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다중이용시설 불안전지대 여전

경기도내 노래방, 단란주점, 나이트클럽등 다중이용위락시설이 여전히 ‘불안전지대’로 드러났다. 특히 이들 업소의 경우 소방설비가 설치돼 있지 않는등 안전관리시설이 미비하고 점검후 1년 가까이 미조치 상태인 것도 많아 제2, 제3의 대형참사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건설교통위 소속 이윤수의원(성남 수성)이 최근 경기도 건설안전관리본부로부터 입수한 ‘다중이용 위락시설 안전관리실태 점검결과’와 ‘위락시설 전기분야 점검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안전관리본부는 지난해 12월16일부터 29일까지 관내 31개 시군의 총8백61개소 다중이용위락시설에 대한 안전관리실태를 점검, 이 가운데 4백25개소에서 6백28건을 위험요소로 지적했다. 지적사항중 소방위험물이 2백7건으로 33%를 차지했으며, 이중 노래방이 93건,나이트클럽이 76건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업소에 대한 점검결과, 건축법상 위락시설의 출구는 유사시 피난을 위해 바깥 여닫이로 해야하는데도 이를 지키지 않았으며 비상구에 장애물이 설치돼 있거나 비상문이 잠겨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의원이 인천 라이브 호프 사고후 긴급조사한‘다중이용위락시설 안전조치결과’에 의하면 지난 9월30일 현재 이들 지적업소중 총20개소에서 45건이 여전히 미조치상태인 것으로 드러나 ‘안전불감증’의 심각함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경기도가 지난 5월14일부터 6월9일까지 자체점검한 ‘위락시설 전기분야 점거보고서’에 따르면 노래방 및 단란주점등 식품접객업소 2백59개소를 조사한 결과 6백59건이 지적, 이중 1백38건이 유관기관과의 연락체계 미흡, 1백28건이 화재수신반 고장과 경종정지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총 39개소가 여전히 조치중이었으며, 특히 가평군과 연천군의 경우 각각 8개와 7개 지적업소중 5개소가 ‘미조치’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의원은 이에 대해 “형식적인 소방점검이나 영업정지는 일과성에 그칠 수 있어 강제철거나 업소폐쇄등 특단의 행정대집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