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섬유무역관 유치 손놨나

섬유산업의 중심지인 양주시가 무관심한 행정 탓에 섬유산업의 변두리로 전락할 우려를 낳고 있다. 26일 경기도와 양주시에 따르면 도는 북부청사 주변에 들어선 450여개의 섬유벤더 업체를 집적화하기 위한 섬유무역관을 건립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의정부시는 지난 21일 안병용 시장이 김문수 경기지사를 직접 찾아 의정부시 녹양역 일대 20만㎡의 부지를 제공하는 등 섬유무역관 유치에 발 벗고 나섰다. 그러나 양주시는 섬유산업의 메카를 표방하면서도 섬유무역관 유치에 대한 정보와 사업성 등을 검토하지 않는 등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섬유무역관의 양주시 유치는 시 재정 건전화와 직접 연결되는 사업인데도 시는 이와 관련한 내용을 모르고 있다. 현재 북부청사 주변 섬유벤더 업체의 본사 소재지는 대부분 서울시에 등록된 상태로 본사에서 지출한 부가세 가운데 5%는 다시 지방소비세로 서울시가 돌려받고 있다. 이로 인해 도는 섬유무역관 건립을 통해 현재 서울시로 빠져나가는 110억원(경기도 추산)의 지방소비세를 경기도로 가져와 무역관이 들어선 지자체에 교부금으로 돌려줄 계획이다. 하지만 양주시는 섬유무역관 건립을 통한 지방소비세의 연결구조, 교부금 지원과 관련된 시 재정의 건전성 유지 등의 내용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양주시 관계자는 섬유무역관이 건립된다는 사실을 몰랐다며 양주시에 짓고 있는 섬유복합센터가 들어서면 해결되는 것 아니냐고 밝혔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경기북부에 위치한 섬유업체와 벤더회사가 열심히 일하지만 결국 돈은 서울시가 돌려받고 있다며 재정환경 개선을 위해 반드시 섬유업체의 집약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양주=이상열기자 sylee@ekgib.com

양주, 자전거도로 구축 ‘제자리’

양주시가 자전거도로와 기반시설 마련을 위한 행정지원에 손을 놓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9일 경기도와 양주시, 의정부시, 고양시 등에 따르면 도는 북부지역 9개 시군(34개소)에 2009년부터 2011년까지 1천629억원을 들여 총 연장 227㎞의 자전거도로를 구축키로 했다.이에 따라 경기북부 9개 지자체는 2009년 상반기 자전거이용시설정비계획을 마련해 공고한 뒤 자전거도로를 착공했다.그러나 양주시는 같은 해 공고를 마치고 공사를 시작한 인근 지자체와 비교해 현재까지 자전거도로망 구축과 주변시설 조성 사업이 제자리 걸음을 하는 등 미숙한 행정력을 드러내고 있다.특히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는 자전거도로대장을 작성보관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시에는 이와 관련된 대장을 찾아볼 수 없어 관련법까지 무시하고 있는 실정이다.고양시 고봉로 등 5곳(43.89㎞)과 의정부시 의정부동 등 6곳(53.5㎞)의 자전거도로 공사 공정률이 각각 50%와 30%를 기록하고 있는데 반해 양주시는 옥정지구~동두천 등 11곳(40.78㎞)의 자전거도로 공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시민 윤모씨는 양주시는 인근 시보다 자전거 전용도로나 자전거 주차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자전거도로가 서울로 통하도록 만든 인근 시와 비교할 때 행정수준이 그만큼 떨어지는 것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자전거도로 공사와 기반시설에 투입할 시 예산이 마땅치 않다며 3단계에 걸친 자전거이용시설 정비계획을 마련해 운영할 방침이라고 말했다.양주=이상열기자 sylee@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