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영어학원발(發)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확진된 학원 강사 1명이 검사결과를 음성으로 속였다가 이틀 뒤 양성으로 판정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방역 당국은 해당 학원을 폐쇄하고 전수검사를 진행 중이다. 26일 성남시에 따르면 분당에 있는 영어학원 강사 B씨는 지난 22일 진단검사를 받고 자가 격리하라는 통보를 받았다. 이날 확진된 같은 이름의 인근 지역의 영어학원 원어민 강사의 접촉자로 분류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B씨는 자가격리 통보를 어기고 개인적인 일을 봤으며 23일에는 학원 측에 진단검사 결과를 음성으로 나왔다고 문자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24일 뒤늦게 검사를 했고 25일 양성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이 영어학원을 폐쇄 조치하고 강사와 학원생 등 90여명을 대상으로 전수검사를 벌이고 있다. 성남시 관계자는 B씨가 지난 21일 이후부터는 학원에 나오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며 학원에 대한 방역 조치가 늦어진 만큼 B씨에 대해 감염병예방법 위반 혐의로 고발할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B씨가 접촉한 것으로 알려진 인근 지역의 원어민 강사에서 비롯된 확진자는 이로써 부천고양의정부 영어학원으로 확산하며 가족과 지인을 포함해 모두 85명으로 늘어났다. 성은희기자
경기도에서 영어학원 원어민 강사발 코로나19 집단감염 확진자가 나흘 새 80명을 넘어서면서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다. 경기도는 25일 하루 동안 188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26일 0시 기준 누적 확진자가 4만3천254명이 됐다고 밝혔다. 지난 22일 성남시 분당구의 한 영어학원 원어민 강사의 감염에서 비롯된 학원발 집단감염이 부천과 고양의 영어학원 2곳으로 확산한 데 이어 전날에는 의정부지역 학원 1곳으로 더 전파되면서 총 25명의 추가 감염자가 나왔다. 경기도교육청은 최근 성남과 부천, 고양의 어학원 3곳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집단감염과 관련해 8개 초등학교의 수업을 원격으로 전환했다. 이들 학교의 원격수업 기간은 코로나19 검사 및 역학조사 결과 등 추이를 지켜보며 조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안양에서는 시청 자원회수시설 관련해 새로운 집단감염이 확인됐다. 지난 12일 이 시설 관련된 시 공무원 1명이 먼저 확진된 뒤 13일 7명, 25일 2명이 추가로 확진되면서 누적 확진자가 총 10명으로 늘었다. 시흥시 교회 관련해서는 확진자가 2명 더 늘어 14명의 누적 확진자가 나왔다.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하지 않은 소규모 n차 감염 사례는 94명(50.0%),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신규 확진자는 47명(25.0%)으로 집계되는 등 곳곳에서 일상 생활에서의 감염이 지속됐다. 사망자는 1명 늘어 도내 누적 사망자는 652명이 됐다. 성은희기자
평택과 동두천 미군기지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13명 추가됐다. 26일 주한미군사령부에 따르면 지난 22일 경기도 평택 미군기지 캠프 험프리스에서 주한미군 가족 1명이 증상 발현으로 검사를 받아 확진됐고 이후 접촉자들을 대상으로 추가 검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지난 24일까지 장병 9명과 가족 1명이 추가로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 동두천 미군기지 캠프 케이시에서는 장병 2명이 증상이 나타나 검사를 받고 지난 24일 양성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모두 현재 캠프 험프리스에 있는 전용 시설에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이에 주한미군측에서는 한국질병관리청과 함께 역학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확진자들이 다녀간 기지 안팎 시설에 대해 방역 조치를 하고 있다. 이로써 주한미군 관련 누적 확진자는 932명으로 늘었다. 성은희기자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 600명대를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4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610명 늘어 누적 15만3천155명이라고 밝혔다. 경기도에서는 185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가 4만2천883명으로 늘었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성남지역 영어학원에서 새로운 집단감염이 확인됐다.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A 영어학원과 관련해 원생과 강사, 가족 등 1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아 이틀 새 누적 확진자가 모두 28명이 됐다. 지난 22일 학원 강사 2명이 먼저 확진 판정을 받은 뒤 같은 날 오후 원생 6명과 가족 3명이 잇따라 확진됐다. 이어 23일에도 강사 5명, 원생 5명, 가족과 지인 7명 등 추가로 17명의 감염이 확인됐다. A 영어학원은 다음 달 11일까지 등원을 중지한 상태다. 고양 일산동구의 B 어학원에서도 강사ㆍ원생 14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광주시 인력사무소 및 지인 관련한 집단감염 사례에선 지인 3명이 추가로 확진돼 지난 16일 이후 누적 확진자는 18명으로 늘었다.