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에 연루돼 내란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현역 군인이 총 30명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장성급 인사는 17명에 달했다. 19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검찰·경찰·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군검찰 등 수사기관이 국방부에 수사 개시를 통보한 현역 군인은 총 30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장성급 인사는 대장 1명, 중장 5명, 소장 3명, 준장 5명, 준장 진급 예정자 3명으로 확인됐다. 이 외에도 대령 11명, 중령 1명, 소령 1명 등 영관급 장교 13명이 포함됐다. 대장급 인사는 계엄사령관을 맡았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으로, 수사 대상자 중 가장 높은 계급이다. 중장급 인사로는 정진팔 합동참모본부 차장(당시 계엄부사령관), 원천희 국방정보본부장,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수사 선상에 올랐다. 소장급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과 박헌수 국방부 조사본부장이 포함됐고, 준장급으로는 구삼회 육군2기갑여단장, 방정환 국방부 국방혁신기획관 등이 내란 혐의를 받고 있다. 현재까지 수사 대상에 포함된 군인 중 최하위 계급은 정보사령부 소속 소령이다. 위관급 장교나 부사관, 의무복무 중인 병사는 수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소속 부대별로는 국군방첩사령부(방첩사) 출신이 8명으로 가장 많았다. 방첩사는 비상계엄 당시 주요 정치인 체포 작전을 계획하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서버 탈취 시도를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외에도 특수전사령부 6명, 국군정보사령부 5명, 국방부 조사본부 3명, 수도방위사령부 2명 등이 포함됐다. 수사 개시가 통보된 30명 중 현재까지 기소된 인사는 5명이다.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을 비롯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이 재판에 넘겨졌다. 이들에게는 ‘내란 중요 임무 종사’ 및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가 적용됐다.
국회
박채령 기자
2025-02-19 0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