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방 현장르포> 지하 좁은공간 담배연기만 자욱

우후죽순 늘고 있는 좁은 PC방에서 성인들이 무분별하게 담배를 피우면서 손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청소년들이 담배연기에 휩싸이고 있다. 당국은 손님 대부분이 청소년인점을 감안해 금연을 권장하고 있으나 성인들의 출입이 잦아지면서 ‘PC방 흡연문제’가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지취재팀이 15, 16일 양일간 도내 수원, 안양지역의 PC방 흡연실태를 점검한 결과 상당수의 PC방이 성인들의 담배 연기로 자욱한 실정이다. 15일 밤8시께 수원시 팔달구 남문 J PC방. 15평 남짓한 좁은 공간에는 담배연기가 자욱하다. 전체 15명의 손님 가운데 4∼5명의 성인남녀들이 모니터 앞에 앉아 게임과 채팅에 열중하며 담배연기를 연신 뿜어댔다. 중·고교생 손님들은 게임에 흠뻑 빠져있었지만 일부 학생들은 손으로 입을 가리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같은시각 인근의 I PC방 등 남문일대 대부분의 PC방도 사정은 마찬가지. 일부 청소년은 함께 손님으로 온 성인들과 함께 버젓이 담배를 피우거나 일부는 화장실에서 몰래 담배를 피우기까지 했다. 안양시 동안구 범계역 일대에 위치한 상당수 PC방의 경우도 ‘성인∼청소년 휴식공간’으로 인식되면서 청소년 흡연의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다는 것이 학부모들의 지적이다. 일부 업소에서는 ‘흡연금지구역’‘담배를 피지 마세요’라는 팻말을 붙이고 청소년보호에 나서고 있으나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 학부모 최모씨(48·안양시 동안구 범계동)는 “직접흡연보다 간접흡연의 폐해가 더 많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청소년들이 원하지 않는 흡연으로 건강을 해치거나 흡연을 조장할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신동협기자

수원터미널 어디로 가나

수원시외버스터미널 이전사업이 1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원점을 맴돌면서 시민들은 꽉막힌 교통체증에 시름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주)대우의 면허신청이 또다시 특혜 논란을 불러 일으키면서 시민들은 하늘만 바라보고 있는 실정이다. 본지는 백년하청(百年河淸)처럼 표류해온 수원버스터미널 문제를 3회에 걸쳐 진단한다./편집자주 10년동안 표류하는 시외버스터미널 이전사업은 한마디로 시행정이 업체에 한없이 끌려다니던 기간이었다. 남도사업이 95년 12월22일 심재덕시장이 참가한 가운데 벌인 기공식이 시공자였던 삼성중공업과 실질적 계약도 안된 상태였으며, 설계 및 교통영양평가 등 전혀 준비되지 않은채 전개된 것은 단순한 해프닝을 넘어 시민 기만행사에 가까웠다. 시는 94년 시외버스터미널이 연면적 2만5천평으로 신청된뒤 95년1월 4만1천평으로 변경해 주고 9월에는 5만7천882평, 12월22일 기공식에서는 6만8천992평, 96년2월 터미널 기본계획서 제출에는 6만3천734평으로 계속 확대시켜 주었다. 또 감사원으로 부터 총사업시설 면적중 94%상당을 자동차정류장(터미널) 시설이 아닌 상업용도시설(오피스텔, 위락시설)로 설계됐는데도 법적 절차도 없이 사업계획을 적정한 것으로 처리했으나 건축심의에서 반려처리되고 말았다. 감사원의 지적외에도 표류하던 10년동안 사업부지의 사기분양에 따른 구속, 사업자로 부터 돈을 받은 시공무원의 잇따른 구속, 남도산업의 태일정밀 양도, 대형 백화점신축, 아파트 건축 발표 등 크고작은 사건이 끝없이 반복되면서 시민들은 시외버스터미널이라는 말만으로도 진저리를 치게 됐다. 97년 8월 (주)대우는 남도산업을 인수한 태일정밀에 대해 채권을 근거로 사업부지에 지상권 및 근저당권을 설정하고 경매를 통해 98년 12월에 300억원에 낙찰받으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그러나 (주)대우는 첫 사업부터 사업부지에 터미널(7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