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쪽박’… 민주 ‘대박’

한나라당민주당 경기도당이 공심위 구성을 마무리하고 공천심사를 목전에 둔 가운데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지난 2006년 531지방선거 당시 몰려드는 공천신청자로 심사료 대박을 터트렸던 한나라당이 이번에는 쪽박 처지에 놓이게 된 반면 민주당은 대박이 예고되기 때문이다.15일 각 당 경기도당에 따르면 민주당이 공고를 통해 밝힌 공천심사료는 출마 유형에 따라 기초단체장 300만원, 도의원과 시의원이 각각 90만원. 60만원이다. 또 광역단체장은 1천500만원의 심사료를 제출해야 한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비례대표에 대한 심사료로 책정, 도의원과 시의원 비례대표는 200만원, 300만원씩이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도당이 지난달 18일 인터넷을 통해 1차 심사를 마친 공천접수자는 모두 713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기초단체장이 66명이며 도의원과 시의원이 161명, 423명씩이다. 여기에 비례대표 신청자까지 합칠 경우, 민주당 도당의 심사료 수입은 7억원을 훌쩍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지난 531 지방선거에서 후보자를 내지 못해 당 사무처 직원들까지 선거후보로 밀던 상황이 역전된 것이다. 민주당 도당 관계자는 심사료에는 후보자 여론조사 비용을 비롯해 각종 비용이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공천심사료가 하향 조정되면서 당분간 허리띠를 졸라매야 할 지경이다. 한나라당의 공천심사료는 도의원과 시의원이 10만원, 20만원씩에 불과한데다 기초단체장도 50만원으로 책정됐다. 시의원과 단체장의 경우, 민주당의 6분의1 수준에 그쳤다. 제4회 지방선거 당시 심사료의 3분의1 수준이다. 도내 한나라당 공천신청자가 현재 선거구를 고려, 1천200명 안팎으로 예측되면서 심사료 수입은 2억원 내외에 그칠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공심위 심사를 위한 내부 여론조사, 접수 및 심사 인건비, 공심위 활동을 위한 기본적 지원 등을고려할 때 낮아진 공천심사료로 한나라당 도당의 고민이 벌써부터 시작되고 있다. 한나라당 도당 관계자는 심사료가 예상과 달리 대폭 줄어들어 여론조사 비용을 어떻게 조달할지 계획을 짜야 한다면서 심사 비용 조달을 위한 여러 방안을 찾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김동식기자 dsk@ekgib.com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