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정민태 20승 달성 전망 밝아

한국 프로야구 최고투수인 정민태(현대 유니콘스)가 2세기에 걸친 20승 달성 전망을 밝게 해주고 있다. 지난해 자신의 프로데뷔 후 처음으로 20승을 달성했던 정민태는 2000년 삼성fn.com 프로야구 페넌트레이스가 전반기 경기도 마치지 않은 상황속에 21일 LG전에서 국내 8개구단 투수 가운데 가장 먼저 10승 고지를 밟았다. 정민태는 앞으로 남은 전반기 경기에서 2승정도 추가할 것으로 예상돼 현재 추세라면 2년 연속 20승 달성은 무난할 전망이다. 투수에게는 치명적인 어깨수술을 딛고 30세의 적지않은 나이에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는 정민태는 노련한 피칭으로 착실히 승수를 쌓아가고 있어 지난 89,90시즌에 선동열이 국내 프로야구에서 처음으로 세웠던 ‘2년 연속 20승 달성’을 10년만에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소속팀 현대가 타선의 폭발적인 지원으로 8개구단 가운데 최고 승률을 자랑하고 있는 것도 정민태의 20승 가능성을 높여주는 한 요인이다. 다만 정민태의 2년 연속 20승 달성 최대 걸림돌은 9월에 치러지는 시드니올림픽. 국가대표로 선발된 정민태는 국내 프로야구가 중단되지 않는한 최소 3차례 안팎의 등판 기회가 무산될 전망이어서 이것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민태가 10년만에 찾아온 대기록 달성을 위해 자신의 기량과 팀 전력의 조화, 그리고 올림픽이라는 변수 등 걸림돌을 어떻게 헤쳐나갈지 관심거리다. 한편 선발투수 시즌 20승은 지금까지 18년동안 12차례 나왔지만 2년 연속 20승을 거둔 것은 선동열 한명 뿐인 힘든 기록이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프로야구 홈런왕 경쟁구도 4파전

‘현대家 집안싸움’으로 이어지던 프로야구 홈런왕 경쟁이 토종과 용병 홈런왕의 가세로 새로운 국면을 맡게됐다. 2000년 삼성fn.com 프로야구 홈런왕 경쟁에서 박경완과 박재홍(이상 현대)이 더위를 타고 나란히 20개의 홈런으로 공동 선두를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98홈런왕인 타이론 우즈(두산)와 99시즌 한국프로야구 최다홈런을 경신(54개)하며 1위에 오른 이승엽(삼성·이상 19개)이 무서운 뒷심을 발휘, 선두에 1개차로 따라붙었다. 이같은 구도는 현대의 용병 탐 퀸란이 주도하던 초반 홈런경쟁이 박경완, 박재홍으로 이어지는 등 현대家의 독주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것. ‘신세대 홈런왕’ 이승엽은 최근 3경기 연속 홈런을 때려내면서 시즌 19개로 홈런 더비 공동선두 박재홍, 박경완에 1개차로 다가섰다. 그동안 홈런포가 제때 터지지 않아 애를 태우던 이승엽이 3경기 연속 홈런을 친것은 올시즌들어 처음으로 최근 6경기에서 4개의 홈런을 치는 뚜렷한 상승세다. 지난해 6경기 연속 홈런을 치는가하면 5월 한달동안 14개의 홈런을 양산하는 등 몰아치기에 강한 이승엽은 홈런 페이스를 바짝 끌어올리며 까마득해 보이던 홈런왕 2연패 가능성에 다시 불씨를 지폈다. 또 98년 한국무대에 발을 딛자 마자 그때까지 난공불락으로 보이던 장종훈(한화)의시즌최다홈런기록(41개)을 깨며 홈런왕에 올랐던 우즈 역시 꾸준히 홈런수를 늘린 끝에 선두권으로 뛰쳐 나와 명예회복을 벼르고 있다. ‘황소걸음’처럼 홈런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우즈는 몰아치기보다는 일정한 페이스로 꾸준히 홈런을 만들어내는 강점이 서서히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박재홍과 박경완이 20호 홈런 이후 일주일동안 홈런을 추가하지 못하는 사이 이승엽과 우즈가 새로 가세하면면서 홈런왕 경쟁은 한층 뜨겁게 달아오를 전망이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프로야구 최태원 최다연속경기 출장기록

