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4천명 육박ㆍ위중증 최다…경기도 사망자 가장 많이 나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3천명대 후반을 기록한 가운데 경기도에선 하루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왔다. 2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3천938명(누적 42만9천2명)이다. 최다치인 전날의 4천115명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은 확진자가 나온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난 1일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으로 방역 수칙이 대폭 완화되고 사회적 활동과 모임이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백신 접종을 일찍 마친 60세 이상에서는 접종 효과가 떨어지면서 돌파감염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또 이날 위중증 환자는 612명으로 국내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처음으로 600명을 넘은 최다 기록이다. 하루 사망자는 지난 7월 4차 유행 이후 가장 많이 발생한 39명이다. 경기도에선 1천102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이틀째 1천명대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 여기에 하루 동안 17명의 경기도민이 코로나19로 사망해 도내 최다 기록이 경신됐다.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은 82.7%(271개 중 224개 사용)로 전날 81.2%(271개 중 220개 사용)보다 1.5%p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남은 중증 환자 병상 수는 47개다. 한편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등 방역 조치 강화 여부를 논의 중이며, 확산 방지를 위해 추가 접종을 당부하고 있다. 이정민기자

경기도 역대 최다 1천102명 확진…국내 첫 태아 사망 사례

경기도 코로나19 확진자가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한 가운데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이 80%대를 유지하는 등 확산세가 누그러들지 않고 있다. 24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도내 신규 하루 확진자는 1천184명이다. 종전 도내 최다 기록은 추석 연휴 이후인 지난 9월24일의 1천102명으로 60일 만에 최다치가 경신됐으며 지난 16일 이후 8일째 하루 7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또 이날 시ㆍ군별 확진자는 고양시 100명, 수원시 99명, 부천시 93명, 용인시 82명, 성남시 72명, 안산시 70명, 안양시 56명 등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중증 환자에 대한 도내 병상 가동률은 81.2%(270개 중 220개 사용)로 조사됐다. 전날의 82.8%(270개 중 222개 사용)보다 소폭 감소했으나 나흘째 80%대를 유지하고 있다.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 80% 이상은 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을 일시 중지하는 비상계획(서킷 브레이커) 발동 조치 중 하나의 기준에 해당한다. 상황이 이런 탓에 정부는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거점 전담병원 병상을 추가로 지정해 중증 환자 병상 확보에 나서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태아가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사망한 첫 사례가 발생했다. 산모가 확진된 이후 조기 출산하면서 지난 22일 태아가 사산했으며, 사망한 태아에서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정민기자

위중증 역대 최다…경기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 사흘째 80%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월요일 기준으로 가장 많이 나온 가운데 경기도의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이 사흘째 80%대를 이어가고 있다. 2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2천699명(누적 42만950명)이다. 전날(2천827명)보다 128명 줄었지만, 월요일 기준(발표일 기준 화요일)으로는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왔다. 직전 월요일 최다 기록은 추석 연휴 다음 주인 지난 9월28일의 2천288명이다. 전국 하루 위중증 환자는 전날(515명)보다 34명 증가한 549명으로 집계, 최다치를 경신했다. 경기도에선 77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도내 중증 환자에 대한 병상 가동률은 전날(81.5%)보다 0.4%p 오른 81.9%(270개 중 221개 사용)로, 지난 21일 이후 80%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가용 병상은 1개 줄어 49개 남은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이달 셋째 주(11월14~20일)의 60세 이상 도내 신규 확진자 비중은 단계적 일상회복 전인 지난달 넷째 주(10월24~30일)의 21%보다 9%p 증가한 30%로 조사됐다. 이는 요양병원ㆍ시설 등 감염 취약시설의 집단감염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정부는 단계적 일상회복을 일시 중지하는 비상계획(서킷 브레이커) 등 방역강화 검토를 재차 시사했다. 다만 초ㆍ중ㆍ고교 전면 등교와 관련해선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 등을 이유로 계획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일요일 최다…정부 수도권 위험도 ‘매우 높음’ 상향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요일 기준 최다 기록을 경신한 가운데 경기도의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이 이틀째 80%대를 유지했다. 이에 정부는 수도권 코로나19 위험도를 중간에서 매우 높음으로 상향 조정하고 단계적 일상회복의 중지 검토를 시사했다. 2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신규 확진자는 2천827명(누적 41만8천252명)이다. 주말 검사량 감소 영향으로 전날(3천120명)보다 확진자가 293명 줄어 6일 만에 2천명대로 감소했으나 일요일 확진자(발표일 기준 월요일) 기준으로는 사상 최다치다. 직전 일요일 최다 기록은 추석 연휴 이후인 9월27일의 2천381명이다. 이런 가운데 이날부터 전국 유치원과 초ㆍ중ㆍ고교 전면등교가 시작되면서 확산세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위중증 환자는 515명으로 사흘 연속 500명대를 기록했다. 경기도 역시 일요일 기준으로 가장 많은 82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도내에선 지난 9월26일 일요일 기준으로 가장 많은 755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바 있다.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 역시 전날 80.6%(270개 중 221개 사용)보다 0.9%p 오른 81.5%(270개 중 220개 사용)으로 집계됐다. 이에 정부는 11월 2주차의 중간이었던 수도권 코로나19 위험도를 이달 3주차에서 매우 높음으로 격상했다.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이 80%를 넘은 데다 신규 확진자가 줄어들지 않고 있어서다. 매우 높음은 단계적 일상회복을 일시 정지하는 비상계획 시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다. 이와 관련,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비상계획 적용을 포함한 방역조치 강화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도 이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중심으로 논의가 돼야 해 당장 밝히긴 어렵고 일상회복지원위원회 검토 등을 통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17일 3개 영역, 17개 세부지표로 된 새 코로나19 위험도 평가 기준을 공개하고, 매주 위험도를 ▲매우 낮음 ▲낮음 ▲중간 ▲높음 ▲매우 높음 등 5단계로 평가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주말에도 3천명 돌파…경기 중증 병상 가동률 80% 첫 돌파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주말에도 3천명대를 이어간 가운데 경기도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이 사상 첫 80%를 넘어서며 위중증 환자 관리에 적신호가 켜졌다. 2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3천120명으로, 토요일(발표일 일요일) 기준 역대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다. 종전 토요일 최다 기록은 추석 연휴 이후인 지난 9월26일 2천768명이다. 또 이날 확진자는 전날(3천206명)보다 86명 줄었으나 검사량이 감소하는 주말의 영향에도 토요일 첫 3천명대를 기록한 데다 지난 17일 이후 닷새째 3천명대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확산세가 누그러들지 않고 있다. 여기에 하루 위중증 환자는 전날(508명)보다 9명 증가한 517명으로 집계되면서 이틀 연속 500명대 환자가 나왔다. 경기도의 경우 하루 동안 992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난 9월24일(1천102명), 이달 19일(933명)에 이어 역대 세번째 규모다. 시ㆍ군별 신규 확진자는 수원시 133명, 고양시 92명, 부천시 67명, 김포시 62명, 용인시 62명, 남양주시 52명 등이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 중증 환자에 대한 병상 가동률은 최초로 80%를 넘어서 의료체계 포화가 우려되고 있다. 이날 중증 환자의 병상 가동률은 전날 77.9%(263개 205개 사용)보다 2.7%p 오른 80.6%(263개 중 212개 사용)로 조사됐다. 이는 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을 잠시 중단하는 비상계획(서킷 브레이커) 발동 기준의 한 지표인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 75%를 웃도는 수치다.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은 81.5%로 수도권에서 병상 배정을 기다리는 위증증 환자는 804명이다. 이 같은 상황에 정부는 수도권 중증 환자를 비수도권으로 이송하고 있으나 이곳과 인접한 대전(68.0%)의 중증 환자 가동률 역시 1주일 전(14일 60%)보다 8%p 높아지는 등 비수도권의 병상 가동률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는 상황에서도 22일부터 수도권 유ㆍ초ㆍ중ㆍ고교에서 전면등교가 시행된다. 이에 교육당국은 자율이던 소아ㆍ청소년 접종을 강력 권고하는 한편 다중이용시설 출입 시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정민기자

