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보호ㆍ에너지절약… 첫 걸음은 스마트 어플로부터?

마음만은 그린피스 지만 바쁜 일상에 치이거나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아 자연보호 활동을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라고 늘 몸에 지니고 다니는 스마트폰으로라도 일단 시작해보자. 오는 5일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에너지 절약과 자연보호 활동 등 스마트폰 사용만으로 일상의 행동을 의미 있게 바꿔주는 기특한 앱을 알아봤다. ■ 트리 플래닛 게임 속 나무 한 그루, 현실로 게임과 환경보호를 접목한 재치있는 앱이다. 나라를 선택해 나무를 심은 뒤 물과 비료를 주고 벌목업자를 퇴치하는 등 정성 들여 나무를 가꾸면 게임 내에 광고를 게재한 한화, ING생명, 강남구청 등 협찬사들이 낸 광고비가 유엔 사막화방지협약, 유니세프 등에 전달돼 실제 식목사업에 쓰인다. 실제 나무가 자라는 모습은 등록한 이메일을 통해 정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지난 3월까지 40만 명 가량이 내려받았으며 수단, 몽골, 인도네시아, 그리고 우리나라의 서울과 비무장지대 등에서 23만7천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폰에서 무료로 내려 받아 사용할 수 있다. ■ 에코 드라이브 알뜰ㆍ똑똑한 드라이빙 친환경 운전이란 급가속, 급출발, 급제동, 과속 등을 자제함으로써 에너지도 절약하고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말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친환경 운전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은 약 10% 줄이고, 연비는 약 8% 올릴 수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가 내놓은 이 앱은 주행 시간과 거리, 평균 속도, 급출발과 급제동 횟수를 바탕으로 주행 점수를 매겨 친환경 운전을 습관화하도록 돕는다. 주행 거리와 주유비, 차량 검사 기록 등을 관리하는 친환경 가계부와 사용자끼리 친환경 운전 요령을 공유할 수 있는 드라이빙 토크 게시판도 유용하다. ■ 빅워크 1원의 행복 걷거나 뛰는 일상의 행동으로도 손쉽게 기부를 실천할 수 있다. 이 앱을 실행해 위성위치확인장치(GPS)를 켠 뒤 걸으면 100m당 1원씩 기부금이 쌓인다. 사용자 위치에 따라 화면에 뜨는 지역별 기업 광고가 기부금의 재원이다. 기부금은 보행이 불편한 장애 아동들에게 휠체어나 맞춤형 의족을 지원하는 일에 쓰인다. 또 자신이 걸은 거리와 시간, 소모 열량 등을 알려줘 운동량 측정 수단으로도 유용하고 자동차 사용 등으로 불필요한 탄소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그동안 운동의 필요성은 느끼지만, 쉽사리 실천하지 못했던 이들이라면 기부라는 훌륭한 동기를 부여하는 이 앱을 꼭 써보자. 아이폰과 안드로이드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 에너지 다이어트 절약도 아는 것이 힘 지식경제부가 무료로 배포하는 에너지 다이어트 앱은 가정의 에너지 비만도 측정, 가전기기 등의 에너지절감 방법 안내, 10대 에너지절약 노하우를 담았다. 가구별 적정 에너지 사용량과 실제 사용량을 비교해 에너지 비만도를 측정한다. 또 에어컨, 냉장고, TV 등 전력사용량이 많은 가전제품, 승용차 등과 관련된 절약 방법별 생활비 절감액을 계산해준다. 에너지 절약형 생활습관 유지를 위한 에너지 절약 팁도 제공해 일상생활 속 친환경 실천이 가능하게 도와준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유심칩 갈아 끼우면 LTE폰도 통신사 옮긴다

올 연말부터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 사용자도 유심(USIM)칩만 갈아 끼우면 자유롭게 기기 변경과 서비스 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 유심 이동이 3G 휴대전화에서 4G까지 확대된 것이다. 3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유심 잠금장치 해제 적용 대상을 오는 11월부터 LTE로 확대하는 내용의 전기통신설비의 상호접속기준 고시 일부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고 밝혔다. 개정 고시가 시행되면 구매처와 상관없이 자유롭게 단말기와 LTE 서비스 제공업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SK텔레콤을 통해 구입한 LTE 스마트폰에 KT 요금제에 가입된 유심칩을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또 음성 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LTE 태블릿PC도 유심 이동으로 통신사를 바꿀 수 있다. LTE 스마트폰의 유심 이동은 지금도 가능하지만 이동을 해도 실제로는 3G 서비스밖에 사용할 수 없다. 지금까지 유심 이동이 안 된 이유는 이동통신 3사의 LTE 주파수 대역이 달라서였다. SKT와 LG유플러스는 800㎒ 대역을, KT는 1.8㎓ 대역을 주로 사용하는데, LTE 초기에 나온 스마트폰은 복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없었다. 하지만 최근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멀티캐리어 기술이 도입되면서 유심 이동도 가능해진 것이다. 미래부는 이통사, 제조사와 협의해 11월쯤 LTE 주파수를 모두 지원하는 단말기를 출시토록 할 계획이다. 다만 LG유플러스는 음성 통화 기술 기반이 달라 LTE 호환까지 시간이 좀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미래부 관계자는 기술적 문제를 고려해 데이터 외에 음성 등 다양한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LTE 서비스는 내년 6월부터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아마추어무선기사(HAM) 자격취득 쉬워진다

무선기기로 전 세계인과 교류하는 아마추어무선기사(HAM) 관문이 낮아졌다. 27일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서 시행하는 8시간의 교육만 이수하면 제4급 아마추어무선기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관련 고시(무선종사자 자격검정 수수료 및 시험과목 면제 등에 관한 사항) 개정안을 마련했다. 기존에는 4급 자격을 따려면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의 통신보안무선설비취급방법전파법규 시험에 모두 합격하거나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의 통신보안무선설비취급방법 교육을 이수한 뒤 KCA의 전파법규 시험에 합격해야 했다. 아마추어무선기사 자격증은 최상위급인 제1급부터 초보자급인 제4급 등 4단계로 구분된다. 1급과 2급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구성된 KCA 기술자격 검정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미래부는 침체된 아마추어무선을 되살리고자 자격증 취득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였다며 시험 부담으로 아마추어무선에 입문하지 못한 예비 기사들이 늘어나고 국산 무선장비 시장도 활성화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 중인 아마추어무선사들은 5만여명으로 추산된다. 이들은 이 기술로 취미생활을 즐기고, 재난자연재해가 발생하면 비상통신지원 봉사활동을 펼치기도 한다.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은 다음 달부터 전국 19개 지부에서 4급 자격 취득교육을 시행할 예정이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