華城 방화수류정·서북공심돈 보물 지정

문화재청은 수원에 있는 사적 3호 화성(華城) 안에 있는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과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 두 곳을 각각 보물 1709호와 1710호로 지정했다고 2일 밝혔다.방화수류정은 조선 정조 18년(1794년)에 건립됐으며, 화성의 동북각루인 전시용(戰時用) 건물이지만, 정자의 기능을 고려해 석재와 목재, 전돌을 적절하게 사용해 조성된 건물이다. 평면은 ㄱ자형을 기본으로 북측과 동측은 凸형으로 돌출, 튀어나오게 조영해 사방을 볼 수 있도록 했다.이번에 지정한 방화수류정은 주변감시와 지휘라는 군사적 목적에 충실하면서 동시에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조선시대 정자건축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정자에서 보이지 않는 독특한 평면과 지붕 형태의 특이성 등을 토대로 18세기 뛰어난 건축기술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으로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됐다. 화서문 옆에 위치해 있는 서북공심돈은 조선 정조 20년(1796년)에 건립됐다. 3층 구조로 전돌을 사용해 축조했으며, 하부 치성(雉城)은 방형의 석재를 사용했다.또한, 1층과 2층 각 면에는 6개의 총안(銃眼)이 있고, 3층에는 여장(女墻)을 쌓고 같은 높이에 4개의 총안을 냈다. 3층 포루(鋪樓)는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 기와지붕으로 벽면 위쪽의 판문에는 전안(箭眼)이 설치돼 있다.서북공심돈은 성제(城制)가 현존 성곽 건축에서는 화성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재료의 유연성과 기능성이 우수하며, 치성의 석재 쌓기 기법과 상부 공심돈의 전돌 축조 기법, 현안과 총안, 전안 등이 독창적인 건축형태와 조형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윤철원기자 ycw@ekgib.com

성남아트센터 음악감상 강좌

성남아트센터 아카데미가 음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음악감상 강좌를 신설했다.내달 첫째 주 개강하는 이번 신설 강좌는 유형종의 댄스 앤 컬처, 임진모의 명작과 함께하는 대중음악 여행, 김학민의 현대음악극 읽어주기 등 3개 프로그램이다.유형종의 댄스 앤 컬처는 클래식 발레와 현대 댄스시어터 등을 중심으로 무용예술과 관련된 오페라와 기악곡, 문학, 신화 등 여러 장르를 두루 살피면서 그동안 어렵게 느꼈던 무용예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돕기 위해 마련됐다.또 임진모의 명작과 함께하는 대중음악 여행은 루이 암스트롱, 엘비스 프레슬리, 비틀스, 마돈나 등 장르를 대표하는 뮤지션들의 명작을 감상하며 20세기 문화인 대중음악의 역사를 짚어본다.김학민의 현대 음악극 읽어주기에서는 현대오페라와 19세기 말 유럽에서 유행한 재미 위주의 오페레타, 브로드웨이 뮤지컬 등의 공통점을 찾아 음악의 감동과 극의 재미를 동시에 즐기는 강좌로 진행된다.신설 강좌에 대해서는 본 강좌에 앞서 오는 22~25일까지 큐브플라자 내 미디어홀에서 맛보기 무료 강좌도 열릴 예정이다.수강신청 및 자세한 사항은 성남아트센터 아카데미(031-783-8152~6, www.snart.or.kr/academy)로 문의하면 된다. 윤철원기자 ycw@ekgib.com

불가리아 큐레이터 ‘첫번째 접촉’

불가리아 출신 큐레이터 파블리나 믈라데노바가 지난해 경기창작센터의 연구레지던시에 참여하며 예술과 관객 간의 접촉의 의미를 연구한 결과를 선보인다.그 과정과 결과물을 선보이는 개인전 첫 번째 접촉(First Contact)은 오는 20일부터 3월15일까지 경기도미술관 프로젝트 갤러리에서 열린다.파블리나 믈라데노바는 현재 아트마케팅 박사과정을 밟고 있으며 이탈리아와 불가리아, 러시아 등에서 전시를 기획한 경력을 갖고 있다지난해 경기창작센터 연구레지던시에 참여한 그는 예술과 관객에 대한 이론가들의 연구를 살피고, 공공장소에서 예술적 실험과 설문조사 등을 통해 도민과 수도권 시민들의 예술 의식과 시각예술 참여도를 고찰했다.수도권 172명 길거리 설문 토대예술에 대한 관객 접근방식 연구20일부터 道미술관 결과물 전시이를 위해 그는 지난해 12월12일부터 25일까지 경기창작센터의 입주작가들과 홍보 문구가 쓰인 플랜카드와 연하장, 크리스마스 엽서 등을 들고 길거리로 나섰다. 관심을 보이는 행인과 예술과의 첫 번째 접촉이 이뤄지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 내용은 참여자들의 예술 행사 참여 배경, 미술을 처음 접한 경험, 전시 참여 경험, 기본적 인적 사항 등이다. 16~65세의 172명이 이 조사에 응했다.그는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예술과 관객 간의 접촉은 개개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특화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전시에선 이 프로젝트를 기록한 비디오, 사진, 텍스트, 그림 등을 통해 다양한 계층과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예술을 소개하고, 그들과의 접촉을 시도하는 일련의 과정과 결과물을 보여준다. 예술 마케팅의 차이점과 접근 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032)890-4823류설아기자 rsa119@ekgib.com

경기창작센터, 올 국내외 입주작가 36명 선정

경기창작센터는 7일 2011년 2기 입주작가 공모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창작센터에 따르면 이번 공모에는 국내 작가 443명과 해외 작가 374명 등 세계 72개국의 817명이 지원, 22.2: 1의 경쟁률을 뚫고 국내 19명과 해외 17명 등 36명의 작가가 선정됐다. 선정된 국내 입주 작가는 가옥 프로젝트 팀(김화영심재경), 강소영, 김누리, 김보중, 김신일, 김월식, 김웅현, 김태은, 김형관, 박용석, 손민아, 손소영, 이기일, 전윤정, 최기창, 한석현, 황은정 등이다.해외 입주 작가로는 Ali Sabir(인도), Andrew Esiebo(나이지리아), Ching YaoChen(대만), Christine Laquet(프랑스), Ekaterina Shapiro-obermair(러시아), Genevieve Chua(싱가폴), Iede Reckman(네덜란드), Santiago Morilla(스페인), Lau hok Shing(홍콩), Nikos Dikas(그리스), Richard Humann(미국), Pia lanzinger(독일), Piaggio Constanza(아르헨티나), Rozalb de Mura (Dragos OLEA외 4명루마니아) 등이다.이들은 오는 3월 창작센터에 입주해 내년 2월까지 개인 창작활동 및 작가 교류 활동을 벌이게 된다.창작센터 관계자는 국내외 예술인들의 뜨거운 관심으로 시작한 올해 창작센터의 레지던시 스튜디오 프로그램을 통해 전 세계 예술인들의 활발한 국제교류의 장으로서의 활보를 다시 한 번 기대한다고 밝혔다.한편, 지난 2009년에 개관한 창작센터는 레지던시를 중심으로 교육프로그램, 지역협력프로젝트, 작품 창고 프로그램 등을 가동하고 있으며 프랑스의 현대미술관 팔레 드 도쿄가 운영하는 르 빠비용(Le Pavillon) 레지던시를 비롯해 세계 다양한 예술 기관과 교류를 벌이고 있다. 문의(031)231-7263류설아기자 rsa119@ekgib.com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