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송정중, 급식 잔반 줄이기 실천

이천송정중학교(교장 김동성)는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생태환경 모델학교의 일환인 잔반 측정기 도입을 통한 잔반 줄이기 운동을 연중 운영하고 있다. 이천송정중은 지난 6월 3일부터 10월 27일까지 진행된 잔반 감축량을 측정한 결과 1천980kg의 잔반을 줄여 음식물 처리 비용이 35만6천400원을 절감했다. 학교는 남은 음식물 처리 비용은 배식량을 줄인 보상으로 학생들이 좋아하는 회오리감자를 특식으로 제공해 학생들의 자기주도성과 성취감을 높였으며 다음 특식 메뉴는 피자로 미리 공지해 학생들에게 자발적인 동참을 유도하고 있다. 특히 이천송정중은 지난 6월 3일부터 7월 10일까지 급식 이용 학생들 중 목표치(북극곰 70개)를 달성하는 37명의 학생들에게 보상으로 도서상품권을 제공해 잔반 줄이기 사기진작 및 탄소중립 교육에 대한 인식제고 등에 힘썼다. 이와 함께 잔반 줄이기에 대한 독려를 확산하고 다수가 참여할 수 있도록 9월에서 12월까지 4달간은 누적 스탬프(북극곰)가 가장 많은 상위 20%에게 소정의 상품을 지급할 예정이다. 김동성 교장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학생들과 교직원이 힘을 모아 잔반 줄이기 운동을 펼쳐 고무적인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줄이기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송석준 의원, 이천 양봉농가 현장 방문해 고충 청취

송석준 국회의원(국힘, 이천)이 (사)한국양봉협회 이천시지부(회장 박기정, 이하 지부)의 농가를 방문해 양봉농가의 어려움을 청취하고 함께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송 의원은 지난 29일 이천시 안흥동 한 양봉농장에서 이천시지부 박기정 회장과 회원 등 10여명과 함께 양봉농가의 현실에 대한 이야기를 청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를 펼쳤다고 30일 밝혔다. 지부 회원들은 세계에서도 인정하지 않는 사양(일명 설탕)꿀을 국내에서 식품으로 인정해 천연꿀 시장이 붕괴되고 있으며, 앞으로 수입꿀에 대한 정부의 무관세 도입대응으로 양봉농가가 도태될 것이라고 분개했다. 또 이들은 환경적 요인에 따른 꿀벌 집단 사라짐에 대해 소 구제역과 돼지 콜레라 등과 같이 꿀벌의 식량인 쉬나무 등의 밀원조성 및 열약한 꿀벌산업의 전문화·규모화·자립화에 대한 정부의 중장기적인 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화분매게 수정벌산업 활성화 등 다양한 꿀벌 부산물로 생산성 극대화, 영봉 전업농가 위주의 전문교육 등 애로사항을 송 의원에게 건의했다. 이에 대해 송 의원은 “양봉농가의 어려움에 대해 국회와 정부 차원에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어려운 사항에 대해 언제든지 연락을 주시면 어디든지 찾아가 어려운 농가들과 함께하는 의원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천시 경기도 무형유산 대축제 이천아트홀에서 개최…다음달 1일

이천시는 다음달 1일부터 3일까지 이천아트홀에서 ‘천년을 담은 무형유산, 미래 예술혼을 품다’를 주제로 ‘2024 경기도 무형유산 대축제를 개최한다. 이번 축제는 경기도가 주최하고 (사)경기무형문화재총연합회가 주관하며 이천시가 후원한다. 전통문화 유산을 계승하는 경기도 무형유산을 공연 및 전시로 보고 즐길 수 있다. 총 71종목 가운데 대공연장에선 이천거북놀이, 퇴계원산대놀이, 경기소리(휘몰이잡기), 경기시나위춤 등 예능분야 31개 종목 등 보유단체와 보유자들이 전통문화 공연을 펼진다. 아트갤러리에선 벼루장, 사기장, 목조각장, 지화장 등 40개 종목의 기능보유자들이 제작한 130여 점의 무형유산 작품을 전시한다. 특히 이번 대축제에선 경기도와 자매결연을 맺고 교류하고 있는 중국 광둥성의 무형유산 7개 종목이 함께해 칠현금 연주, 사자춤과 월극(오페라)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포산 사자머리 등 사자춤 전시, 전지공예품, 목판세화와 채등 공예품 등도 전시된다. 이 밖에 옥외 체험관에서는 경기도 무형유산 불화장, 사기장(청화백자), 목조각장, 지화장, 퇴계원산대놀이 탈제작 등의 체험행사와 중국 광둥성의 전통 무형유산 체험행사가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김경희 시장은 “경기도 무형유산 대축제는 조상들의 삶과 정신이 깃든 무형유산을 보존․계승․활성화하고자 1999년부터 시작해 이번이 26번째 행가 공예와 민속 부문 유네스코 창의도시인 이천에서 개최돼 기쁘다”며 “이천 시민뿐만 아니라 경기도민들에게 역사 문화적 의미가 깊고 다양한 무형유산을 널리 알리고 우수한 경기도 무형유산의 멋과 흥을 느끼며 찬란한 전통 문화유산을 누릴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