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여중생 납치살해' 김길태 사형 선고

지난 2월 부산에서 여중생을 납치해 성폭행한 뒤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김길태에게 법원이 사형을 선고했다. 초등학교를 갓 졸업한 12살 소녀를 납치해 빈집으로 끌고가 성폭행한 뒤 살해하고, 시신을 옥상 물탱크에 유기한 혐의를 받고 있는 김길태에게 결국 사형이 선고됐다. 부산지법 제5형사부는 25일 오전 김길태에 대한 선고공판에서 사형을 선고하고, 정보공개 10년, 전자발찌부착 20년을 명령했다. 재판부는 김길태가 자신의 책임을 피해자에게 전가하고, 피해자에 대한 미안한 감정을 전혀 내비치지 않는 등 반성의 태도가 없어 교화가능성이 없어 출소 후 재범 가능성이 높다고 판시했다. 또 김길태가 1995년 폭행죄를 저지른 이후 미성년자 성폭행 미수, 이후 유부녀 납치강간 등 갈수록 범행이 대담, 잔혹해져 출소 후에는 더욱 잔혹한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다며 사형 선고 이유를 밝혔다. 재판부는 20대 여성에 대한 납치 성폭행, 12살 이모양의 납치, 성폭행 살해, 시신유기, 도피생활 중 미용실 절도 등 검찰이 제기한 모든 공소사실을 인정했다. 김길태 변호인은 시신유기 장면을 목격한 목격자가 당시 김길태의 얼굴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했고, 유전자 검사 감정서 일부가 부실하게 기재돼 있는 점 등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반박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사형선고가 내려지자 피해자 가족들은 당연한 결과라면서도 아픔을 털어내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피해자 이모양의 아버지는 "그렇게 나는게 당연하지요, 구형이 그렇게 난다고 해서 가슴의 상처가 아무는 것은 아니고..딸아이가 살아 돌아오는 것도 아니고...(한숨)"라며 비통함을 감추지 못했다. 예상보다 강경한 법원의 판결에 김길태는 선고공판 내내 다리를 휘청거리며 제대로 서 있기도 힘든 모습을 보였다. 김길태가 그동안 절도 혐의 외에는 모든 혐의를 부인해온 만큼 항소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돼, 항소여부와 함께 2심 법원에서의 판단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女風당당’ 550만 경기 여성들 한마당

제22회 경기도주부의 날 기념식이 22일 오후 1시30분 경기도문화의전당 대공연장에서 열렸다.㈔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시흥시지회의 난타 공연으로 시작된 이날 행사에는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이금자 회장을 비롯해 김문수 경기도지사 내외, 윤재옥 경기지방경찰청장, 도시군의회 의원, 이현락 경기일보 사장 등 내외빈 1천500명이 참석, 행사를 축하했다. 경기도 주부의 날은 지난 1986년 5월 30일 전국에서 최초로 여성들의 지위 향상과 사회 참여를 증대시키고 여성단체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며, 550만 경기 여성들의 화합의 장을 마련하고자 경기도가 지원하고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가 주관해 추진해오고 있다.이날 각계 각층의 경기도 여성 중 경기지역 발전과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해 헌신한 여성들을 발굴해 격려하기 위해 여성발전 유공자 표창(28명), 경기지방경찰청장 표창(4명), 제3회 이금자 경기여성지도자상(3개단체) 시상식도 함께 진행됐다.이어 소프라노 여섯명과 한명의 피아니스트로 구성된 여성 앙상블 팀 레뮤젠, 경기경찰홍보단, 가페라 가수 이한, 뮤지컬 배우 박해미 등의 축하공연과 대한어머니회 경기도연합회의 전통무용, 경기소리보존회 하남시지부의 민요, 한국자유총연맹 안성시지부의 중창, 수원시 하비비밸리클럽의 밸리댄스, 구리시재향군인회여성회의 품바타령 등이 출연한 경기여성한마당이 열려 참가자들의 열렬한 환호를 이끌어냈다.이금자 회장은 개회사에서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는 여성단체가 주최가 각종 위원회의 여성참여 기회를 늘리고 지역사회봉사활동 등을 통해 여성의 사회적 기여와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며 숙원사업인 경기도여성의전당 건립 운동과 함께 교육, 여성, 경제, 출산, 환경, 다문화 가정 등 우리사회의 현안들과 소외되고 아픔을 겪는 사람들을 보듬어 가는 따뜻한 사랑의 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제25회 경기여성 기예 경진대회 수상자에 대한 시상식도 함께 열렸다.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는 여성들의 능력개발과 사회참여 확대를 위해 이달 초 서예, 사군자, 꽃꽂이, 한지공예, 시, 수필, 이주여성백일장, 회화 등 8개 부문에 걸쳐 경진대회를 실시했다. 총 480여명의 여성들이 참여한 가운데 실시된 경진대회에서 서예부문 오덕자씨(성남시)를 비롯 한지공예 부문 김지현(남양주시), 꽃꽂이 부문 이금주(군포시)가, 사군자 부문 오옥순(수원시), 시(詩)부문 노은주(하남시), 수필부문 권복순(화성시), 이주여성백일장 부문 오카다노리꼬(안양시)가, 회화부문에선 김미옥씨(여주군) 등이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총 48명의 수상자를 냈다. /권소영기자 ksy@ekgib.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