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하지 않은 소규모 n차 감염 사례가 107명(57.8%)이고,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신규 환자는 50명(27.0%)으로 집계되는 등 곳곳에서 일상감염이 지속됐다. 김태희기자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3일만에 600명대로 올라섰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3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645명 늘어 누적 15만2천545명이라고 밝혔다. 경기도에서는 191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가 4만2천698명으로 늘었다. 특히 검사 건수가 줄어드는 주말과 휴일의 영향으로 이틀 연속(2021일) 100명 미만으로 발생한 도내 하루 확진자는 하루 만에 2배 가까이 늘어났다. 도내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부천시의 한 체대 입시 실내체육시설에서 학생 12명이 추가로 확진되면서 지난 20일 이후 도내 누적 확진자가 모두 14명이 됐다. 성남시 일가족 및 댄스학원 관련해서는 5명이 더 확진돼 19일 이후 나흘 새 모두 1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하지 않은 소규모 n차 감염 사례가 81명(42.4%)이고,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신규 환자는 70명(36.6%)으로 집계되는 등 곳곳에서 일상감염이 지속됐다. 김태희기자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엿새 만에 다시 300명대로 내려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1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357명 늘어 누적 15만1천506명이라고 밝혔다. 4차 유행이 시작되기 전인 지난 3월23일(346명) 이후 3개월, 꼭 90일 만에 최소 기록이다. 경기도에서는 91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가 4만2천415명으로 늘었다. 도내 신규 확진자가 100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3차 유행이 진행 중이던 지난 2월14일(80명) 이후 127일 만이다. 도내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기존 집단감염 사례인 주점과 어학원 등에서 추가 감염이 이어졌다. 의정부시 주점과 관련해 3명이 추가로 확진되면서 지난 8일 이후 도내 누적 확진자가 모두 23명이 됐다. 김포시 어학원과 관련해서는 1명이 더 감염돼 14일 이후 도내에서 모두 32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하지 않은 소규모 n차 감염 사례가 48명(52.7%)이고,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신규 환자는 30명(33.0%)으로 집계되는 등 곳곳에서 일상감염이 지속됐다. 김태희기자
국내 코로나19 신규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 400명대를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누적 사망자 수는 2천명을 넘어섰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429명 늘어 누적 15만1천149명이라고 밝혔다. 사망자는 전날보다 5명 늘어 누적 2천2명이 되면서 국내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1년 5개월 만에 2천명을 넘어섰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1.32%다. 경기도에서는 113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가 4만2천324명으로 늘었다. 도내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안성시 농수산물 물류센터와 관련해 확진자 가족 2명이 추가로 확진되면서 지난 5일 이후 도내 누적 확진자가 모두 41명이 됐다. 수원시 건축사 사무소에서는 직원 1명이 더 감염돼 15일 확진자가 처음 나온 이후 이 사무소와 관련된 도내 누적 확진자는 모두 16명으로 늘어났다.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하지 않은 소규모 n차 감염 사례가 71명(62.8%)이고,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신규 환자는 30명(26.5%)으로 집계되는 등 곳곳에서 일상 감염이 지속됐다. 한편 국내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자는 이날 누적 1천500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전체 인구(작년 12월 기준 5천134만9천116명)의 29.2% 수준이다. 2차 접종까지 모두 마친 사람은 총 404만6천611명으로 전체 국민 대비 7.9% 수준이다. 백신별로는 210만6천617명이 화이자 백신, 82만4천651명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례 접종을 각각 끝냈다. 나머지는 얀센 접종자다. 김태희기자
