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물단지 전락한 ‘드라마 세트장’

인천지역 일부 드라마 세트장들이 불법 건축물로 수년 동안 방치되고 있어 효율적인 관리체계가 시급하다.23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에 따르면 중구 무의도에 드라마 천국의 계단(지난 2003년 조성)과 칼잡이 오수정(〃 2007년 〃) 세트장을 지어 관광상품으로 활용하고 있다.그러나 천국의 계단 세트장은 지을 당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으로부터 드라마 촬영이 끝나면 철거하는 조건으로 가설건축물 허가를 받았지만 촬영이 끝난 뒤에도 철거하지 않아 수년째 불법 건축물로 방치되고 있다.인천경제지유구역청은 세트장이 일본 관광객들로부터 각광받는데다 영화 실미도 세트장의 경우 무허가 건물이라는 이유로 촬영이 끝난 뒤 철거했다 관광상품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는 세트장을 훼손했다며 여론의 뭇매를 맞은 전례가 있어 철거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세트장을 양성화하려고 해도 인근 무허가 건물과의 형평성 논란을 살 수 있어 쉽게 나서지 못하고 있다.불법 건축물인 탓에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내부 등을 구경할 수 있도록 한 옹진군 풀하우스 세트장 등과는 달리 관광객들은 세트장 밖에서 지나가며 구경하고 있는 실정이다.칼잡이 오수정 세트장의 경우, 중구 소유의 허가받은 건축물이지만 최근 위탁관리를 맡았던 S사가 촬영당시 스태프 숙소로 사용했던 곳에서 숙박영업을 하다 적발되기도 했다.세트장은 가설 건축물이어서 영업행위를 할 수 없다.구 관계자는 빠른 시일 내 믿을만한 위탁기관을 선정, 관광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인천 계양 “구제역 공포… 등산객도 무서워”

계양에서 김포는 코 앞인데 (구제역이) 넘어오면 어떡하죠?23일 오후 5시께 인천시 계양구 이화동. 이곳에서 젖소 숫소 60여마리를 사육하고 있는 김효태 이화농장 대표(58인천시 계양구 이화동)는 연말모임들도 다 취소하고 서로 TV만 쳐다보고 있다며 경상도에서 마무리될 줄 알았는데 김포로까지 넘어오다니, 결국 방역당국이 차단에 실패한 게 아니냐고 말했다.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구제역이 인접한 김포로까지 유입되면서 이 일대 축산농가들마다 전전긍긍하고 있었다.이 일대에서 30년 이상 농장을 운영해온 축산농가 60여가구는 구제역 공포로 외출도 삼가한 채 방역에 전념하고 있었다. 김 대표는 전에는 공동방제단을 결성, 축산농가들끼리 순번을 정해 1주일에 1차례 방역했지만 이제는 왕래도 자제하고 스스로 방역하고 있다며 매일 혹시나 우리 소가 구제역에 걸릴까봐 소를 이리저리 쳐다보고 있자니 가슴만 시커멓게 타들어 간다고 말했다.젖소와 한우 80여마리를 기르고 있는 김병기 대표(49인천시 계양구 다남동)는 외부로 오가면 전파될 우려가 있어 가급적 오지 못하게 하는데 계양산에 운동하러 오는 시민들이 소를 보고 신기하다고 찾아와 막기 위해 하루 종일 농장 입구에 서 있는다며 김포가 가까워 왕래하는 차량들이 너무 많아 하늘에 맡기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그는 이처럼 한번 구제역이 발생하면 소를 사지도 팔지도 못해 수입이 완전히 끊긴다며 내년에 대학 들어가는 아들이 농장일도 거들고 있는데, 구제역이 돌면 물려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이와 관련, 구 관계자는 축산농가들에 구제역이 전염되지 않게 하기 위해 김포는 물론 서구, 부천 등과 연결되는 곳에 방역기를 설치, 전파 차단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중부노동청 수원 이전 안돼”

인천지역 노동계와 경제계가 중부고용노동청 수원 이전설에 대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중부고용노동청 수원 이전 논란은 지난 2002년과 2008년 불거진 뒤 이번 국정감사에서 경기지역 국회의원들이 중부고용노동청의 수원 이전을 주장하면서 다시 점화되고 있다.한국노총 인천본부와 인천경영자총협회 등은 21일 기자회견을 갖고 중부고용노동청이 수원으로 옮겨가야 하는 타당한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특히 이들은 그동안 인천지역은 노동행정 수요보다 근로감독관 등 행정인력이 부족하다고 지적받아왔는데 중부고용노동청 본청이 수원으로 옮겨가고 지청으로 축소되면 인력이 더 감소, 행정공백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인천에는 중부고용노동청 본청과 인천북부지청, 인천고용센터 등 3곳만 있지만 경기지역에는 이미 지청 8곳과 고용지원센터 16곳 등이 설치된 만큼 굳이 본청을 경기도로 옮길 필요가 없다는 게 이들 기관의 주장이다.특히 이들 기관은 인천은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 등을 중심으로 동북아 허브 물류기지로 발전해가는 등 앞으로도 노동인구 유입이 예상되는데도 이같은 지역 특성을 무시하고 이전을 강행하는 건 행정편의적인 탁상행정이라고 비판했다.박병만 한국노총 인천본부 의장은 중부고용노동청 고위 관계자를 통해 수원으로 옮기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인천지역 노동계와 경제계, 시민단체들의 의견을 모아 강경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정병조 고용노동청 기획총괄과장은 현재까지는 고용노동부 차원에서 법률 검토만 진행하고 있을뿐 공식적으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진 않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