‘철인’ 최태원(SK 와이번스·30)이 최다연속경기 출장기록을 ‘700’으로 늘리며 한국 프로야구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95년 4월16일 해태전(광주) 이후 빠지지 않고 그라운드에 개근한 최태원은 18일 대전구장에서 벌어진 한화와의 경기에 스타팅멤버로 출장, 700경기 연속 출장기록의 신기원을 이뤘다. 지난해 9월18일 삼성전(대구)에서 김형석이 세웠던 종전기록(622경기)을 깨뜨린 최태원은 성실함과 정신력을 발판으로 연속 출장 기록을 이어나가고 있다. 700경기 연속 출장은 칼 립켄 주니어가 세운 미국 기록(2천632경기)과 87년 기누가사 사치오가 수립한 일본 기록(2천215경기)에는 크게 못미치지만 19년 역사의 한국 프로야구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대기록. 특히 최태원은 지난 겨울 선수협의회에 참여, 동계훈련 부족으로 기록중단의 위기까지 몰렸음에도 불구하고 변치않는 활약을 펼쳐 더욱 의미가 깊다는 평이다. 선수협사태가 해결된 뒤 신생 SK에 새롭게 둥지를 튼 최태원은 “팀이 필요로 하는 선수가 되지 않는한 연속경기 출장기록은 의미가없다”며 자신을 채찍질했다. 승부사적인 근성으로 똘똘뭉친 최태원의 17일 현재 개인 성적은 0.278의 타율에 71개의 안타. 규정타석을 채운 팀 타선중 최고 타율이고 최다안타부문 공동 12위에 오른 성적으로 최하위 SK 타선에서 홀로 분투하고 있다. 최태원은 “그라운드에 나설때마다 어려웠던 시절이 생각난다”면서 “지금부터 시작으로 생각하고 매경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프로야구 드림리그 1,2위 맞대결

프로야구 드림리그 1,2위에 나란히 올라있는 현대와 두산이 이번주(6.13∼18) 맞대결을 펼친다. 1위를 질주하고 있는 현대는 투·타의 균형을 발판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지만 두산은 지난 주말 홈 경기에서 해태에 2연패를 당하는 등 하락세가 뚜렷하다. 올시즌 두팀의 상대 전적은 현대가 3승2패로 우세. 현대는 홈런 공동 1위인 박경완과 박재홍(이상 19개), 3위 퀸란(18개) 등 타선의 파괴력과 8개 구단 최고의 선발진을 앞세워 두산과의 주말 3연전에서 확실한 우위를 잡겠다는 다짐이다. 현대는 주중 3연전에서 최하위팀 SK와 맞붙게돼 부담없이 두산과의 3연전을 준비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두산은 이번 주 맞대결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한다면 12일 현재 6경기반인 현대와의 격차를 좁히는 것은 고사하고 2위 자리도 안심할 수 없는 처지다. 최고 팀 타율(0.303)을 자랑하는 두산은 타선의 집중력으로 현대 투수진 공략을 노리고 있지만 원정경기로 펼쳐지는 롯데와의 주중 3연전에도 신경을 써야하는 상황이다. 개인 기록 부문에서는 ‘철인’ 최태원(SK)의 연속 경기 출장 기록이 관심을 끌고있다. 국내 프로야구 최고 기록인 694 경기에 연속 출장중인 최태원은 이번주 계속 등판하면 18일 청주에서 열릴 한화와의 원정경기에서 700 경기 연속 출장 기록을 세우게 된다. 한편 현대의 박경완과 박재홍이 펼치는 홈런왕 경쟁과 역시 현대의 김수경과 정민태가 앞서거니 뒤서거니를 반복하고 있는 다승왕 경쟁도 이번주 프로야구를 뜨겁게 달굴 전망이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전국고교야구 수원 유신고 준결승 안착

