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이 하는 일을 개인이 이길 수 없다. 누구도 믿지 마라, 어떻게 해서든 살아 남아라’최근 개봉한 영화 골든슬럼버에 나오는 대사다. 촘촘하게 깔려있는 감시 카메라뿐만 아니라 이미지를 조작하거나 성형인간을 통해서도 얼마든 한 개인을 엉뚱한 피해자로 만들 수 있다는 사회상을 반영한 것 같다. 눈만 뜨면 터지는 각종 비리와 구조적 모순 사회의 시나리오들이 영화가 되고 흥행에서도성공한다. 이 만연한 사회 비리들이 검찰 수사로 끝나지는 않을 것이다. ‘積弊(적폐)’라는 이름의 대청소가 언제 끝날지 예측불허다. 우리가 힘차게 달려온 근대화가 마치 허리띠를 묶지 않은 바지를 입은 듯 절체절명의 위기란 불안감이 깊어간다. 이런 와중에 날아든 평창동계올림픽은 개인과 팀웍을 통해 땀과 진실의 결정체를 보여준다. 결코 선수 혼자가 아닌 코치와 후원자의 조력을 통해 완성의 극치인 금메달의 승리를 보여주고 그 통쾌함에 전 세계가 감동한다. 승부에 승복하는 선의의 경쟁이야 말로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 가운데 최선이 아닐까 싶다. 이런 좋은 합의의 방식이 또 없을까. 거꾸로 가는 시계, 무게를 달 때마다 달라지는 저울의 눈금, 누구도 믿기 어려운 신용불량 사회, 사람들은 얼마나 더 행복해질 수 있을까. 비리 공화국(?)에선 검찰도 지치고 법원도 힘겨운 신세다. 첨단 장비들이 조작 기술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감시와 통제, 조사와 처벌만으로 세상이 달라지기를 원한다면 착각이다. 많이 벌고 출세해 잘살자고 꿈을 꾸었던 것들이 하나씩 무너져 내린다. 인간 본성에서부터 정화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영화‘골든슬럼버’는 나직한 물음을 던진다. 인생의 가장 나른하고 행복한 찰나의 순간을 뜻하는 ‘황금빛 꿀잠’, ‘낮잠’이라는 의미를 지닌 노랫말과 음악으로 세계인들의 엄청난 사랑을 받았던 비틀즈의 명곡이다. 여기서 영감을 받아 일본작가가 소설을 쓰고, 물론 일본영화도 나온 것을 한국판으로 만든 것이다. 대학 시절 그룹 밴드를 했던 풋풋한 젊음의 시간으로 되돌아가 인간성을 회복하는데 여기에는 믿어주는 친구가 있었다. 사실 영화에서처럼 권력을 얻으려는 정치가는 늘 조작사회의 배후다. 정치가 맑아져야 하는데 국민의 신뢰로부터 멀어지고 관심도 옅어지고 있다. 머지않아 오는 6월 선거가 오고 선거는 보랏빛 희망을 살포할지 모른다. 물론 스포츠에도, 예술에도 가짜그림, 가짜악기, 조작된 오디션과 채용비리가 일어나기도 한다. 그러나 스포츠 우승자를 만드는 것이 혼자가 아니듯이 우리가 졸은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착한 힘들이 뭉쳐야 한다. 정치가들도 진정성을 회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감화력을 개발해 믿음이 가는 리더십을 내놓아야 한다. 잘못 설계된 공연장 음향은 빙질이 좋지 않은 아이스링커와 다를 바 없다. 공짜로 뿌리는 티켓은 상품 구매력을 상실케 한다. 모든 것을 누구의 책임에 돌리기보다 나의 한 걸음, 하나의 행동이 신뢰에 바탕을 둔다면 한걸음씩이나마 진실사회로 갈 수 있지 않을까. 이번 평창동계 올림픽은 조작사회의 그물망에서 뛰쳐나올 수 있는 절호의 찬스다. 우리가 2002년 올림픽을 통해 큰 도약을 했듯이 평창올림픽이 또 한 번의 도약 발판이 되었으면 한다. 정직하게 만들어낸 승리를 통해 국민 자긍심이 되고 특히 젊은 세대가 절망이 아니라 희망인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IMF 때의 금모우기가 아니라 금메달을 따는 1등 국민에 올라야 한다. 시냇물이 자연스럽게 흐르듯 진실이 흘러야 한다. 선한 눈빛 하나로 관객을 사로잡는 배우의 캐릭터처럼 예술과 문화가 정화의 큰 힘을 발휘했으면 한다. 탁계석 예술비평가회장
문화
탁계석
2018-02-19 1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