여보, 나 죽을 것 같아. 응급실 가자 지난 9일 슬하에 삼남매를 둔 A씨(45)는 힘 없는 목소리로 자신을 부르는 아내 B씨(47)를 보고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사흘 전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맞고 이틀간 타이레놀에 의지하던 아내가 오한과 가슴 답답함을 호소하며 이러다 죽겠다는 말을 꺼낸 것이다. A씨는 생각할 겨를 없이 곧바로 용인 세브란스병원 응급실로 아내를 옮겼고, B씨는 얼마 지나지 않아 급성 심근염진단을 받고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급성 심근염은 심장 근육(심근)의 일부 또는 넓은 범위에 염증이 일어나서 심근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급성 심부전에 의한 쇼크부터 가벼운 심부전 증상까지 다양하며 일부 심각한 경우 급성 순환성 쇼크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A씨는 평소 필라테스와 등산 등을 즐기며 건강 체질을 자랑했던 아내가 백신 접종 이후 중환자실에 입원한 모습에 망연자실했다. 백신 접종 당일 손이 차갑다. 이상하다고 말한 뒤 아픈 몸을 이끌고 에버랜드로 놀러 간 막둥이를 데리러 간 아내를 말리지 않은 게 그를 더욱 힘들게 했다. 호전될 것만 같았던 아내의 병세는 지난 16일 더욱 나빠졌다. B씨는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실로 옮긴 지 며칠 만에 쓰러졌고 뇌 손상이 의심된다는 의료진 소견에 또다시 병상을 옮겨야 했다. A씨는 이 같은 아내의 상태를 보고 질병관리청에 백신 부작용 의심 신고를 했다. 병원 측도 용인 기흥구보건소에 백신 부작용 의심 보고를 했고, 현재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에서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다. A씨는 아내의 생명이 위중한 상태인데도 정부에선 역학조사 중이다. 기다려달라는 말만 되풀이한다며 백신 후유증이 아니면 아내가 왜 중환자실에 있는지 설명해주는 이가 없다고 답답해했다. 그러면서 백신 맞고 잘못되는 게 남의 일인 줄만 알았다면서 아내에게 기적이 일어나길 바라고 있다고 쉰 목소리로 말했다. 보건 당국은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면서도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라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다.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관계자는 현재 A씨에 대한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역학조사가 끝나면 보고서 작성 후 도 신속대응팀이 1ㆍ2차 평가를 실시해 그 결과를 질병관리청에 보낸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월 경북 상주시보건소 직원이 AZ 백신을 맞은 후 급성 심근염 진단을 받고 접종 60여일 만에 숨졌다. 질병관리청은 백신 접종과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인과관계를 찾기 어렵다고 밝힌 바 있다. 정민훈기자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 500명 대를 유지했다. 주말ㆍ휴일 검사건수 감소 영향이 사라지는 주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확진자가 다소 늘었지만, 지난주와 비교하면 증가 폭은 다소 줄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7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540명 증가해 누적 14만9천731명이라고 밝혔다. 경기도에서는 183명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가 4만1천913명으로 늘었다. 도내 주요 감염사례를 보면 수원지역 건축사사무소와 초등학교 급식실 관련된 새로운 집단감염이 확인됐다. 수원시 장안구의 한 건축사사무소에서 지난15일 직원 1명이 확진된 뒤 관련자 검사에서 다음 날인 16일 직원 14명이 추가로 확진돼 이틀 새 15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방역 당국은 관련자 80여 명을 검사 중이다. 조리사를 중심으로 감염이 확산한 수원시 팔달구의 한 초등학교 급식실 관련해서는 조리사의 지인 1명이 추가로 확진되면서 14일 이후 모두 12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용인시 어학원 및 성남시 반도체 칩 제조업체 관련해서는 제조업체 직원 1명이 더 확진돼 13일 확진자가 처음 나온 이후 누적 확진자는 17명이 됐다.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하지 않은 소규모 n차 감염 사례가 107명(58.5%)이고,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신규 환자는 50명(27.3%)으로 집계되는 등 곳곳에서 일상 감염이 지속됐다. 김태희기자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 300명대를 유지했다. 연이틀 300명대 확진자는 4차 유행 시작 전인 지난 3월 1516일(379명ㆍ363명) 이후 3개월 만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5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374명 늘어 누적 14만8천647명이라고 밝혔다. 경기도에서는 120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가 4만1천540명으로 늘었다. 도내 주요 감염사례를 보면 김포지역의 한 어학원에서 수강생과 강사 등 20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일부는 전날 감염이 확인됐으며, 나머지는 이날 판정을 받았다. 또 군포시의 한 의료기기업체와 관련해 방문자와 방문자 가족 등 6명이 추가로 감염돼 사흘 새 도내 누적 확진자는 10명으로 늘어났다. 이천시 축산물 가공업체 관련해서는 확진자의 가족 1명이 더 감염돼 지난달 29일 이후 총 17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하지 않은 소규모 n차 감염 사례가 81명(67.5%)이고,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신규 환자는 26명(21.7%)으로 집계되는 등 곳곳에서 일상 감염이 지속됐다. 한편 정부는 다음달 초부터 시행될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의 최종 내용을 오는 20일 발표한다. 발표에는 사적모임 제한 인원 완화 방침 등이 담길 전망이다. 김태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