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절반을 새마을과 함께 해온 신학수 회장

새마을 정신에 매료돼 40여년 동안 새마을회와 동고동락해 왔습니다. 그동안 어려운 이웃의 아픔을 보듬어 왔고, 가슴 벅찰 정도의 감동과 보람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새마을회와 함께 해 온 시간이 너무나 행복했습니다. 지난 2일 과천 새마을회장 이임식을 끝으로 40여년 동안 몸담아 온 새마을회를 떠나는 신학수옹(72)은 새마을회는 자신의 분신처럼 인생의 한 부분이었다고 회고한다.신 옹이 새마을회와 첫 인연을 맺은 것은 새마을 운동이 들불처럼 일어났던 지난 1970년대.그는 지난 1971년부터 올해까지 40여년 동안 다양한 새마을사업을 추진하면서 과천새마을회의 역사를 써온 인물이다.근면 자조, 협동 새마을 정신에 매료돼 새마을회에 참여한 신 옹은 마을 안길 넓히기, 공동 빨래터 조성, 지붕개량 사업을 시작으로 장학사업, 태극기 달기 운동, 불우이웃 김장 담그기, 홀몸노인 생신상 차리기 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왔다.또 최근에는 다문화 가정 친정부모 초청사업과 캄보디아 우물 파주기 사업, 도로포장 사업 등 해외봉사 활동까지 펼쳐왔다.특히 지난 2004년에는 자립형 새마을회를 만들기로 결정하고, 구판장 운영 등 각종 사업을 통해 사업비를 마련, 40여년 만에 새마을 회관을 건립의 첫삽을 뜨기도 했다.뿐만 아니라 그는 새마을회관 건립비로 사비 1억2천만원을 내놓으며 새마을회에 대한 아낌없는 애정을 드러냈다.신 옹은 이같은 공로로 지난 2002년 대통령 표창을 받았으며, 지난 2010년에는 대통령훈장(자조장)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그는 새마을운동은 국민의 삶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킨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사업이라며 이제 새로운 새마을 운동이 전개되고 있지만 근면, 자조, 협동 새마을 정신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라고 말했다.이어 새마을 정신은 서로 싸워 이기는 무한경쟁이 아니라 서로 상생하고 공생하는 협동의 정신이고, 너와 내가 아닌 우리, 바로 이웃과 함께하는 공동체이고 어울림이라며 미소를 지었다.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과천경찰서 안전지킴이 발대식

과천시 ‘문화예술공연 평가제’ 시행

과천시가 보조금의 투명성 확보와 수준 높은 예술활동을 유도하고자 문화예술공연 평가제를 실시, 괄목할만한 성과를 얻고 있다.1일 과천시에 따르면 시의 보조금으로 진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공연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인센티브와 페널티를 주는 문화예술공연 평가제를 시행하고 있다.시는 보조금 예산편성 전에 각 단체에서 추진한 공연작품에 대해 문화예술적 우수성과 완성도, 기여도, 시민호응도, 사업주체의 마케팅, 공연물의 보편적 수준, 사업진행 과정의 투명성 등을 평가한다.평가대상은 과천 한마당축제를 비롯해 토요예술축제, 열대야 페스티벌, 시립예술단 정기공연, 예총 산하단체 정기공연, 한뫼과천국악예술단, 우리 춤 연구회, 과천무용단 등 30여개 사업이다.시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를 위해 전문평가위원과 일반평가위원 70여명을 위촉, 사업계획서 검토와 공연현장을 방문하는 등 엄격한 심사를 진행하고있다.또 평가 결과를 토대로 상위 예술단체에는 예산을 증액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하위단체는 예산을 삭감하는 페널티를 줘 사업 내실화를 기하고 있다.이를 통해 시는 지난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평가점수 80점 이상 20여개 단체의 예산을 증액하고, 60점 이하 10여개 단체의 보조금을 삭감했다.시 관계자는 시 보조금 사업 중 부실한 사업이 적지 않아 보조금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공연작품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평가제를 시행하게 됐다며 처음에는 예술단체의 저항도 많았지만, 이제는 성공적인 제도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신입생들에 꿈과 비전 제시 새 오리엔테이션 진행 ‘눈길’

과천고등학교(교장 지성환)가 신입생들에게 꿈과 비전을 제시하는 새로운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해 학부모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29일 과천고에 따르면 지난 21~24일 과천시청소년수련관 등에서 외부 강사를 초빙해 진로특강과 개별상담 등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했다.과천청소년수련관과 과천문화원, 과천소리전수관 등에서 열린 진로특강에서는 대입제도의 변화와 창의 재량, 인성교육, 자기주도학습코칭, 심성훈련 등에 대한 교육이 진행됐다.특히 Dream up, vision up을 주제로 열린 진로흥미검사 컨설팅은 경기도 내 진로진학 상담교사 30명을 초빙, 1일 10명의 교사가 신입생 1명당 25~30분간 개별상담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관심을 모았다.또 개별상담은 진로흥미검사(Holland검사) 내용을 토대로 신입생 개인의 흥미 유형, 적합한 직업 및 계열 탐색, 학습코칭, 대입준비 방법 등을 자세히 알려줘 입시 불안을 해소하고 고교생활에 자신감을 심어주는 계기를 마련했다.개인 상담에 참가한 한 학부모는 내 아이가 어떤 성향인지, 좋아하는 분야는 무엇인지, 또 장차 무슨 일을 해야 할지 걱정이 많았는데 이제 조금 가닥이 잡혔다며 지속적으로 개인상담을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과천경철서장, 초등학생 대상 폭력예방 교육

