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동의 와인이야기

세계적으로 유명한 와인잡지인 와인 스펙테이터에서 11개국 1만2천400여 종류 중 90점 이상을 받은 2천500개 와인 가운데 2005년 세계 100대 와인을 선정했을 때 1위의 와인으로 뽑힌 와인이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에서 생산한 인시그니아 2002이다.건축가 출신의 조셉 펠프스가 프랑스 보르도의 레드 품종을 블랜딩해서 심혈을 기울여 생산한 와인이다. 표장이라는 뜻의 인시그니아는 1978년 최초로 미국에서 프랑스의 보르도 스타일로 생산한 미국 고급 와인의 효시다. 인시그니아의 성공으로 미국 보르도 스타일의 와인을 덕목이라는 뜻의 메리트(Merit)와 전통이라는 뜻의 헤리티지(Heritage)의 합성어인 메리티지(Meritage) 와인이라고 부른다.구세계의 전통과 신세계의 기술이 결합돼 만들어진 합작품인 인시그니아는 세계 최고의 와인으로 프랑스 명품 와인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최고의 신세계 대표 와인이다. 인시그니아의 품종은 카베르네 소비뇽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블랙 커런트, 체리향이 강한 와인으로 프랑스 오크통에서 24개월 이상 숙성돼 모카향과 부드럽고 실크같은 타닌을 지니고 있다. 또한 균형감있는 산도와 과일향이 풍부할정도로 가득하고 뒷맛이 오랫동안 여운을 남기며, 입안을 가득 채우는 만족스러운 발란스를 갖춘 미국을 대표하는 명품와인이다. -생산지:미국캘리포니아나파-품종:카베르네 소비뇽 84%, 쁘띠 베르도 10%, 메를로 3%, 말백 3%-가격: 45만원/한국와인협회 부회장

김성동의 와인이야기

프랑스 와인 중에서 가장 화려하고 여성적인 와인을 꼽으라면 샤토 마고라고 할 수 있다.명산지 보르도의 메독지역 마을 마고에서 생산하는 그랑 크뤼 1등급 와인이다. 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패전국 독일이 프랑스에서 저지른 만행을 사죄하기 위해 콘라트 아데나워 초대 총리가 프랑스를 방문했다. 이 때 아데나워 총리는 모든 사람의 예상을 뒤엎고 사죄성명을 발표할 장소로 샤토 마고를 택했다. 그는 프랑스 사람 가슴 한 가운데 보르도가 있고 보르도의 한 가운데 샤토 마고가 있다라며 샤토 마고를 방문했다.프랑스의 자존심이라는 샤또 마고 포도원은 역사의 흐름에 따라 소유주가 여러 번 바뀌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무려 4억4천여만 달러의 가치를 지닌 마고의 지분 중에서 75%가 경쟁적 와인 생산국인 이탈리아에서 피아트 자동차를 생산하는 아그넬리 회장이 가지고 있었다.그러나 자동차 산업의 위기로 피아트 자동차가 어려움에 처한데다 2003년 1월 아그넬리 회장이 사망하면서 마고는 미국의 빌 게이츠나 영국의 귀족에게 매각될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했다. 하지만 결국 그 지분은 프랑스 정부가 나서 지분 전부를 프랑스인이 사들이게 돼 샤토 마고는 다시 완전히 프랑스의 소유로 돌아왔다.샤또 마고는 단순한 포도원의 위치를 넘어서 프랑스인들의 자부심이고 자존심을 상징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꽃에 홀리는 것 같은 매혹적인 향, 비단결 같은 부드러움, 성숙한 탄닌, 연기에 그을린 크림 냄새의 오크통에서 숙성되면서 배어든 오묘한 맛은 어느 와인도 따라올 수 없다.▲생산지:프랑스보르도메독마고 마을▲품종:카베르네 소비뇽 75%, 메를로 20%, 카베르네 프랑 3%, 쁘띠 베르도 2%▲알코올도수:12.5도 ▲가격:100만~130만원/한국와인협회 부회장

