹거리 X파일의 착한식당과 VJ특공대, 생생정보통, 생방송투데이 등 TV프로그램에서 소개되는 맛집과 주변 정보를 제공하는 앱이다. KBS, MBC, SBS를 비롯한 공중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에 소개된 맛집을 소개하고, 블로거들의 솔직한 리뷰를 담아 사용자들이 쉽고 빠르게 맛집을 찾아 갈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블로거들의 맛집 리뷰를 연동, 수록해 사용자가 정확한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맛집에 대한 평가와 리뷰를 앱으로 직접 작성할 수도 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데이터량은 늘리고 혜택은 다양하게…

SK텔레콤이 2만원대 롱텀에볼루션(LTE) 청소년 요금제와 1020세대를 겨냥한 멤버십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월 기본료 2만4천원, 5만2천원의 LTE 팅 24ㆍ52 요금제를 새로 선보였다. 팅24와 팅 52는 각각 음성ㆍ영상통화와 문자 외에 월 500MB, 2.5GB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의 LTE 청소년 요금제는 총 4종이 됐다. 기존의 LTE 청소년 요금제인 LTE 팅 34, 42 요금제도 데이터 제공량을 각각 500MB에서 750MB로, 1GB에서 1.5GB로 1.5배씩 업그레이드됐다. 데이터가 모자랄 경우 부모로부터 매월 자동으로 데이터를 선물 받을 수 있는 데이터 자동선물 서비스도 새로 내놨다. 또 10대, 20대를 겨냥한 새로운 멤버십 서비스인 T멤버십 ?은 T플과 커플 2종으로 구성됐다. T플에 가입하면 멜론, T스토어, B tv 모바일, 호핀 등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반값에 이용할 수 있다. 연인이나 친구, 가족끼리도 가입할 수 있는 커플 이용자는 영화ㆍ커피ㆍ공연 등을 1+1로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가박스에서 영화표 1장을 구입하면 1장(연 4회 제한)을 무료로 받는 식이다. 이밖에 SK텔레콤은 T멤버십 ? 가입자에게 스터디카페ㆍ어학원 제휴할인, 각종 강연ㆍ콘서트ㆍ교육 프로그램 참여 기회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안드로이드 전용 '카카오홈' 출시 "첫 화면부터 카카오 스타일로"

안드로이드 전용 '카카오홈' 출시 "첫 화면부터 카카오 스타일로" 안드로이드폰 전용 런처 '카카오홈'이 출시돼 화제다.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 운영업체인 카카오는 13일 안드로이드폰 전용 런처 '카카오홈'을 출시하고 NHN과 페이스북에 이어 이용자의 첫 화면 잡기 경쟁에 뛰어들었다. 카카오홈은 이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카카오 서비스의 새로운 소식을 한자리에 모아서 관리할 수 있는 '모아보기' 기능을 전면에 내세운 점이 특징이다. 스마트폰 첫 화면을 오른쪽으로 밀면 나타나는 모아보기에서는 카카오톡 새 메시지와 카카오스토리의 새 소식, 친구들의 생일 알림, 카카오게임 소식 등을 한번에 볼 수 있다. 여기에 '간편답장' 기능을 이용하면 카카오톡 새 메시지에 바로 답장을 보낼 수 있다. 카톡 메시지 알림 시간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스누즈 위젯'이라는 기능을 이용하면 단순한 휠 조작만으로 카카오톡 메시지 알림을 최대 8시간까지 무음으로 할 수 있다. 영화 관람 때나 수업회의 시간에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스마트론 런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의 겉모습을 바꿔주는 프로그램이다.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디자인을 꾸며주는 용도로 쓰이지만 최근에는 서비스 제공자가 자신들의 서비스를 전면에 내세우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활용된다. 이와 함께 이용자의 취향에 맞게 화면을 꾸밀 수 있도록 하는 런처 본연의 기능에도 충실하다. 무료로 제공하는 110여종의 테마를 활용하면 배경화면, 앱 아이콘, 화면 하단의 고정 메뉴인 독, 위젯 등의 디자인을 자신의 스타일에 맞춰 꾸밀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테마도 적용 가능하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카카오홈 출시, 카카오톡 홈페이지 캡처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