보금자리땅 시유지 소유권 이전 訴 ‘논란’

市, 법적여건 안돼 불가 과천시에 한 영농조합이 시로부터 무상임대받은 76억원대 시유지의 소유권을 이전해 달라며 소송을 제기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26일 과천시와 영농조합 갈현마을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1997년 과천시 갈현동 일대에 쓰레기소각장을 건립하면서 인근 주민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축사와 농기계 수리센터, 농기계 보관창고, 복지회관, 한우 450두 등 총 70억원 상당을 영농조합 갈현마을 측에 지원했다. 그러나 최근 해당 부지가 과천 보금자리주택 개발계획에 포함되면서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조합 측은 지난해 12월 과천시와 작성한 공동합의문에 따라 축사부지(6천477㎡)와 농기계수리센터 부지(729㎡), 농기계보관창고 부지(801㎡), 복지회관 부지 (438 ㎡) 등 시가 76억원 상당의 시유지 소유권을 조합에 귀속하라며 소송을 제기했다.조합 측은 지난 1997년에 작성한 공동합의문에는 시에서 제공한 모든 재산의 사용권과 축사, 복지회관, 농기계수리센터, 창고 부지의 소유권을 법적 여건 조성시 조합 측에 귀속하기로 돼 있다며 시는 공동합의문에 따라 시유지 소유권을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이에 대해 시는 법적 여건이 조성되지 않은 만큼 시유지 소유권을 조합 측에 넘겨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는 공동합의문에 법적 여건 조성시라는 조건이 달려 있고, 현재 보조금을 개인에게 줄 수 있다는 법 조항이 없기 때문에 소유권 이전은 불가하다고 주장했다.익명을 요구한 한 공무원은 갈현마을과 시가 제공한 부지 전체가 과천시 보금자리주택개발 지구에 포함돼 조합 해산을 앞두고 조합의 재정을 정리하는 것 같다며 보조금은 조합원 개인의 소유가 아니고, 사업 목적 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조합원이 가져갈 수 있는 돈은 없다고 지적했다.실제 갈현마을 영농조합은 지난 2003년 시가 지원한 한우 중 310두를 매각해 얻은 수익금 11억 원으로 과천보금자리주택지구 내 부지 5천319㎡를 매입하는 등 현재 50 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조합 측이 제기한 소송은 다음달 15일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에서 첫 공판이 진행될 예정이다.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과천 갈현동 영농조합, 무상임대 받은 시유지 달라며 소송제기 논란

영농조합 갈현마을이 과천시로부터 무상임대 받은 76억대 시유지 소유권을 이전해 달라며 소송을 제기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26일 과천시와 영농조합 갈현마을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1997년 과천시 갈현동 일대에 쓰레기소각장을 건립하면서 인근 주민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축사와 농기계 수리센터, 농기계 보관창고, 복지회관, 한우 450두 등 총 70억원 상당을 영농조합 갈현마을 측에 지원했다. 그러나 해당 부지가 과천 보금자리주택 개발계획에 포함되면서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조합 측은 지난해 12월 과천시와 작성한 공동합의문에 따라 축사부지(6천477㎡)와 농기계수리센터 부지(729㎡), 농기계보관창고 부지(801㎡), 복지회관 부지 (438㎡) 등 시가 76억원 상당의 시유지 소유권을 조합에 귀속하라며 소송을 제기했다.조합 측은 지난 1997년에 작성한 공동합의문에는 시에서 제공한 모든 재산의 사용권과 축사, 복지회관, 농기계수리센터, 창고 부지의 소유권을 법적 여건 조성시 조합 측에 귀속하기로 돼 있다며 시는 공동합의문에 따라 시유지 소유권을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이에 대해 시는 법적 여건이 조성되지 않은 만큼 시유지 소유권을 조합 측에 넘겨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는 공동합의문에 법적 여건 조성시라는 조건이 달려 있고, 현재 보조금을 개인에게 줄 수 있다는 법 조항이 없기 때문에 소유권 이전은 불가하다고 주장했다.익명을 요구한 한 공무원은 갈현마을과 시가 제공한 부지 전체가 과천시 보금자리주택개발 지구에 포함돼 조합 해산을 앞두고 조합의 재정을 정리하는 것 같다며 보조금은 조합원 개인의 소유가 아니고, 사업 목적 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조합원이 가져갈 수 있는 돈은 없다고 지적했다.갈현마을 영농조합은 지난 2003년 시가 지원한 한우 중 310두를 매각해 얻은 수익금 11억 원으로 과천보금자리주택지구 내 부지 5천319㎡를 매입하는 등 현재 50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조합 측이 제기한 소송은 다음달 15일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에서 첫 공판이 진행될 예정이다.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