김성동의 와인이야기

이 와인은 붉은색 과일향을 베이스로 풍부하면서도 복합적인 부케를 느낄 수 있고, 특히 블랙커런트와 가벼운 통후추향, 토스트향이 절묘하게 어우러져 있다.이에 따라 메독 지역의 견고한 느낌과 함께 부드러움을 조화시킨 느낌을 전달한다. 입안에서는 적당한 느낌의 탄닌이 아로마와 절묘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쉽게 즐길 수 있는 첫 인상을 자랑하고 있다.프랑스 보르도 지역의 대표적인 와인산지 메독의 포도밭에서 까다롭게 선별한 지역의 수확량을 통제하고 수확기를 정확히 체크, 전통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졌다.라피뜨 로칠드(Chateau Lafite Rothschild)는 프랑스 보르도의 1등급 샤또(메독지역의 5대 와인 생산농원:샤또 라투르, 라피트 로칠드, 무통 로칠드, 샤또 마고, 샤또 오브리옹) 중에서도 가장 품격있는 보르도의 자존심이다.1855년 보르도 그랑크뤼(최상 품질의 와인을 생산하는 농원) 와인들이 정해졌을 때, 1등 중의 1등(Premier des Premiers)이라는 별명이 붙여졌던 것처럼 로칠드 가문은 보르도 특등급의 명성에 걸맞는 고급 와인의 의미를 계승하기 위해 라피뜨 컬렉션(DBR Lafite Collection)을 만들었다.도멘 바롱 드 로칠드는 이 라피뜨 컬렉션을 관장하는 지주 회사로 이 세기적인 컬렉션에 보르도의 레전드(Legende) 시리즈 뿐만 아니라 전세계 최고의 산지에서 생산된 와인들이 포함됐다.라피뜨 컬렉션의 로고에 그려진 5개의 화살은 전세계로 뻗어나간 로칠드 가문을 상징한다. 세계 최고의 와인 생산지에서 생산된 다양함과 결합된 기술력은 신구의 조화를 완벽히 이뤄내고 있으며, 이 같은 라피뜨의 끊임없는 열정은 명성에 걸맞는 세계적인 와인의 표준이 되었다.▲포도품종: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70%, 메를로(Merlot) 30%▲알코올도수:12.5% ▲가격:3만~6만원/한국와인협회 부회장 ■ 어둡고 서늘한 곳에 눕혀서 보관을와인의 선택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보관이다. 물론 대부분의 와인은 만든 지 1~2년 내에 소모되지만, 값비싼 와인의 경우 10~20년 보관해 둬야 숙성된 맛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와인은 누워있는 것을 좋아한다원칙적으로 와인은 눕혀서 보관해야 한다. 오래 세워두면 코르크 마개가 건조해지면서 외부 공기가 들어와 와인이 산화되면서 식초처럼 신맛이 나게 된다. 눕혀서 보관하면 와인이 코르크마개로 스며들어 코르크를 팽창시키므로 외부로부터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와인은 시원하고, 어둡고 조용한 곳을 좋아한다와인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은 햇빛을 포함한 강한 광선, 높은 온도 그리고 심한 진동이다. 이상적인 온도는 12~14℃ 정도이며 습도는 65~75% 정도이다. 전문가들의 의견에 의하면 20℃ 온도에서 보관해도 그 온도의 변화가 심하지만 않으면 몇 년 정도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집에서 보관하는 방법건조하고 온도가 너무 찬 냉장고에서의 장기 보관은 피한다. 가정에서는 지하실이나 에어컨을 이용해 가능한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보관해야 한다. 스티로폼 박스를 활용하는 것도 보관방법 중 하나다.무엇보다 와인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고, 그것이 없다면 구입 후 최대한 짧은 시일 내에 마시는 것이 좋다./윤철원기자 ycw@kgib.co.kr