수원 유신고가 제55회 청룡기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4강이 겨루는 준결승전에 안착했다. 유신고는 7일 동대문야구장에서 벌어진 대회 7일째 8강전에서 2년생 조순권의 투·타에 걸친 맹활약과 문대근의 2타점 활약에 힘입어 대구고에 5대3으로 승리했다. 이날 유신고는 대구고에 2회 선취점을 내주며 불안한 출발을 보였으나 3회말 공격에서 8명의 타자가 나와 볼넷 3개, 몸에 맞는볼 1개, 1안타를 묶어 2득점 전세를 간단히 뒤집었다. 2사 1,2루에서 3번 조순권이 우전 적시타를 터뜨려 2루에 있던 유현석이 홈을 밟아 동점을 만든 뒤 4번 최준원이 볼넷으로 나가 만든 만루기회에서 문대근이 밀어내기 볼넷을 얻어 1점을 추가하며 2대1로 역전에 성공했다. 유신고는 4회초 대구고에 1점을 내줘 2대2로 재동점을 허용했으나 막바로 이어진 4회말 공격에서 1번 정명교가 중전 적시안타로 2루에 있던 서창만을 홈으로 불러들여 다시 1점차로 앞서나갔다. 이어 유신고는 5회 1사 1,3루 득점기회에서 문대근의 우전 적시타와 연속 포볼로 밀어내기 추가점을 기록, 5대2로 점수차를 벌렸다. 반면 대구고는 7회 2안타로 1점을 따라붙는데 그쳤다. 한편 유신고의 두번째 투수 조순권은 7.2이닝 동안 33명의 타자를 상대로 6안타 4볼넷으로 2점만을 내줘 승리투수가 됐다. 조순권은 3번타자로 나선 타석에서도 4타수 2안타 1타점을 기록, 팀승리에 기여했다. 또 5번타자 문대근도 3타수 1안타 2타점으로 맹활약했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프로야구 타이틀경쟁 토종 선수들 대반격

시즌 초반 침묵했던 토종 선수들의 대반격이 시작됐다. 올 시즌 초반 프로야구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현상은 수준급 용병들의 독주. 예년보다 훨씬 뛰어난 기량을 보이고 있는 외국인 선수들은 다승과 타율, 홈런등 투·타의 대표적인 개인기록 부문에서 초반 기세를 올렸다. 그러나 날씨가 더워지고 몸이 풀리면서 그동안 침묵을 지켰던 국내 선수들이 용병들의 독주에 서서히 제동을 걸며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토종선수들이 가장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이는 부문은 야구의 꽃인 홈런부문. 시즌 초 정신없이 홈런을 몰아친 퀸란(현대)과 꾸준하게 홈런 갯수를 늘린 스미스(삼성) 등 용병의 차지가 확실할 것만 같았던 홈런 타이틀 경쟁은 박경완(현대)의 가세로 안개속에 들어갔다. 박경완은 5일 현재 18개의 홈런으로 두 용병과 함께 공동 선두에 올라있다. 또 ‘괴물타자’ 박재홍(현대·16개)과 심정수(두산), 송지만(한화·이상 15개) 등 용병 못지않은 파괴력을 자랑하고 있는 토종 선수들도 이 부문 상위권에 포진, 홈런 부문에서의 외국인 독주에 종지부를 찍었다. 마운드의 다승 부문에서는 토종들이 다시 주도권을 잡은 상황이다. 지난해 다승왕 정민태(현대)와 김진웅(삼성)은 해리거(LG)와 파머(두산) 등 외국인 선수들이 주춤하고 있는 틈을 타 승수를 추가, 8승으로 다승 부문 선두를 나눠갖고 토종 투수의 자존심을 되찾았다. 타율에서도 국내 선수들이 한 걸음 앞섰다. 이병규(LG. 0.357)가 메이저리그 타격왕 출신인 프랑코(삼성·0.349)에 앞선 채 선두에 올라 있다. 타율 부문에서는 프랑코를 제외하고는 이병규와 정수근(두산) 등 국내 선수들이 상위권을 휩쓸고 있어 주도권은 역시 국내 선수들이 잡고 있는 상태다. 용병들과 국내 선수들의 자존심을 건 개인 타이틀 경쟁의 추이에 프로야구 팬들의 관심이 몰려있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