매주 5단계로 평가…단계적 일상회복 중단 여부 결정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가 급증해 단계적 일상회복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정부가 매주 위험도를 평가해 일상회복 이행ㆍ중단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7일 ▲매우 낮음 ▲낮음 ▲중간 ▲높음 ▲매우 높음 등 5단계의 위험도 평가 기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는 평가 주기를 기준으로 직전 주 일요일에서 토요일까지 1주간을 모니터링한 주간평가와 지난 4주간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단계평가로 나뉜다. 이와 별개로 유행이 심각한 상황에선 긴급평가를 실시, 단계적 일상회복 중단 여부를 논의한다. 긴급 평가는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75% 이상 ▲ 주간 위험도 평가 결과 높음 이상 ▲ 4주간의 단계 평가 높음 이상 ▲방역의료분과위원회 전문가 의견 등의 기준으로 실시된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위중증 환자 관리를 위해 60세 이상과 요양병원 입소자 등에 대한 추가 접종(부스터샷) 간격을 기존 6개월에서 4개월로 축소하기로 했다. 한편 경기도에선 역대 세 번째 규모인 96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중증 병상 가동률은 전날(73.8%)보다 1.2%p 감소(가용병상 3개 증가)한 72.6%(263개 중 191개 사용)로 집계됐다. 시ㆍ군별 확진자는 고양시 115명, 성남시 85명, 부천시 83명, 안산시 67명, 의정부시 53명, 안양시 48명 등이다. 이정민기자

전국 위중증 환자 495명 역대 최다…경기도 병상 가동률 또 증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주일째 2천명대를 이어가는 가운데 하루 위중증 환자는 역대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다. 1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2천125명(누적 39만9천591명)이다. 지난 10일(2천425명)부터 1주일 연속 2천명대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지난 9월28일(2천288명) 이후 7주 만에 월요일(발표일 화요일 기준) 최다치를 기록하는 등 확산세가 누그러들지 않고 있다. 특히 이날 위중증 환자는 전날(471명)보다 24명 늘어 495명으로 집계돼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다. 종전 최다 기록은 이달 13일(토요일)의 485명이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아직 의료체계의 여력이 있다고 보고 단계적 일상회복을 일시 중지하는 비상계획(서킷 브레이커)을 발동할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다만, 이날 오전 22개의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장과 함께 회의를 열고 중증 병상의 추가 확보를 논의했다. 경기도에선 65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중증 병상 가동률은 전날(73.0%)보다 0.8%p(1개 병상 추가 사용) 상승한 73.8%(263개 중 194개 사용)로 집계됐다. 정부의 서킷 브레이커 발동 조치의 기준인 75.0%보다 1.2%p 낮은 수치다. 도내 시ㆍ군별 신규 확진자는 부천시 75명, 성남시 69명, 고양시 52명, 평택시 42명, 남양주시 40명, 시흥시 34명 등이다. 이정민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