김성동의 와인이야기

100여년 전 이탈리아 포도원 노동자의 아들 카테나 자파타는 아르헨티나 중부의 안데스 산맥의 정기를 받는 멘도사에 포도원을 설립했다.지금은 창업주의 손자가 아르헨티나 최고 포도원으로 품질이 좋은 와인 생산과 다양성을 추구하며 캘리포니아 와인의 아버지 로버트 몬다비의 개척정신과 최고의 와인 생산을 위한 과감한 시설 투자와 선진기술을 도입해 멘도사 와인의 혁신을 가져왔다.그는 니콜라스 카테나 자파타를 생산하자 마자 최고의 와인으로 인정받았다.멘도사는 물이 귀한 사막 기후라 해발 800~1천m의 고지대에서 밤과 낮의 일교차가 심해 섬세하면서 복잡 미묘한 맛을 낼 수 있는 포도를 안데스 산맥에서 흘러내리는 천연 미네랄 워터로 수분 공급을 받아 생산한다.1997년 빈티지는 미국과 런던에서 열린 보르도 그랑크뤼가 아닌 와인을 찾아내는 블라인드 테이스팅에서 보르도 그랑 크뤼 1등급 와인, 미국 오퍼스 원 등과 블라인딩 테이스팅에 선정돼 명품 와인과 어깨를 나란히 했고 로버트 파커가 선정한 최고 와인리스트에 유일하게 남미 와인으로 이름을 올렸다.카베르네 소비뇽과 말백을 블랜딩해 생산하는 이 와인은 말린 자두와 토스트 향이 가미된 진한 가네트 칼라의 바디감이 크고 목넘김을 하고 남은 와인의 향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풀 바디 와인이다.입 안에서 감지되는 중후한 무게감으로 진한 소스로 그릴에 구운 양고기 바비큐나 두꺼운 스테이크 등과 어울리며 풍부한 타닌이 육류의 단백질을 부드럽게 하고 육류의 지방을 느끼하지 않고 말끔하게 녹여주며, 입안에는 토스트향을 가득 선사하는 와인이다. -생산지: 아르헨티나멘도사-품종: 카베르네 소비뇽 80%, 말백 20%-가격:18만원/한국와인협회 부회장

김성동의 와인이야기

이탈리아는 전 국토가 와인 산지로 와인의 땅이라고 하며, 약 3천년의 와인 역사를 가진 종주국으로 유럽에 와인 제조술을 전파했으나 프랑스 와인에 밀리며 한 동안 소비자에게 외면을 당해 관심을 받지 못했다.그러나 1968년 르네상스의 발상지 토스카나에서 와인의 신 르네상스가 태동하기 시작했다. 토스카나를 세계 최고의 산지로 부각시킨 새로운 와인이 탄생한 것이다.피사의 사탑에서 한 시간 거리인 볼게리의 테누타 산 귀도에서 포도밭에 돌이 많은 자갈이라는 뜻의 사시카이아라는 와인이 바로 그것이다.18세기 초 메디치 가문의 코스모 공작은 당시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았던 프랑스 품종인 카베르네 소비뇽을 1950년대 2차 대전이 끝나갈 무렵 가족과 친지를 위해 소량 생산했다. 그는 당시 존재하지 않던 파격적인 품종 배합과 와인 제조과정을 실험해 생산하였다.이 와인은 이탈리아 전통 품종 산지오베제를 사용하지 않고 프랑스의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으로 약 3천병을 국제 무대에 선보이며 전세계에 토스카나 와인의 혁신적 돌풍을 일으킨다. 와인 스펙테이터 100점 와인으로 평가받으며 비로소 이탈리아는 와인의 향이 살아 숨쉬는 경쟁력있는 생산지로 존재감을 다시금 부각받게 된다. 사시카이아는 수퍼 투스칸의 효시라고도 일컬어 진다.지중해의 강렬한 태양을 받은 카베르네 소비뇽을 프랑스산의 작은 오크통에서 18~24개월 숙성시켜 진한 타닌과 오랜 여운이 가득하여 20~30년 이상 보관할 수 있으며 체리, 블랙 커런트와 같은 검은 과실의 향과 타바코 향의 부케가 어울리는 보르도 스타일의 와인이다.현재 연 약 18만병을 생산하는 최고의 자리에서 찬란하게 빛나는 이탈리아 최고 명품 와인이다. ▲생산지 : 이태리〉볼게리〉테누타 산 귀도▲품종 : 카베르네 소비뇽 85%, 카브르네 프랑 15%▲가격 : 45만원/한국와인협회 부회장

