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다중이용시설 불안전지대 여전

경기도내 노래방, 단란주점, 나이트클럽등 다중이용위락시설이 여전히 ‘불안전지대’로 드러났다. 특히 이들 업소의 경우 소방설비가 설치돼 있지 않는등 안전관리시설이 미비하고 점검후 1년 가까이 미조치 상태인 것도 많아 제2, 제3의 대형참사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건설교통위 소속 이윤수의원(성남 수성)이 최근 경기도 건설안전관리본부로부터 입수한 ‘다중이용 위락시설 안전관리실태 점검결과’와 ‘위락시설 전기분야 점검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안전관리본부는 지난해 12월16일부터 29일까지 관내 31개 시군의 총8백61개소 다중이용위락시설에 대한 안전관리실태를 점검, 이 가운데 4백25개소에서 6백28건을 위험요소로 지적했다. 지적사항중 소방위험물이 2백7건으로 33%를 차지했으며, 이중 노래방이 93건,나이트클럽이 76건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업소에 대한 점검결과, 건축법상 위락시설의 출구는 유사시 피난을 위해 바깥 여닫이로 해야하는데도 이를 지키지 않았으며 비상구에 장애물이 설치돼 있거나 비상문이 잠겨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의원이 인천 라이브 호프 사고후 긴급조사한‘다중이용위락시설 안전조치결과’에 의하면 지난 9월30일 현재 이들 지적업소중 총20개소에서 45건이 여전히 미조치상태인 것으로 드러나 ‘안전불감증’의 심각함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경기도가 지난 5월14일부터 6월9일까지 자체점검한 ‘위락시설 전기분야 점거보고서’에 따르면 노래방 및 단란주점등 식품접객업소 2백59개소를 조사한 결과 6백59건이 지적, 이중 1백38건이 유관기관과의 연락체계 미흡, 1백28건이 화재수신반 고장과 경종정지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총 39개소가 여전히 조치중이었으며, 특히 가평군과 연천군의 경우 각각 8개와 7개 지적업소중 5개소가 ‘미조치’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의원은 이에 대해 “형식적인 소방점검이나 영업정지는 일과성에 그칠 수 있어 강제철거나 업소폐쇄등 특단의 행정대집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수원경실련등 경기장 무상건설 촉구

수원월드컵 경기장건설과 관련 수원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이 무상건설을 약속했던 삼성전자가 경제위기로 포기했던 만큼 올들어 흑자가 95년 이전 수준을 회복한 삼성전자는 이를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수원경실련 등 2002 수원월드컵 시민리포트(위원장 김진춘)는 1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99년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1조3천억원을 웃돌아 95년 1년간의 당기순이익 2조5천억원을 회복한 만큼 시민과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이들은 타개최도시가 구장건설의 30%를 국비로 지원받지만 삼성전자의 구장건설 약속으로 수원시는 국비를 지원받지 못해 수원시의 부담이 커진 만큼 경영상태가 회복된 삼성전자는 당초 협약내용을 준수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구장건설을 포기한 삼성전자는 삼성물산을 통해 수원시와 수의계약으로 공사를 맡고, 도로건설 입찰에 참여하는 등 기업이윤에는 참여하면서도 도가 제안한 제3섹터마저 거부하는 등 철저하게 책임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시민리포트는 심재덕시장이 삼성의 구두통보를 6개월여동안 숨긴 것은 98년 지자체선거를 얼마 남겨놓지 않은 시점으로 월드컵유치 여부가 시장선거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중대한 문제이며, 결국 협약을 파기한 삼성에 책임을 묻지 못한 원인이 됐다고 평가했다./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