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지원 체계가 미흡하다는 지적(경기일보 2일자 6면)이 제기되자, 이들을 위한 평생 교육·사회 적응 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에 소매를 걷어붙였다. 이는 도 차원의 첫 경계선 지능인 맞춤형 학습 지원으로, 도민이 직접 정책 시행을 이끌어낸 만큼 의미가 크다. 8일 도는 ‘경기도 경계선 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에 관한 조례’를 근거로 이 같은 내용의 지원 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도민 10명 중 1명이 해당 증상을 겪고 있지만, 지능지수(IQ)가 71~84 사이로 장애인과 비장애인 경계에서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왔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사업은 사안의 심각성을 느낀 도민들이 ‘주민참여예산’을 통해 첫 경계선 지능인 맞춤형 학습 지원을 이끌어내 주목 받고 있다. 총사업비는 9천만원(도비 100%)이다. 이는 지능지수 70 이하인 지적 장애인과 달리 조기 발견이 어려워 지역사회와 연계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공감대 형성에 따른 것이다. 도는 우선 경계선 지능인을 위한 맞춤형 학습이 가능한 도내 평생교육기관·사회복지시설 선정 절차에 돌입한다. 공모 절차를 통해 기관별 최대 5천만원까지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 선정 기관은 종합심리검사를 거쳐 도내 경계선 지능인에게 일대일 맞춤형 일상생활 및 학습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종합심리검사는 지능검사뿐 아니라 다면적인성검사(MMPI), 문장완성검사(SCT), 로샤검사, 벤더게슈탈트검사(BGT), 그림검사(HTP, KFD), 면담법 등으로 구성됐다. 또한 도는 학령기 학생부터 성인까지 시기별 수혜자 요구를 반영한 정책 지원을 제공하고자 학교, 청소년 센터, 부모 자조모임, 복지관 등의 다양한 지역 자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확대해나가겠다는 구상이다. 도 관계자는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인식 개선, 사회 적응, 지속적인 학습 지원 등에 나선 것”이라며 “올해 첫 시행되는 이번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점차 지원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치일반
손사라 기자
2023-03-08 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