김성동의 와인이야기

프랑스 동부 부르고뉴의 남쪽에 위치한 공업도시 리옹과 아비뇽 사이에 200㎞의 론 강이 흐르는 꼬뜨 뒤 론 지방은 지리적으로 이탈리아와 가까운 와인산지로 지중해 연안의 태양 빛을 담은 포도를 생산한다.론에서 가장 규모가 큰 포도원 엠 샤프티에는 제초제, 살충제, 화학비료 등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법에 더해 살아 숨쉬는 건강한 토양에서 개성을 살린 최상의 포도로 와인을 생산한다. 엠 샤프티에는 세계 최초로 점자로 표시된 와인 레이블을 사용하고 있으며 건강과 와인 재단을 운영하며 백혈병 환자의 골수 기증운동을 펼치는 건강 이미지의 포도원이다.꼬뜨 뒤 론의 최고 산지 에르미타즈에서 시라 100%로 색상이 진하며 타닌의 함량이 가득하고 천천히 숙성하는 향미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이 지역은 십자군으로 파병된 기사가 남프랑스의 알비에서 카타르 종파를 잔혹하게 살인한 과거를 회개하며, 암자에 살며 와인을 생산하여 은자의 암자 라는 뜻의 에르미타즈라고 부르게 됐다.이 지역의 와인은 일찍이 영국의 왕실에 소개되었을 정도로 명성을 떨치게 되었고, 프랑스에서 시라를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에르미타즈 뮈르 드 라나쥬는 진한 가네트색의 감초향과 말린 자두향이 많은 와인으로 시라 품종의 특징인 스파이시한 맛과 강한 타닌의 결합이 특징이다. 여러 가지 재료와 양념이 들어간 갈비찜, 비프 스튜, 강한 양념이 들어간 양고기 조림과 함께 마시면 어울린다. -생산지 : 프랑스꼬뜨 뒤 론북부 꼬뜨 뒤 론에르미타즈-품종 : 시라 100%-가격 : 12만원/한국와인협회 부회장

김성동의 와인이야기

미국 북서쪽의 워싱턴주는 미국에서 캘리포니아 다음으로 와인을 많이 생산하는 지역으로 전세계 40여개국에 와인을 수출한다.프랑스의 보르도와 부르고뉴 같은 북위 45도 이상의 높은 위도에서 일교차로 인한 서늘한 밤 기온 덕에 풍부한 과일향과 높은 산도, 균형 잡힌 와인이 만들어지게 된다.1934년 설립된 샤또 생 미셀은 워싱턴주의 역사와 규모, 품질에서 워싱턴 최고의 프리미엄 와인을 생산하는 포도원이다. 콜럼비아 밸리의 가파른 언덕에서 햇빛을 듬뿍 받는 메마르고 모래가 많은 화산성 토양에서 미네랄 향이 담긴 포도를 생산한다.긴 여름과 고위도 지역의 지형적 특성으로 미국 최고의 리슬링을 생산하며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을 분리해서 양조하는 세계에서 몇 안되는 고급 포도원이다. 독특한 떼루아와 품종의 특징을 반영하여 탁월하고 지속적으로 우수 품질의 와인을 생산하여 전 세계 와인비평가들로부터 받은 수많은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독일의 최고 포도원 닥터 루젠과 함께 화려한 향기와 산미를 간직한 미국 최고의 리슬링 품종의 와인 에로이카를 생산한다. 농염한 미네랄과 옅은 계피, 견과류, 라임 등의 향을 지닌 미디엄 바디 와인으로 생선 초밥이나 진하지 않은 양념으로 조리한 닭고기와 어울리는 긴 여운을 지닌 드라이 화이트 와인이다. ▲생산지 : 미국〉워싱턴주〉컬럼비아 밸리▲품 종 : 리슬링 100%▲가 격 : 5만9천원/한국와인협회 부회장

김성동의 와인이야기

최고의 와인 만화 신의 물방울에서 마늘향이 많고, 짜고, 시고, 맵고 향이 강해서 와인과 함께하기 어려운 자극적인 음식인 김치에 가장 잘 어울리는 와인으로 그라벨로 와인이 소개되었다.그라벨로는 장화처럼 생긴 이탈리아의 발등에서 발톱 부분으로 시실리섬으로 가는 길목의 칼라브리아주(Calabria)에서 생산되는 와인이다. 덥고 건조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갈리오포(Gaglioppo) 품종으로 중간 정도의 포도껍질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카베르네 소비뇽과 블랜딩하여 2주간의 색과 향을 얻기 위한 침용 과정을 거친 후 스테인레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가 이루어 지며, 최소 1년 이상의 프랑스산 오크 배럴 숙성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6개월간 병입 숙성 후 시판되며 연간 약 9만병이 생산된다.갈리오포 품종은 시간이 흐르면서 지중해 태양의 정열을 담은 보라빛이 감도는 진한 쨈과 같은 지속적인 아로마로, 후추와 민트향이 강한 향을 지닌 와인을 만들어낸다. 칼라브리아주는 이탈리아에서 매운 고추를 많이 생산하는 고장으로 고추밭이 펼쳐진 지역에서 자연스럽게 매운 향을 만드는 떼루아의 영향으로 그라벨로는 목넘김에서 살짝 매운 맛이 느껴지며, 김치와 궁합이 맞는 와인으로 꼽히게 되었다.매콤한 양념이 많이 들어간 한식요리와 어울리는 와인으로 부드러운 타닌을 지니고 있으며, 로스트한 양고기, 사슴고기와 같은 육류와 조화를 이루는 와인이다. ▲생산지 : 이태리〉칼라브리아주〉그라벨로▲품 종 : 갈리오포 60%, 카베르네 소비뇽 40%▲가 격 : 9만원/한국와인협회 부회장

