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가격 안정세 유지

최근들어 대부분의 농수산물 반입량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 가격이 하락되는 등 추석이후 태풍과 집중호우 피해와 추석특수로 급등했던 농산물 가격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10일 수원·구리 농수산물 도매시장에 따르면 지난 추석연휴를 앞두고 내린 집중호우로 농수산물 가격이 큰폭으로 오른 이후 최근들어 평소에 비해 반입량이 15∼20%정도 줄었음에도 불구, 가격이 하락되는 등 대부분의 품목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풋고추 1㎏당 도매가격은 추석연휴전인 지난달 22일 4천원에 비해 절반인 2천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배추는 포기당 1천700원으로 30%정도 떨어졌다. 대파는 1단에 1천100원으로 지난달 22일 2천원에 비해 45%정도 떨어졌고 시금치는 4㎏당 1만원으로 80%가 하락했다. 지난달 22일 15㎏당 2만원하던 사과(아오리)의 경우 2천원 정도가 떨어진 1만8천원에, ‘신고’배는 15㎏에 10%정도 떨어진 4만2천원에 각각 거래됐다. 지난달 22일 8㎏당 2만6천원하던 밤은 50%정도가 떨어진 1만7천원에 거래됐다. 수산물의 경우 바지락 1㎏이 50%정도가 떨어진 1천650원에 거래되고 있는 가운데 꽁치 1마리에 250원, 동태 1마리에 800원 등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를 보였다. 반면 지난달 22일 10㎏ 2만원하던 포도(켐벨)의 경우 수확이 거의 끝나 반입량 감소로 55%정도가 오른 3만1천원에, 복숭아(15㎏)도 70%가 오른 3만7천에, 상추(4㎏)도 2배이상 오른 3만3천원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농수산물 도매시장 관계자는“추석이후 농수산물 반입량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 수요감소로 가격하락은 물론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며“기상이변 등 돌출상황이 일어나지 않는 한 당분간 안정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박승돈기자

손보사들 특별할증료 상향조정

손해보험사들이 손해율(납입보험료중 지급된 보험금 비율) 악화를 이유로 다음달부터 상향조정된 특별할증율(교통사고로 인해 보상지급 후 보험금의 할증비율)을 적용할 것으로 보이는 등 운전자들의 보험료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10일 손해보험 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교통사고 발생률이 지난해에 비해 폭발적으로 급증하면서 60%대에 머물던 손해율이 10%포인트이상 치솟은 것으로 추산되는 등 지속적인 손해율 악화가 우려됨에 따라 대다수의 손해보험사들이 다음달부터 상향조정된 특별할증율을 적용할 계획이다. S화재의 경우 종전 사고유형별로 4개 그룹으로 나눠 0∼30%까지 적용하던 자동차보험 특별할증율을 10∼40%로 10%씩 상향조정했으며 L화재 역시 0∼30%하던 특별할증율을 10∼40%로 올려 각각 오는 11월1일 책임개시계약부터 적용할 예정에 있는 등 손해보험사 대부분이 이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다음달부터 자동차보험에 새로 가입하거나 또는 만기시 재계약하는 경우 보험가입시점으로 부터 3년이내(일부 1년)의 사고경력에 따라 변경요율이 적용, 운전자들의 보험료 부담으로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손해보험사 관계자는“높은 사고발생률로 손해율이 악화, 특별할증율을 조정하지 않을 경우 기본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한 실정”이라며 “특별할증율을 올리는 것은 무사고 계약자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강경묵기자

중기청 엔젤투자가 현황

중소기업청은 올들어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그룹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엔젤(투자가)의 투자성향 및 실태분석을 위해 최근 현재 활동중인 엔젤투자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응답한 엔젤 102명을 대상으로 엔젤의 특징과 실태를 파악·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 성별로는 남성이 97%로 전체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으로는 투자경험이 많은 40대와 50대가 전체의 6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투자대상업종으로는 정보통신 20%, 인터넷관련사업 18%로 미래지향적인 업종선호가 뚜렷했으며 엔젤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평균 투자금액은 2천500만원, 투자대상 벤처기업을 발굴하는 경로에 대해 48%가 엔젤클럽으로 나타나 엔젤클럽의 책임감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엔젤의 일반적 특성 ▲성별 및 연령 엔젤의 구성비는 남성이 97%, 여성은 3%였으며 연령별 분포는 30대가 25%, 40대가 30%, 50대가 37%로 엔젤의 연령층은 30∼50대임을 알 수 있었다. ▲연평균 소득별 현황 엔젤의 연평균 소득별을 보면 18%가 3천만원 미만의 투자자이고 3천만∼5천만원 미만의 투자가가 43%, 5천만원이상이 38%를 차지했다. ▲엔젤의 벤처기업 경영참여 여부 엔젤의 68%는 순수투자가 입장에서만 활동하고 30%정도는 벤처기업의 창업 및 경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나타나 미국 83%, 영국의 69% 비율로 비상근 또는 임원 및 컨설팅참여 등 직접적인 참여 보다는 간접적인 관망자세를 취하고 있다. ▲학력 및 직업별 현황 78%이상이 대학졸업이상 학력이고 그 이하는 20%에 불과할 정도로 고학력을 차지하고 있으며 직업별로는 50%이상이 개인사업가, 기업경영자, 회사간부, 금융기관직원 등 기업과 관련이 높았으며 교수, 경영지도사, 변호사·변리사 등의 전문직종사자가 17%나 됐다. ◇엔젤 투자활동 분석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