김성동의 와인이야기

전 세계에서 가장 넒은 땅에서 와인을 생산하는 스페인은 더운 지중해성 날씨로 주로 해발 500~600m의 고지대에서 와인을 생산하며, 생산량은 이태리, 프랑스에 이어 3위인 와인 생산국이다.스페인에서 가장 고급 와인을 생산하는 지역은 중북부의 두에로 강이 흐르는 곳이다. 이 곳 베가 시실리아 포도원에서 스페인 최고가의 와인 우니코라는 전설적인 와인이 생산된다. 우니코는 10여년 이상 숙성되기 전에는 출하시키지 않으며 적어도 20여년 이상 지나야 제 맛을 보여주는 스페인의 자존심이라고 할 수 있는 와인이다.스페인의 지중해성 기후로 농염한 향과 색이 진해 포도의 잔향이 길고, 풍요로운 향기가 가득한 와인을 생산한다. 베가 시실리아는 1864년 프랑스에서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말백 품종을 수입해 와서 프랑스 품종과 스페인 대표 품종 템프라니오와 블랜딩하여 와인을 생산하기 시작했다.이미 1907년 국제 대회에서 입상을 하며 세인의 관심을 받는 스페인의 대표와인으로 성장했다.지중해의 햇빛을 듬뿍 받아 두꺼운 껍질을 가진 포도로 빚은 우니코는 진한 가네트 색에 체리향과 토스트향, 커피향을 가득 담은 풀 바디의 강력한 와인으로 산과 타닌의 오묘한 밸런스를 이룬다.한 모금 입에 담으면 깊고 진한 향이 퍼지며 잔향이 3분 이상 지속되는 거인과 같은 와인으로 스테이크와 최고의 조화를 이룬다. 영국의 찰스 왕자의 결혼식에 제공된 명품와인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생산지 : 스페인〉리베라 델 두오로▲품 종 : 템프라니요 80%, 카베르네 소비뇽 20%▲가 격 : 74만원/한국와인협회 부회장

김성동의 와인이야기

영화 대부로 30대 초반에 큰 성공을 거둔 프란치스 코폴라 감독은 캘리포니아 나파의 러더포드에 위치한 유서깊은 구스타브 니바움 포도원을 사들여 니바움 코폴라 포도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캘리포니아의 대표급 포도원으로 와인을 생산한다.이태리계 후손인 코폴라에게 와인 생산은 자기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과도 같았다. 그런 그가 처음으로 생산한 와인이 바로 루비콘이다. 루비콘은 시저가 루비콘 강을 건너면서 주사위는 던져졌다고 말했던 것에 유래해 돌이킬 수 없는 결정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실제로 루비콘 강의 정확한 위치는 현재 알 수 없지만 이태리 북부에서 아디르아 해로 흐르는 작은 강으로 추측되고 있다. 루비콘 와인은 코폴라가 와인을 생산하는 비장한 결심과 결의가 들어간 그의 야심이 담긴 대표 와인이다.러더포드는 나파에서 가장 중심지역으로 세인트 존 산 기슭에 위치하고, 충적토와 화산 토양으로 까베르네 소비뇽을 생산하기에 아주 적합한 지역이다. 1882년 구스타브 니바움이 프랑스에서 가져온 포도나무로 진한 루비 색깔의 체리 향이 가득한 아로마가 많고 오크통 숙성으로 바닐라 향이 더해져서 기분 좋은 향기가 넘치는 와인이다.특히 와인의 구조감이 뛰어나며 전체적인 균형감과 다양하고 복합적인 맛과 화려한 부케를 가지고 있으며, 스테이크와 아주 잘 어울린다. 최근 니바움 코폴라 포도원은 대표 와인인 루비콘으로 이름을 바꾸고 이태리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고 있다. ▲위치 : 미국〉캘리포니아〉나파〉러더포드▲품종 : 까베르네 소비뇽 89%, 메를로 5%, 까베르네 프랑 3%, 쁘띠 베르도 3%▲가격 : 448만원/한국와인협회 부회장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